미, 한국에도 섬유 수입 제한 통고 할 듯|돌연 내한한 주리크 대표의 베일 속 동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국이 수입 섬유에 대한 「코터」제를 10월15일 시한으로 일방 적용하겠다는 보도가 전해진 가운데 한미 섬유 회담의 미 측 수석 대표였던 「앤터니·주리크」씨가 22일 상오 돌연 내한했으나 정부와의 공식 접촉이 없는 가운데 그 동정이 「베일」에 싸여 주목을 끌고있다.
주리크씨는 20일 일본 정부에 닉슨 대통령의 새로운 섬유 수입 규제 정책을 전달하고 곧 한국에 비래했는데 일본에서는 주리크 대통령 고문이 『섬유의 정부간 협정에 응하지 않으면 10월15일부터 일방적인 수입 제한을 한다』는 강경한 방침을 통고한데 비추어 한국 정부에도 닉슨의 새 섬유 정책을 비공식으로나마 전달하게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일본과는 달리 정부간 협상 문호를 개방하고 있으므로 주리크씨는 이미 도미한 이낙선 상공 장관이 휴대한 방안을 비공식적으로 탐색하러 온 것이 아닌가 본다고만 설명하고 있다.
이 장관은 미국에서 한미 상공 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케네디 특사와도 만날 스케줄이 있기 때문에 미 정부안이 전해진다 해도 직접 이 장관에게 수교될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주리크 씨가 일본 정부에 전한 섬유 규제 내용은 ①이 달 말까지 섬유의 정부간 협정을 맺을 것 ②이것이 안 되는 경우, 미국은 통상 확대법 또는 대 적성 거래해 일방적 수입 제한을 10월15일부터 실시한다. 대상은 일본 등 극동 4개국 뿐 아니라 구주 제국도 포함한다. ③수입 제한 내용은 ▲개별 규제 ▲기준 연도는 69 또는 70년 ▲연간 신장률 3%로 한다는 것 등이다.
뿐만 아니라 미국은 사태의 추이를 보아 자동차·TV·탁상 전산기까지로 제한할 것으로 전해져 일본은 일종의 협박 전술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일본은 미국의 강경한 태도가 일본을 주공격 대상으로 함으로써 만약 일본이 정부간 협정에 불응, 사태를 악화시키면 책임을 자신들에게 돌리려는 복안이라고 해석하는 모양이다.
미국이 배수진을 치고 나서는 이유는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닉슨 대통령이 선거 공약을 충실히 이행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다분히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