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논리「양식」따르면 자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본회의는 9일 사흘째 안보문제와 사법부 파동에 대한 질의를 계속했다. 여야의원들은 9일 대정부질의에서 미·중공의 접근에 대처한 정부의 외교방안과 미·중공이 비밀협상에서 남북한의 동시 「유엔」가입을 흥정할 가능성 등을 물었으며 박일 의원은 한국정당들과 접촉할 용의가 있다는 김일성 발언에 대한 정부입장을 물었다. <질의·답변요지2면에>
김종필 총리는 답변에서 최근 북괴가 한국의 민주공화당 등 정당인들과 만나고 싶다는 등의 일련의 발언은 현단계에서는 선전에 불과하며 가치평가를 할 단계가 아니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정전위의 수석대표를 우리가 맡는 것이 도움이 된다면 과감하게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로저즈」 발언이 있은 후 『정부는 이를 검토한 끝에 「유엔」군사령관이 한국군수석대표를 임명한다면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피동적인 것이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이런 태세만을 갖추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김 총리는 「닉슨」의 북평방문과 관련하여 한미 두 나라의 관계조정이 있었는가에 대한 윤길중 의원(신민)의 질문에 대해 「닉슨」과 주은래와의 회담내용에 대해 『정부는 「닉슨」의 중공방문 때 한국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에 대비, 한국을 제쳐놓고 어떠한 한국문제도 거론될 수 없다는 정부의 의도를 이미 미국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 외무장관도 이 문제에 관해 『현 단계에서 아무 추측을 할 수 없다』면서 『그러나 우리의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회담이므로 우리 나라에 관련된 문제만은 사전에 우리정부와 미정부사이에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비적대국가와의 수교방식에 대해 『당분간 통상 「베이스」를 원칙으로 하되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정경분리 「케이스」 또는 경제협력 등 신축성 있게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통일논의는 자각 있고 양식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것이라면 장소·사람의 여하를 불문하고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갑종 의원은 「유엔」에서 남북한 동시 초청안이 이루어진 후 북괴가 「유엔」 감시하의 통일에 응할 때 정부태도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공화당은 이날로 대정부질의를 끝내려 하고 있으나 신민당이 오는 12일부터 물가와 수해처리 등에 대한 질의를 벌이자고 제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