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의 집약키로|개원하면 정전위 문제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국회가 개원되는 대로 정전 회담 수석 대표 교체 문제를 거론할 계획이다. 국회가 이 문제에 대한 정부 보고나 대 정부 질문을 하는 외에 정당 「레벨」에서 대표 교체 문제의 성격과 영향 등에 관해 의견을 조정하는 문제도 양당 관계자들이 검토하고 있어 이를 계기로 초당 안보 협의회의 구성이 촉진될 가능성도 보인다.
여야 당 간부들은 판문점 수석 대표 교체 문제와 관련하여 ①북괴의 선전 공세 강화 가능성 ②「닉슨·독트린」적용으로 인한 「유엔」군의 전반 철수 가능성 여부 ③교체를 추진 또는 거부할 경우의 대외적 반응 등에 관해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라는 견해들이다.
공화당의 한 고위 간부는 7일 상오 『한국은 전쟁 당사국이며 한국 문제에 관한 주체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 측이 수석 대표를 맡는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문제』라고 말하고 『그러나 대표 교체 후에 올 한국 안보가 중요한 과제이며 이에 대비하는 초당적인 안보 협의체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판문점 대표의 교체 문체와 관련, 국회가 개원되는 대로 김종필 국무총리의 국정보고를 통해 외교·국방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정 방향을 밝힐 계획이며 여야 중진 등에게 따로 주한「유엔」군 감축에 따르는 안보 대책 등을 설명할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이 간부는 전했다.
한편 신민당은 특히 「로저즈」수석 대표가 한국의 중요한 국가 이익이 걸려있는 수석 대표 교체 문제를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거론한 배경과 정부가 「이니셔티브」를 쥐고 사전 검토를 하지 못한데 대한 책임을 물을 생각이며 「로저즈」 발언에 대한 정부 관계 부처의 견해가 엇갈렸던 점도 지적할 계획이다.
박병배 신민당 정책위 의장은 6일 TBC-TV 「프로」에서 이러한 신민당의 입장을 밝히면서 『수석 대표의 교체는 바로 주한「유엔」군의 대거 철수의 전주곡으로 볼 수 있으며 북괴 선전 장으로 악용될 우려가 짙기 때문에 교체를 반대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