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자차관 한도 설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앞으로 공장가동에 필요한 자가 원료 도입을 내용으로 한 물자차관 도입 신청이 늘어날 것에, 규제방안과 함께 도입이 불가피한 물자차관의 업종별 한도를 사전에 설정, 이를 당해 업종의 모든 업체에 시설비율로 안배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관제 당국에 의하면 정부의 안정정책으로 업계의 자금난이 해소되기 어려운데다 공장가동에 필요한 원자재 수입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에 내자 조달용이 아닌 자가소승용 물자차관 도입경향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 사전에 국제취지 계획과 관련하여 한도를 정함으로써 도입액을 규제하는 한편 동일업종의 모든 업체에 혜택을 고루 부여하자는 것이다.
한때 주춤했던 물자차관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개를 돌기 시작, 자동차 부품과 일부 섬유업계에서 상당액이 도입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경부의 움직임과 관련, 상공부는 원유를 비롯, 고철·원목·원저 등 도입원자재를 물자차관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중 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상공부는 이 물자차관을 올해 수출지원 시책의 하나로 확보 지원키로 한 중장기 시책 자금 70억원∼1백억원 조달방안으로서 추진중이다.
관계 당국자는 수출산업에 대한 내자지원자금 확보방안이 여러 각도로 검토되고 있다고 말하고 상반기 안에는 방출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는데 도입될 대상 물자 중 원유는「걸프」및「칼텍스」등 도입 선과의 교섭이 상당히 진전, 곧 매듭 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