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경매시장서도 상한가

조인스랜드

입력

서울 강북 뉴타운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매시장에서도 이 지역에서 나온 물건이 인기를 끌고 있다.

성북구 길음동·은평구 진관내외동·성동구 왕십리동 등 뉴타운 개발 예정지와 그 인근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위장전입 등을 강도 높게 조사하고 있지만 법원 경매는 예외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매시장에 나온 뉴타운 지역내 물건에는 입찰자가 몰리고 낙찰가가 감정가를 훌쩍 뛰어넘어서 과열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경매 열기 후끈=지난 달 법원 경매시장에 나온 성북구내 아파트 낙찰가율(최초 감정가 대비 낙찰가)은 지난 9월 86%에서 10월에는 1백1.1%로 15.1%포인트나 껑충 뛰었다.

성동구도 9월 1백.13%에서 10월에는 1백9.58%로 9.45%포인트 상승했다.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이 9월 99.73% 대비 10월 98.59%로 1.14%포인트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아파트뿐 아니라 뉴타운내 토지·단독주택들도 인기다.지난 11일 입찰한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의 대지(23.9평)는 11명이 응찰해 감정가(5천40만원)의 2백43.27%인 1억2천2백61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12일 입찰한 은평구 진관내동의 밭(5백52평)도 9명이 응찰해 감정가 9억7천2백93만2천원짜리가 10억8천8백만원에 낙찰,낙찰가율이 1백11.83%에 이르렀다.

경매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법원 경매에 부쳐지는 것은 대부분 뉴타운 개발 계획 발표 전에 감정한 것이어서 낙찰가율이 높더라도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에 투자자들이 몰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뉴타운 해당지역뿐 아니라 주변 지역도 노려볼 만하다.법무법인 산하 강은현 부동산팀장은 “뉴타운 개발에 따라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곳이 많다”며 “성북구 정릉동,성동구 홍익·도선동,중구 신당·황학동,종로구 숭인동 등이 유망지역”이라고 말했다.

◇투자요령과 유의점=뉴타운에 대한 개발 기대심리가 커지자 경매를 취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시세가 오르기 시작하자 대출 등을 받아 원소유자들이 채무를 갚아버리는 것.때문에 입찰 전에는 경매 취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다른 입찰 후보군을 몇 개 선정해 놓는 게 좋다.

입찰물건은 개발계획 이전에 감정가가 책정된 것이 유리하다.경매는 보통 입찰부터 낙찰까지 2∼3개월 이상 걸리는데 개발계획 발표후 나온 물건은 감정가가 높아 시세차익이 줄어들 수 있다.

개발예정지안의 건물은 낡아도 무방하다.감정가가 낮아 땅값만으로 낙찰받을 수 있고,오히려 리모델링을 할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입찰에 앞서 권리분석은 기본.소유권 행사가 불투명하거나 개발제한·고도제한 등 규제는 없는지도 파악해야 한다.분위기에 휩쓸린 ‘묻지마 입찰’은 금물이다.주변 시세보다 가격이 싼 물건만 도전한다.

뉴타운지역내 토지·단독주택 등은 개발할 때 보상방식도 중요하다.만약 수용되거나 현금으로 보상받으면 공시지가가 감정가에 못미칠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공영개발로 수용되지 않는 곳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조인스랜드) 서미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