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기 억제 특조 법 개정안|대단위 거래에 세수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부동산 투기 억제에 관한 특별조치 법은 당초 정부개정안에서는 가격 상승률이 높거나 대조 위의 거래에 대해서는 압제 조치를 강화하려 했으나 국회 심의 과정에서 대폭 수정, 완화 됐다.
즉 정부 개정안은 공제 범위에 있어 물가 상승률을 물상 상승과 금리를 감안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율(약 15% 정도)로 확대하고 면세점 20만원을 신설하는 대신 세율을 80%로 인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국회 심의 과정에서 면세점을 50만원으로 높이고 세율은 현행 50%를 그대로 두기로 수정되는 한편 면세 대상도 대폭 확대하는 방향으로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매입 가격과 매도 가격 차액에서 자본적 지출, 양도 비용, 물가 상승률과 금리를 감안한 일정 율(15% 예정)을 공제한 과세 기준이 50만 원 이하일 때 일반 거래도 면세되므로 앞으로는 가격 상승률이 높은 대단위 거래만 과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면세점과는 관계없이 ▲8년 이상 경작한 농지 ▲5년 이상 경영한 목장과 사회복지 법인이 소유한 토지 및 농지의 교환 ▲63년 1월1일 이전에 소유한 토지 ▲주택 공사· 도로공사· 주택은행·신탁은행 및 그 대행 자를 면세 대상에 새로 추가하는 한편, 지금까지 국세청의 시가 표준액에 의해 매매 차익을 산출하던 것을 실지 거래 가격에 의해서도 양도 차익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당초 정부개정안에서는 10년 이상 경작한 농지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 기관 및 공공 기관 토지만을 면세 대상에 추가키로 했었다.
이처럼 부동산 투기 억제세법이 대폭 완화됨에 따라 지금까지 이 법 때문에 위촉되었던 부동산 거래가 다시 활기를 찾게 될 것 같다.
특히 면세점 50만원이 신설됨으로써 대단위라도 분할 매각하면 세 부담을 면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