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전산센터 일감 400억 특정업체로 … 입찰비리 의혹 짙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정부 전산망을 통합 관리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가 입찰 비리 의혹에 휩싸였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안전행정부 소속으로 1센터는 대전에, 2센터는 광주광역시에 있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11일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 사무실과 용역업체 D사 문모(47) 대표의 자택·사무실 등 11개 장소에 대해 압수수색을 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광주 지역 IT 업체인 D사는 지난해 12월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의 전산 유지·보수 관련 용역업체로 선정되는 과정에서 센터 소속 공무원과 입찰 심사위원을 상대로 금품·향응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D사는 이 센터에서 발주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용역 등 9개 사업 중 7개를 따낸 것으로 나타났다. 7개 사업의 규모는 약 400억원이다. D사의 연간 매출액(약 200억원)의 2배 가까운 대형 사업이다. D사는 2003년 직원 7명으로 설립돼 지난해 120명 규모로 늘어나는 등 최근 급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광주 지역에서 받은 제보와 첩보, 계좌·통신 수사를 통해 문 대표 등이 센터 공무원과 심사위원 등을 상대로 금품과 향응을 제공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D사가 입찰 심사에 앞서 미리 심사위원 명단을 확인한 정황도 확인했다고 한다. 경찰은 이 업체가 입찰 심사위원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 대학 교수 등 수십 명을 관리해 온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하드디스크, 입찰 관련 서류를 분석한 뒤 문 대표 등 핵심 관련자에 대한 소환조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경찰은 D사 임직원 3~4명에 대해선 출국금지 조치를 했다. 또 D사가 대전정부통합전산센터와도 용역 계약을 맺은 사실을 확인하고 이날 대전 센터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 관계자는 “계좌추적 등으로 돈의 흐름 등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제보·첩보 내용을 입증할 만한 정황 증거가 확보돼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은 것”이라며 “공무원이나 심사위원 등이 어느 선까지 연루됐는지 등은 추후 관련자 소환조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