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입장도 내세운 온건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각 기획조정실은 5·16혁명이후 정부업적을 총결산하는 근대화 백서를 내년초 발간할 계획이다.
박정희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준비되고 있는 이 백서는 『단순한 선전을 위한 치적수록이 아니라 공화당 정부가 그동안 해온 모든 일을 분석·평가하여 자기 반성의 자료로 삼으려는데 있다.』는 것이 한 관계자의 설명. 그래서 실무자들은 각 부처별 자료수집을 통해 이른바 시행착오에서 온 잘못된 점도 모으려고 하는데 각 부처에선 잘된 것만 내놓으려고하여 애를 먹고 있다고-.
5백여 페이지나 되리라는 이 백서에 대해 최주철 기획조정실장은 『근대화의 문제점을 찾아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정부의 자가비판 논문이 될 것』이라고 별렀으나 내년 총선을 앞둔 때라 비판 부분이 어느 정도 들어갈지는 두고 보아야 한다는 국외자도 있다.
의원 겸직문제는 법사위에서 곧 다루어지게 됐지만, 공화당안에는 강·온 양론이 있어 승강이가 벌어졌었다. 즉각적인 의원직 상실통고를 주장하는 강경론은 윤치영당의장서리, 오치성사무총장, 장경순국회부의장등이 정치적 수습을 바라는 온건론은 백남억정책위의장, 김진만원내총무, 이만섭부총무등이 주장하고 있는데 유당의장서리는 『이의장이 왜 깔고 뭉개는지 모르겠다.』고 법사위 회부를 못마땅해 했다.
오총장은 『위법자가 얼마가 되든 법대로 처리를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강경론을 펴는가하면, 백의장은 『동향 출신인 김세영의원이 의원직을 잃게되면 내 입장만 거북하게 된다.』고 개인적인 입장까지 내세우며 온건론을 주장.
이런 틈바구니에 끼어 이효상의장은 25일하오 두 김의원 문제를 법사위에 넘겨놓고 과로와 수면부족으로 혈압이 갑자기 높아져 안정치료를 받고 있다.
이의장이 겸직문제를 법사위에 넘긴 결정은 공화당 간부들에게 인기가 없다.
공화당 원내총무단은 이 회부조치후 국회운영위의 이호진전문위원, 하재구의사국장등을 불러 법사위에 회부확인을 받도록 한 64년 2월의 유권해석과 법해석을 자문했다.
연이어 열린 당간부와 소속 법사위원 연석회의는 이의장의 결정에 대한 비난이 많았다는 것이며 법사위에서 이 문제처리를 의장에게 되돌려 보내도록 하자는 얘기까지 나왔다고.
회의에 참석하고 나온 어느 간부는 『64년의 유권해석에 따라 법사위에 넘기려면 진작할 것이지 이제 무슨 꼴이냐』면서 『이번 일로 스타일만 구겼다』고 투덜투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