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엔지니어링, GS건설에도 억대 뒷돈 진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검찰이 도화엔지니어링이 조성한 비자금 수백억원 중 일부가 GS건설과 대우건설 등 1군 건설사 2곳에 흘러간 사실을 확인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여환섭)는 도화엔지니어링 임직원 A씨에게서 “4대 강 1차 보(洑) 공사를 앞두고 설계를 수주하기 위해 GS건설에 청탁 명목으로 현금 1억~2억원을 건넸다”는 취지의 진술을 받아냈다. GS건설은 낙동강 함안보와 금강 부여보를 시공했고 도화엔지니어링은 이들의 설계·감리를 맡았다. 검찰은 도화엔지니어링이 입찰 담합 단계부터 GS건설과 짝을 이뤄 공사 수주에 나선 사실을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리베이트 형식으로 청탁성 뒷돈이 오고 간 것으로 보고 비자금의 나머지 용처를 쫓고 있다.

 A씨는 앞서 검찰에 “GS건설에 준 것과 같은 명목으로 대우건설에도 현금 4억여원을 건넸다”고 진술했었다. <중앙일보 6월 13일자 14면

검찰은 도화엔지니어링이 대우건설과도 함께 1차 공사 입찰에 참여했지만 낙찰에는 실패한 사실을 파악했다.

 낙찰 여부와 관계없이 입찰 참여 단계부터 담합 카르텔 안에서 억대 로비자금이 관행적으로 오고 갔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검찰은 지난달 31일 서종욱(64) 전 대우건설 사장을 불러 해당 의혹을 추궁했으나 서 전 사장은 혐의를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통상 건설현장에서 시공사와 설계·감리사가 갑과 을의 관계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도화엔지니어링뿐 아니라 4대 강 사업에 참여했던 나머지 설계업체 10여 곳도 같은 방식으로 1군 건설사들에 돈을 상납했는지 조사 중이다.

 검찰은 우선 도화엔지니어링 김영윤(69) 회장에 대한 구속 여부가 결정되는 대로 김 회장을 압박해 추가 로비 정황을 밝힐 계획이다. 김 회장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서울중앙지법 전휴재 영장전담 판사 심리로 8일 오전 11시 열린다. 김 회장은 검찰 조사 단계에서 비자금 조성 사실은 일부 시인했으나 “상당액을 직원들에게 성과급으로 나눠 주는 등 내부 용도로 썼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건설사들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4대 강 공사와 무관한 건설현장에서도 비자금이 일부 조성된 정황이 나왔다. 검찰은 하청업체에서 청탁 명목으로 10억원을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현대건설 토목사업본부 현장소장 한모(49)씨에 대해 6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심새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