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216 포커스: 리베이트 쌍벌제 규제 얼마나 풀릴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강의료·자문료 포함' 공감대- 견본품 수량 기준도 개선 의·산·정협의체 25일 마무리…투명성 개선 전제조건 2010년 11월 28일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된 지 2년 7개월여 만에 관련 단체와 정부가 협상 테이블에 마주앉았다. 쌍벌제 제도개선 논의를 위해서다. 의협, 병협, 의학회 등 의료계뿐 아니라 치협, 약사회, 제약협회, KRPIA(다국적의약산업협회), 도매협회, 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의료기기산업협회까지 모인 곳만도 10개 단체다. 이름하여 '의(醫)·산(産)·정(政) 협의체'

의사 인력 공급 과잉 심화, 개원의는 감소 건정심 제 역할 못하더니 결국… “의료산업 수출 최전선 우리가 맡는다” 국회도 ‘행위별수가제 문제 있다’ 지적 제주도 심야약국 가보니 이런 불법행위가…

편의점 안전상비약 판매, 부작용 걱정했는데… 길레니아, 기존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는 ‘모두 물럿거라!’ 폐동맥 고혈압치료제도 출혈경쟁하며 저가 행진 작은 동네 식당 외식 메뉴도 영양성분 쉽게 산출한다는데… 식약처, 제약업계 CEO와 소통한다

[카바수술 이야기]⑨ 꿈속의 할아버지

[인기기사]

·[포커스]리베이트 쌍벌제 규제 얼마나 풀릴까 [2013/07/14] 
·의사 인력 공급 과잉 심화, 개원의는 감소 [2013/07/15] 
·“의료산업 수출 최전선 우리가 맡는다” [2013/07/15] 
·성공개원 위한 학술 컨퍼런스 열려 [2013/07/15] 
·식약처, 제약업계 CEO와 소통한다 [2013/07/15] 

중앙일보헬스미디어 webmaster@jhealthmedia.com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