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 새누리 "범위 최소화하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야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원본과 음성파일 열람에 합의했지만, 공개 방식과 범위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국회 표결로 열람까지는 합의했지만 원본,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대화록 육성이 공개될 경우 실익보다는 부작용이 더 클 것이란 게 공통된 인식이다. ‘기록물을 누설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7년 이하의 자격정지’에 처하도록 돼 있는 현행법(대통령기록물관리법)도 걸림돌이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4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개 범위를 최소화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열람 주체를 정보위·외통위·국방위 등 관계 상임위 소속 의원으로 제한하거나 여야 의원 10명씩, 이런 식으로 할 수 있다”며 “회의록 전부를 공개할 순 없고 대신 메모를 해서 일부 내용을 기자회견으로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이 오는 12일께 회의록(사본)을 가져올 건데 책자 100권 분량이라 적어도 3주는 봐야 할 것 같다”고도 했다. 그는 “의원들이 노트북 컴퓨터로 메모를 하고 그 내용을 발췌해 기자회견을 하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와 만나 “회담록 공개에 면책특권을 활용하는 전례를 남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가 자료 제출안을 통과시킨 건 국정원에 의해 불법적으로 폭로된 대화록의 진위를 확인하고, 국론 분열을 종식시키려는 거지 공개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라며 “공개는 여야 합의하에 최소한의 범위에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칫 의원들이 법 위반을 피하면서 파일을 공개하기 위해 면책특권에 기댈 가능성이 있는데 이걸 여야가 합의해 사전에 막아야 한다는 취지다.

정 수석부대표는 “정치쇄신의 일환으로 민주당뿐 아니라 새누리당도 면책특권을 남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었는데, 이에 배치되는 결정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인식·이소아 기자

관련기사

▶ 김한길 "정상회담 회의록 대선 전 유출, 밝혀내야"
▶ 민주, 김무성·권영세·정문헌·남재준 7일 고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