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복권 로마때 기금 모금서 유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온나라가 복권 열풍에 휩싸였다. 학생들도 휘말려 교실까지 술렁인다. 지난해 12월부터 판매된 로또복권 1등 당첨금이 천문학적으로 불어나며 빚어진 사회현상이다. 복권을 발행하는 이유와 그 유래, 당첨 확률 등을 공부한다.

복권은 국가나 공공기관 등이 특정한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려고 발행해 판매하는 표(票)다. 번호.그림 등이 표기된 표를 판 뒤 추첨을 한다. 당첨자에겐 표의 값보다 많은 금액을 배당한다. 당첨자에게만 배당이 돌아가기 때문에 구매자들 간의 이익 분배가 불평등하다.

복권의 기원은 서양의 경우 고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서기전 63~서기 14)가 로마를 복구하기 위해 연회에서 복권을 팔고 당첨자에겐 노예.집.배 등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5대 네로(37~68)가 로마 건설 자금을 충당하려고 발행했다는 설도 있다. 동양에서는 중국의 진나라(서기전 221~서기전 207) 때 만리장성 축조 등 국방비 조달을 위해 복권 게임을 시행했다고 한다.

근대적인 복권의 효시는 1530년대 이탈리아의 도시국가 피렌체가 공공사업을 위해 발행한 '피렌체 로또(lotto.행운)'다. 당첨금을 현금으로 주는 번호 추첨식 복권으로, 이 복권이 성공하면서 '로또'라는 말이 복권의 보통명사가 됐다.

복권을 발행하는 나라는 현재 1백여개에 이른다. 수익금은 국가의 기간시설 건설이나 의료.복지.체육.교육.문화.관광 등 공익사업에 쓰인다.

우리나라 복권의 유래는 민간협동체인 계(契)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 후기 산통계(算筒契) 등이 그것이다. 산통계는 통이나 상자 속에 계원의 이름이 적힌 알을 넣은 뒤, 그 통을 돌려 나오는 알에 따라 당첨을 결정했다.

근대적 의미의 복권 효시는 47년 대한올림픽위원회가 이듬해 열리는 런던 올림픽대회 참가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올림픽후원권'이다. 지금은 주택.체육.기술.복지.기업.관광복권과 신용카드영수증복권 등 다양한 목적의 복권들이 나왔다.

1등부터 꼴찌 당첨(대체로 6등)까지 모두 포함한 확률은 복권 발행기관들이 자율 협의하기 때문에 비슷하다. 추첨식은 33.2%,다첨식은 20%, 즉석식은 29% 전후다.

※본지 학생 명예기자들의 복권에 대한 생각은 NIE 홈페이지(nie.joins.com) '우리들의 눈'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태종 기자 <taej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