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닷없는 외교관례 논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의좋은 「랑데부」를 여러 차례 꾀하던 공화·신민 두 당은 이번에 원내 총무를 포함함 종진급 의원7, 8명의 월남시찰여행계획을 마련했다.
이 계획은 10여일 전 김진만 정성태 두 총무가 만난 사도에서 얘기가 나와 며칠전 공식으로 합의, 1일 국군의 날에 맞추어 가기로 스케줄을 짰었으나 특감 때문에 이달 중순께로 연기했다는 것.
김 총무는 이 사실을 박정희 대통령에게도 보고했는데 박 대통령은 『퍽 좋은 일』이라고 말하면서 『내가 직접 채명신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시찰에 각별한 편의를 제공토록 하겠다』고 약속을 했다고.
양당 영수급은 12월말의 별도 방월 계획이 검토되고 있어 이번 시찰단에서 빼기로 했으며, 외유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월남만을 다녀오기로 했다고.
외무부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하던 2일의 외무위원회는 느닷없이 「외교관례」논쟁을 한바탕 벌있다. 대일외교 및 제2차 한일각료회의에 내한 외무부측의 선명을 듣다가 『국제관례로는 「정기협의」의 수석은 으례 쌍방의 외무부장관인데 한일의 경우 일본측 수상은 외상이고, 우리측은 외무장관이 곁다리니 웬일이냐』는 질문을 이동원 의원(십오구)이 던진 것이 발단.
차지철(공화)의원도 할말이 많았다는 듯 『외무부는 권위와 권능을 무시당해도 가만히 있느냐.』
『외무부장관이 미국의 유엔 대사를 트랩까지 출영하는 것은 어디서 나온 의전이냐』고 욱박지르는 통에 국정감사는 외교관례·유엔 대사지위론을 곁들여 결국 외무부의 자기격하에 화살을 모았다.
최규하 외무부장관은 『정부조직법상 경제기획원장관이 상직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미국의 주 유엔 대사를 비행장까지 출영한 것은 개인적인 친분 대문이었다』고 어물어물 넘겼는데, 여야의원들은 명년에 열리는 제3차 한일각료회의부터는 외무부장관이 수석이 되도록 밀겠다고 언약을 한마다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