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상생에 1조2000억 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삼성이 협력업체와의 상생에 5년 동안 1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삼성전자에 1·2차 협력업체를 체계적으로 지원·육성하기 위한 ‘상생협력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중소기업·벤처·개인창업가에게는 무상으로 특허를 공개한다. 삼성그룹은 이 같은 내용의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우선 올해 3270억원을 먼저 투입한다. 이 가운데 2290억원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목표로 1차 협력업체 지원에 사용한다. 1차 협력업체 가운데 19개사를 후보군으로 선정해 자금과 개발을 지원하고, 제조·구매 분야의 컨설팅 인력을 무상으로 파견한다. 기술 분야에서는 해당 업체들이 신공법 개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500억원의 저금리 대출 등 금융 지원도 병행한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를 비롯한 11개 관계사가 1770억원을 조성해 협력업체 생산성 향상과 연구개발 비용을 대기로 했다. 1차 협력업체 지원 대상은 2015년까지 50개사로 늘어난다.

 2차 협력업체의 제조 역량 강화에도 나섰다. 올해 총 350개 2차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70억원을 투자한다. 원기찬(부사장) 삼성전자 인사팀장은 “제조현장 혁신, 프로세스 혁신, 생산기술 지원, 교육 등 4대 분야로 나눠 협력업체의 취약점에 따라 맞춤형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임원과 간부로 구성된 협력업체 컨설팅팀 200명 중 60명은 2차 협력업체 전담으로 배정돼 경영관리·구매·생산·마케팅 등 경영활동을 지원한다.

 협력업체에 한정했던 특허 무상 공개는 중소기업·벤처·개인창업가로 확대하고 특허 범위도 확대된다. 계열사 가운데 삼성SDS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정보통신기술(ICT)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골목상권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매년 100명씩, 5년간 500명의 ICT 전문가 상인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 같은 프로그램의 종합관리는 상생협력 아카데미가 맡는다. 삼성 관계자는 “센터 건립에 나선 것은 이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꾸준히 하겠다는 뜻”이라며 “국내 780개 1차 협력업체, 3400개 2차 협력업체 가운데 10~20%만 강소기업으로 성장해도 국가 경쟁력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