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교사 이동 「최대규모」 안팎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서울시 교육위는 지난 24일 시내 국민교교사 2천2백57명, 중·고교교사 2백60명 둥 모두 2천5백17명의 이동을 단행했다.
이번 국민교교사 이동은 전체국민교교사 7천6백50명의 30%에 해당하는, 건국이래 최대규모.
시교위는 이혜우 초등교육과장, 정상민 인사계장, 장학사 등 10명의 인사위원을 위촉, 『만일 공정을 기하지 못해 잡음이 생길 때는 사임한다』는 각서까지 받았었다. 이들은 서대문·영등포 등지에서 회동, 극비심사를 했다.
이에 앞서 문교부는 2월1일자로 시교위 학무국장과 초등교육과장을 각각 경질했고 인사계장은 한달동안 3명이나 갈아치웠다.
인사이동에 앞선 이 같은 인사파동은 심사에 공정을 기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낳게 했으나 이동이 있기 몇 달 전부터 끈을 잡아온 일부교사들을 실망시켰다.
올해가 6원제순환근무제의 마지막해이고 대규모인데다가 부탁을 하면 어느 정도 통해온 사례도 있은 탓인지 운동도 치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발표가 있자 일부 문교부 실무자와 교육위원들이 화를 냈다는 후문도 있을 정도로 올해 교사이동은 비교적 무난했다는 평.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번 이동이 이동대상자를 전원 이동시켰다는 명분만은 세웠으나 연구시범학교의 우수교사, 또는 교육감표창을 받았다는 조건으로 가뜩이나 문이 좁은 특A교에 20명을 보내는 등 A, B, C 모두 합쳐 88명에게 특례(?)를 주었고 특A교의 경우 E교에서 이동된 교사가 단1명인 반면 A교에서 옮긴 교사가 29명에 이르고 있는 점 등은 형평의 원칙을 벗어난 것이라고 비난하고있다.
교육전문가들은 교장이 단독으로 채점하는 근무성적을 인사이동에 큰 비중을 두게 한 것은 정실에 흐를 위험이 있고 근무성적이 좋은 교사들을 특A나 A, B 등 상위 「그룹」에 집중시킨 것은 학교차를 더욱 조성, 교육이념에 벗어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