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 외교는 정경 분리…중국과는 정치도 경제도 뜨겁게 발전시킬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정경분리’라는 대일외교 원칙을 밝혔다. 26일 한국외교협회(회장 김용규) 41회 정기총회 축사를 통해서다.

 윤 장관은 일본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웃 국가 정치지도자들의 시대착오적인 언행으로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우리의 노력과 크게 배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개탄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추세가 일본의 국내 정치일정상 당분간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제적 협력은 지속할 것임을 정경분리 원칙이란 표현으로 설명했다. “민간분야의 교류도 계속 유지한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일본뿐 아니라 4강 외교 방향을 정리해 소개했다.

 새 정부 들어 부쩍 가까워진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정열경열(政熱經熱)’의 관계로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중국과 수교 이래 20년 동안 경제관계는 뜨거우나 정치관계는 경제관계만큼 미치지 못하는 관계를 가져온 게 사실”이라며 “24일 중국을 방문해 왕이 부장과 장시간에 걸쳐 회담을 하고 양국 관계를 ‘정냉경열(政冷經熱)’ 관계에서 ‘정열경열’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주로 다가온 한·미 정상회담을 4강 외교의 첫 단추로 지목했다. 윤 장관은 “앞으로 60년의 비전과 로드맵을 만들어 나갈 생각”이라며 정상회담의 3대 목표를 공개했다. ▶오바마 대통령과의 친분 및 신뢰강화 ▶성공적 의회합동연설 ▶동맹 60주년을 기념하는 공동선언문이었다.

  또 “러시아와는 그간 푸틴 정부와 이렇다 할 만한 진전이 없었는데 박근혜정부는 푸틴의 동진정책, 아시아·태평양 중시정책과 우리의 유라시아 정책을 접목해 공동의 이익에 부합하는 성과를 도출해 보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이날 ‘일본각료 등 야스쿠니신사 참배 및 침략전쟁 부인 망언 규탄 결의안’을 채택했다.

정원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