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역사해석 변경 움직임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커트 캠벨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기 정부에서 아시아 외교에 깊이 관여했다 최근 퇴임한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에 공개적인 우려를 표시했다. ‘지일파’로 통하는 그는 9일자 아사히(朝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솔직히 말해 역사의 해석을 바꾸려는 움직임에 나 자신부터 우려를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군 위안부 문제가 한·일 관계에 미칠 악영향을 미국 정부가 우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캠벨 전 차관보는 “그것(역사 해석 변경)보다는 한반도의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응할지 등 공통의 가치를 (일본 정부가) 생각했으면 좋겠다”며 “한·일 양국 지도자들이 어떻게 신뢰를 쌓을지, 미·일과 한·미 간의 안보 협력을 어떻게 3국화(한·미·일 3국 간의 협력)할지가 (일본이 추구해야 할) 공통의 가치”라고 말했다. 위안부의 강제 동원 사실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한 1993년의 고노(河野) 담화를 제멋대로 바꾸려는 아베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다.

 그는 8일 중의원에서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와 관련, “내각 전원이 참배해야 한다든지, 참배해선 안 된다든지 하는 식으로 말할 생각이 전혀 없다. 각료들의 자유의사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원칙적으로 각료 자격의 참배를 자숙시켰던 민주당 정권과는 다른 태도다. 민주당 정권에서도 ‘개인적 참배’라고 둘러대며 야스쿠니를 찾은 각료들이 있었던 만큼 자민당 정권에선 ‘각료 자격’으로 떳떳하게 참배하는 이들이 넘쳐날 전망이다. 또 8일 아베가 주재한 각료회의에선 시마네(島根)현이 독자 제정했던 2월 22일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명)의 날’을 정부 차원에서 기념일로 제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산케이(産經)신문이 보도했다. 

서승욱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