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2차 협력사도 자금 지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현대·기아자동차가 2차 협력업체 5000여 곳으로 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원화가치 상승과 내수 침체로 경영난을 겪는 영세 협력업체도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는 방침에서다.

 현대·기아차는 기존 1차 협력업체 300여 곳에만 제공됐던 동반성장펀드와 상생금형설비펀드를 이달부터 2차 협력업체로 확대 적용한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2차 협력업체는 기존 패밀리 네트워크론과 상생보증 프로그램을 포함해 네 가지 형태의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동반성장펀드는 대기업이 은행 등 운용기관에 맡긴 자금을 협력업체에 저금리로 대출해 주는 기금이다. 삼성전자와 현대차·포스코 등에서 수조원대의 자금을 조성해 운용해 왔으나 수혜 대상은 이들과 직접 거래하는 ‘1차’ ‘우수’ 협력업체에 그쳤다. 이번에 현대·기아차가 지원 대상을 크게 넓힌 것이다.

 현대차는 또 신차종 투입에 따른 금형설비 투자를 지원하는 녹색금형펀드를 ‘상생금형설비펀드’로 이름을 바꾸고 지원 대상을 2차 협력업체로 확대키로 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녹색금형펀드를 만들어 500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 같은 자금 지원을 통해 2차 협력업체가 시중은행보다 연 2%포인트가량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책정된 지원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현대·기아차는 아울러 1차 협력업체 역시 2~4차 영세 협력업체를 적극 배려하도록 관련 규정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현대차는 이를 위해 올해 안에 ▶1·2차 협력업체 간 대금 지급조건을 준수하고 ▶원자재 값 변동을 납품단가에 연동하며 ▶계약서를 서면으로 주고받는 문화가 자리 잡도록 한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또 동반성장협약 체결 기업을 지난해 말 수준(1차 10개사, 2차 533개사)에서 크게 늘려 올해 1차 300여 개사, 2차 5000여 개사 등 모든 1·2차 협력업체로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납품업체 교육을 지원하거나 상호협력을 요청하는 공문 발송 등 소극적인 수준의 1·2차 협력사 간 상생을 유도하는 데 그쳤었다”며 “이제는 1차 협력업체 선정 때 2, 3차 업체를 배려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 또는 제재하는 방안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연구원 김세종 선임연구위원은 “중소 협력업체 간 거래 문화가 개선되는 데 대기업이 자금과 교육 지원 등을 연동한다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상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