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서 한국내 유언비어 유포하는 1:9:90 법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북한이 중국에 있는 사이버 요원들을 동원해 400여 개의 트위터·유튜브·페이스북 한국 계정을 갖고 대남 선전을 벌이고 있으며, 국내에 80여 개 인터넷 사이트도 개설해서 운영하고 있다고 국가정보원이 31일 밝혔다. 계정 대부분은 한국에서 불법 입수하거나 유출된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이용해 만들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은 이날 이 같은 실태를 공개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국정원은 “북한의 사이버 대남 심리전 공세가 강화됨에 따라 대북 심리전의 일환으로 인터넷상의 종북 활동을 추적·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2000년대 들어 익명성이 보장되고 사용 인구가 4000만 명에 달하는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러곤 인터넷을 ‘항일 무장투쟁 시기의 총과 같은 무기’나 ‘국가보안법의 해방구’로 여기고 사이버 선전선동을 강화했다고 한다. 북한 요원들은 국내 사이트에 가입해 정부를 비방하는 동영상과 사진·댓글을 통해 흑색선전을 벌이고 유언비어를 확산시켰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북한의 유언비어 유포는 1 대 9 대 90의 패턴을 보였다고 한다. 북한 사이버 요원 한 명이 선동글을 올리면 국내의 핵심 추종 세력 9명이 실시간으로 퍼 날랐고, 이를 90명 이상 보는 양상이었다.

 국정원은 민주통합당이 문재인 전 후보 비방 댓글을 단 것으로 지목한 여직원 김모씨가 이런 활동해 대응하는 요원이었다고 밝혔다. 문 전 후보에 대해선 댓글을 게재한 적이 없고 북한 찬양·미화 내용의 글에 대응하는 정상적 대북심리전을 수행했다는 것이다. 김씨는 실제 “핵·미사일 개발할 돈은 있으면서 기아에 허덕이는 주민들 밥 먹일 돈은 없다는 게 아이러니”라는 등의 글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