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일 재계회의 참석 와다 일 경단연 사무총장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일본에선 지금 다른 나라와 손잡지 않으면 뒤쳐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습니다."

2001년도 한.일 재계회의에 참석차 방한 중인 일본 경제단체연합회(經團連.게이단렌)의 류코와다(和田龍幸.사진)사무총장은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체결의 필요성을 이렇게 설명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http://www.fki.or.kr)와 게이단렌은 26일 회의에서 불황 극복을 위해 긴밀한 산업 협력이 필요하며, 특히 FTA를 맺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었다. 게이단렌 사무총장은 한국 전경련의 상근부회장 격이다.

-한일 FTA를 맺으려면.

"양국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우선 관세와 인.허가 등 기업이 해결할 수 없는 제도적 장벽을 없애자고 합의해야 한다. 또 비관세 장벽.노동.인증.비자.표준화 문제 등도 FTA에 포함해 다뤄야 한다."

-이번 회의에선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또는 아시아 경제협력체 결성 논의도 있었는데 중국이 이에 응할 것으로 보는가.

"응하지 않을 리가 없다.'아세안+동북아'에서 한국과 일본이 전체 경제력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한.일이 빠지면 시장 성립이 안된다."

-한.일간 FTA가 체결돼도 일본의 유통 구조가 배타적이라서 일본 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많다.

"잘 이해되지 않는다. 가전제품의 경우 대리점 등 특정 회사 제품만 취급하는 유통 구조를 문제삼는 것 같은데 모든 제품을 다 취급하는 점포가 더 많다.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낮은 것은 유통구조보다 소비자의 기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기업의 중국 투자가 본격화하면서 일본에서도 산업공동화 우려가 높지 않은가.

"사실 이런 우려가 높다. TV 등 5대 가전제품의 경우 예전엔 1억2천만대가 일본에서 생산됐지만 지금은 4천만대밖에 생산되지 않는다.

해외 투자가 일본 불황의 주요 원인이다. 일본 정부는 산업공동화 긴급대책을 세우고 있다. 일본을 먹여살릴 새로운 산업이 나와야 하는데 단시일내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엔화가 과대평가돼 있는 것도 문제다."

김영욱 전문위원young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