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자료 요청 기자들에 "굳이 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역대 청와대 비서실은 1실 11수석(김영삼 정부)→1실 6수석(김대중 정부)→2실 8수석(노무현 정부)→2실 9수석(이명박 정부)으로 바뀌어 왔다.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는 2실 9수석 체제다. 실장과 수석의 숫자로만 보면 현 정부와 같지만 “기획관을 모두 없애고 비서관 자리를 줄였다”(유민봉 국정기획분과 간사)는 설명이다. 이명박 정부는 인사기획관 등 기획관(급) 여섯 자리를 두고 있다. 역대 정부에서도 장관급 특별보좌관을 따로 두거나 실세 로 통하는 국정상황실을 운영했다.

 ‘박근혜 청와대’는 기획관·국정상황실로 흩어져 있던 업무를 수석실로 통폐합해 비서실 구조를 일원화한다. 하지만 비서실의 역할은 크게 확장되지 않을 전망이다. “비서실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할에 집중한다”(윤창중 인수위 대변인)는 설명이다.

 실장과 수석 숫자만 따졌을 땐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와 비교하면 다소 늘어났다. 이명박 정부는 1실 7수석 체제로 출범했다. 장관급이던 경호실장을 차관급인 경호처장으로 낮추는 등 조직 축소를 꾀했다. 그러나 국민과의 소통 강화 차원에서 사회통합수석 자리를 새로 두고, 출범 당시 폐지됐던 정책실장 자리도 정부 출범 1년반 만에 되살아나면서 현 체제가 됐다.

 청와대 비서실이 본격적으로 대통령의 참모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 때부터다. 박 대통령은 필요에 따라 구조를 바꿨지만 총무·공보·정보·민원·의전·정치·외교·농림·행정 수석 등으로 구성된 비서실의 골격은 유지했다. 특히 경제 부문은 경제 1·2·3 수석을 따로 두기도 하는 등 경제 정책을 세세하게 챙겼다.

 이날 인수위는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수석실별 업무 분장과 인원 수 등 세부사항을 내놓지 않았다. 구체적 자료를 요구하는 기자들에게 윤창중 대변인은 “조직도는 굳이 여러분께 드려도 별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되는데요…”라며 배포하지 않았다. 기자들이 항의하자 인수위는 뒤늦게 유민봉 간사를 통해 주요 사안을 설명하고, 청와대 조직도도 배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