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주걱턱, 제 때 발견하면 수술 없이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최근 턱 수술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튀어나온 주걱턱을 외과적으로 교정하는 수술이다. 하지만 주걱턱을 어릴 때 발견하면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 턱뼈 성장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어서다. 이를 '성장교정'이라고 한다. 턱뼈 성장교정은 무엇보다도 주걱턱 여부를 적기에 판단해 교정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가 아래위턱이 제대로 맞물리지 않는다면 만 7세 무렵에 주걱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X-레이만으로도 판독이 가능해 검사도 간단하다.

주걱턱이면 혀 위치 낮아 발음 새고 혀 짧은 소리 나
위아래 치아의 물림이 맞지 않아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부정교합은 유형에 따라 몇 가지로 나뉘는데, 동양인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주걱턱이다. 보통 아래턱이 위턱보다 큰 경우를 말한다. 아래 어금니가 위 어금니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3급 부정교합에 해당한다.

주걱턱은 만성 소화불량의 원인이 된다. 음식을 끊고 씹는 기능이 떨어져서다. 또 아래턱이 발달해 고집스러운 인상을 주므로 외모 콤플렉스가 되기도 한다. 특히 발음상의 문제가 가장 크다. 주걱턱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이다. 목동중앙치과병원 변욱 원장은 “아래턱은 과도하게 발달하고 위턱은 그에 비해 성장이 덜 되어 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며 “이 때문에 발음이 새고 혀 짧은 소리가 나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젖니 교환 시기에 X선 검사로 턱뼈 성장 확인… 주걱턱 교정은 만 7~8세에 시작해야
주걱턱 교정은 만 7~8세에 시작해야 적당하다. 젖니(유치)가 영구치로 바뀌는 시기다. 치과 검진을 받아 턱뼈 성장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변 원장은 “얼굴뼈 성장 과정을 보면 아래턱은 사춘기 때 자라는 것이 정상이지만 주걱턱은 어릴 때부터 아래턱이 과성장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시기는 영구치 개수와 형태의 이상 유무, 앞니의 위치를 보고 위턱보다 아래턱이 튀어나온 주걱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교정 자체를 어린 나이에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미리 검진을 통해 치아와 턱뼈의 발육 상태를 살펴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교정이 매우 까다롭고 좋은 결과를 얻기도 어렵다. 아래턱이 과도하게 발달한 이후에는 단순 교정치료가 아닌 양악수술 같은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흔히 치아교정이라고 하면 치아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철사로 잇는 치열교정만을 떠올린다. 하지만 턱뼈 성장 조절 치료(성장교정)도 치아교정에 포함된다. 성장교정은 치열교정보다 훨씬 이른 시기인 만 7~10세에 시작해야 한다. 이 무렵이 턱뼈가 무르고 움직임도 쉬워 교정기간이 단축되면서도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주걱턱의 경우 7~8세에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치료시기 놓치지 않으려면 미리 치아 및 턱뼈 발육 상태 살펴야
주걱턱 교정은 위턱의 성장을 촉진하고 아래턱의 성장 방향을 교정해 줌으로써 치아와 턱의 균형 잡힌 성장을 유도한다. 위턱을 늘리거나 앞으로 끌어내는 장치를 이용하게 되고 교정기간은 보통 1~2년 정도 걸린다. 구체적인 주걱턱 교정 시작 시기는 치아와 턱뼈 상태가 어떤가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에는 치아 교정의 방법과 교정장치가 다양하게 발달해 치료 기간도 단축되는 추세다.

도움말 목동중앙치과병원 변욱 병원장

[인기기사]

·의료인 수난시대…檢 리베이트 소환조사 시작 [2013/01/16] 
·미국 독감 소식에 우리나라도 떠들썩 [2013/01/16] 
·패스트푸드 자주 먹으면 천식 걸릴 위험 커 [2013/01/16] 
·완치 어려운 역류성식도염?!, 수술로 치료 [2013/01/16] 
·안전성 논란 트리답티브 급여도 중단 [2013/01/16]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