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관마다 다른 효소 나온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독 소화제를 많이 찾는다. 육류와 인스턴트를 즐겨 찾는 식습관의 변화도 원인이지만 ‘빨리빨리’문화에서 비롯된 빠른 식사 속도도 한 몫 한다. 소화불량, 체한 느낌, 더부룩함은 만성 고민이 된지 오래. 각 소화기관마다 어떤 소화효소가 분비되는지를 따져 소화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우리가 음식을 섭취할 때 여러 음식물들이 쓰임에 맞게 분해되고 흡수될 수 있는 것은 우리 몸에 소화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각 소화기관에서 분비되는 소화액 속에 들어있다. 탄수화물은 주로 침과 췌장액에서 분비되는 아밀라아제라는 소화효소에 의해 단당류로 분해되고, 단백질은 위액의 펩신과 췌장액의 트립신에 의해 각종 아미노산 형태로 쪼개진다. 췌장액의 리파아제는 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소화 진행 순서대로 살펴보자.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입에서부터 시작해 위와 장을 거쳐 소화가 진행된다.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이로 잘게 부수는 일부터 소화의 시작으로 본다. 입안에 음식이 있으면 평소보다 침이 8배 많이 분비되는데, 침에 있는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가 탄수화물을 맥아당으로 분해시킨다. 특히 밥이나 빵을 먹을 때 오래 씹어 먹으면 단맛이 더 깊이 나는 것도 밥·빵에 있는 녹말 성분이 아밀라아제에 의해 당으로 변하는 이유에서다.

입안에서 탄수화물 분해가 일어난 음식이 식도를 타고 위장으로 내려간다. 이 때 위액이 분비되는데 위액의 소화효소는 단백질을 분해한다. 제때 밥을 먹지 않아 속이 쓰린 것도 위액의 강한 산성이 더 이상 분해할 음식이 없어 위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단계는 십이지장이다. 위에서 분해된 음식물이 십이지장에 내려오면 십이지장근처에 있는 이자는 이자액을 십이지장으로 내려 보낸다. 이자액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모두를 분해시키는 소화효소를 갖고 있다. 쓸개 역시 십이지장으로 쓸개즙을 보낸다. 쓸개즙에는 소화효소가 없지만 위액과 함께 섞이면 산성을 띠는 음식을 알칼리성으로 바꿔줘 음식물이 소화기관을 거치면서 상하지 않도록 힘쓴다.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효소가 잘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쓸개즙의 역할이다. 소장은 음식물을 분해하는 일과 함께 소화된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까지 내려오면서 아직 분해되지 못한 음식물은 소장액 속의 여러 소화효소가 마지막으로 처리한다. 대장은 음식물의 수분과 비타민 일부를 흡수하는 역할이다.

돼지고기와 새우젓처럼 궁합 맞는 음식도 도움

음식을 섭취할 때 궁합이 맞는 음식을 함께 곁들여 먹는 것도 소화를 돕는 한 방법이다. 돼지고기와 새우젓, 불고기 양념에는 배, 식사를 마친 뒤에 후식으로 무와 식혜를 먹는 것이 대표적이다. 먼저 새우젓은 발효 기간을 거치면서 많은 양의 프로테아제가 생산된다. 이는 돼지고기의 단백질 분해를 돕는데 요긴하다. 새우젓에는 지방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도 들어있어 기름진 고기의 지방 분해를 효과적으로 돕는다. 불고기 양념에 배를 넣는 것은 배에 단백질 분해 효소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고기의 단백질이 분해되면 고기가 연해져 씹는 맛을 돕는다. 식혜에 사용되는 엿기름과 무에는 아밀라아제가 들어있어 식후 소화를 돕기 위한 디저트로 그만이다.

하지만 이런 보조음식으로 소화를 도울 수 없을 땐 소화제를 정량 복용하는 것을 권한다. 소화제를 선택할 땐 위와 장 모두에서 작용하는 소화효소가 함유돼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앞서 살폈듯 탄수화물은 입과 장에서, 단백질은 위와 장에서, 지방은 장에서 주로 소화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나 장 어느 한곳에서만 작용하는 소화제보다 이 두 기관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 소화제를 선택하면 보다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 약의 제형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소화제에는 장용코팅정과 다층혼합정제 등 제형에 따라 약효발현 시간이나 효과에 차이가 생긴다. 장용코팅정은 정제 전체가 위에서 녹지 않고 장으로 내려가 소화작용을 하기 때문에 장이 불편할 때 복용하면 좋은 약이다. 다층혼합정제는 위와 장에서 나눠 녹는 형태로 위에서부터 느껴지는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대웅제약의 베아제는 정제특허를 받은 다층혼합정제로, 임상실험을 통해 빠르게 나타나는 약효를 인정받았다고 한다. 특히 닥터베아제는 육류섭취가 많은 식습관에 초점을 맞춰 단백질 소화효소인 브로멜라인, 탄수화물·지방 소화효소를 강화했다. 베아제는 최근 안전상비약의 편의점 판매가 허가되면서 지난달 15일부터 편의점 판매를 시행하고 있다.

소화기관마다 하는 일은

입 탄수화물 분해
위 단백질 분해
십이지장(이자액)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분해
소장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분해, 흡수
대장 수분·비타민 흡수

<한다혜 기자 blushe@joongang.co.kr 일러스트="이말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