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거물 측근' 특사 보내 한미관계 불안감 씻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무현 대통령당선자가 민주당 정대철(鄭大哲)최고위원을 대미 특사단장으로 내정한 것은 단기적으로는 북핵 문제 해결, 장기적으로는 노무현 정권과 부시 정권의 우호적 관계 정립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鄭위원은 盧당선자의 선대위원장을 맡아 '대통령 노무현'을 탄생시킨 일등 공신이다. 차기 당대표로 거론되는 최측근 실세다. 때문에 노무현 정권과의 우호관계 설정을 희망해온 부시 대통령에게 '거물급 사절'을 파견함으로써 盧당선자의 전통적 대미 관계 유지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전할 수 있다는 게 당선자 주변의 판단이다.

당초 특사는 미국을 잘 아는 외교전문가 인사들이 거명됐다. 유재건(柳在乾)의원과 조순승(趙淳昇)전 의원, 주미대사를 지낸 이홍구(李洪九)전 총리 등이 거론됐다. 그러나 외교전문가는 이미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임성준(任晟準)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파견했었고, 별 소득이 없었다. 결국 외교전문가로는 곤란하다는 판단을 盧당선자 측이 했다는 것이다.

특히 부시 행정부와 미국 조야의 盧당선자에 대한 선입관을 불식하고, 한국 내의 반미정서 확산에 따라 미국 보수층의 주한미군 철수론이 제기되는 동시에 미 재계의 우려가 급증하는 상황이 거물 특사 파견의 필요성을 절감케 한 것 같다. 鄭위원은 특사단장 자격으로 두세 명의 의원 또는 미국통 인사와 함께 갈 것으로 보인다.

그는 평소 "누가 특사로 가든 미국을 안심시키고, 우리의 반미정서가 심각한 것이 아님을 설명하는 한편 북핵 문제를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해결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제대로 전하면 될 것"이라고 말해왔다.

鄭위원은 미국 미주리대학 국제정치학 박사 출신으로 DJ 정권 출범 초기 통일부총리를 희망하고 6.15 남북 정상회담 직전에는 DJ에게 정책건의서를 갖다줄 정도로 북한 문제에 많은 관심을 보여왔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