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 이 문제] 전주-임실 '물 싸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북 임실군 관촌면 방수리 오원천 상수원 사용 문제를 둘러싼 전북 전주시와 임실군의 갈등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지난해 7월 문제가 불거진 뒤 급기야 최근에는 임실군이 다음달 1일부터 취수시설을 폐쇄하겠다고 전주시에 통보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오원천 원수 공급이 중단될 경우 전주시내 완산동·서서학동·중화산동 등 10개 동에 사는 3만3천여 세대,10만여 명의 주민이 심각한 식수난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오원천은 진안에서 발원한 섬진강 상류 하천으로 지난 32년 동안 전주시민의 식수원 역할을 해 왔다.물 공급량은 하루 5만여t으로 연간 6억∼7억원어치에 이른다.

◇임실군 주장=이 하천수 유출로 관촌면·신평면 지역 농민들이 영농에 큰 어려움을 겪고,신평 농공단지의 경우 공업용수 부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말한다.또 하류지역 물 고갈로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 부작용이 크다고 지적한다.

지역 내 1백여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오원천 살리기 임실운동본부’의 김중연(50) 대표는 “전주시가 1980년 당초 설치된 취수보(길이 1백30m,높이 1.8m)에 20㎝ 높이의 철판을 추가로 설치해 하루 2만여t씩 원수를 절취해 감으로써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임실군은 전주시에 오원천 취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이를 어길 경우 직권으로 취수시설을 폐쇄하겠다는 방침을 통보한 상태다.

특히 임실군은 취수원 도용과 70년부터 90년까지로 돼 있던 하천 점용 허가서를 영구 점용으로 변조한 혐의로 전주시를 사법당국에 고발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주시 입장=오원천 물 사용 대가로 그동안 임실군에 주민 숙원사업비 15억원을 지원하는 등 충분히 보상을 해온 만큼 문제될 게 없다고 주장한다.
또 하류지역 피해 문제는 피해가 발생하면 공동조사를 한 뒤 보상문제 등을 논의하자고 2001년 합의한 사안이라고 말한다.

그런데도 임실군이 환경단체 등의 목소리가 커지자 지난해 7월부터 무조건 취수 중단을 요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반발하고 있다.

전주시는 오원천 물 공급이 끊기면 비상대책으로 전주천 하천수와 상관 저수지의 물을 끌어다 사용할 계획이다.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으로 3개월 이상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전북도에 분쟁 중재를 요청하는 한편 임실군이 취수시설을 폐쇄할 경우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대응도 불사할 방침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광역상수도인 용담댐 물을 받고 있지만 아직 충분한 급수 시설을 갖추지 못한 상태여서 오원천 물 공급이 중단되면 전주시내 고지대 주민들의 불편이 우려된다”며 “임실군과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노력하겠지만 최악의 경우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