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시 한발 물러났지만 퇴진론 가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무르시

새 헌법 선언문 발표로 사법부 위에 군림하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려 한다는 비판에 직면한 이집트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이 ‘주권 행위’에 대해서만 면책권을 행사하겠다고 한걸음 물러났다. 하지만 반대파에서는 이를 정치적 수사라고 폄하하며 반정부시위를 계속해 혼돈 국면이 진정되지 않고 있다.

 UPI통신 등에 따르면 대통령 대변인인 야세르 알리는 27일 텔레비전 방송에 나와 “대통령이 사법기관의 모든 견제로부터 벗어나겠다는 뜻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새 헌법 선언문은 처음부터 ‘국가의 주요 기관을 보호하기 위한 대통령의 주권 행위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이집트의 확립된 법원칙에 따른 것”이었다는 것이다.

 무르시는 지난 22일 법원의 의회 해산권을 제한하는 내용의 헌법 선언문을 발표했었다. 그는 이미 법원이 민주선거로 구성된 의회를 해산한 전력이 있는 점을 들어 국가의 주요 기관인 의회를 보호하기 위해 이런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해왔다.

 이는 선언문 발표 이후 정부 쪽에서 처음 내놓은 해명으로, 전국으로 번진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무르시는 26일 이집트 최고 사법기관인 최고사법위원회 법관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사법부에 대한 존경의 뜻을 표했다고 알리는 전했다. 무슬림형제단 역시 27일로 예정됐던 전국 규모의 무르시 지지 시위 계획을 취소했다.

 하지만 반대파는 헌법 선언문 전문 철회와 무르시 퇴진을 주장하며 강경하게 맞서고 있다. 분열돼 있던 세속주의 정파 등 반정부 세력이 무르시 타도를 기치로 한데 뭉치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 이집트 민주화의 성지 타흐리르 광장은 닷새째 시위자들이 점거해 농성을 벌였고, 거리에도 수천 명이 쏟아져 나왔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최소 2명이 사망하고, 440여 명이 다쳤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