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하)지방세 어떤 것이 있나|담배 소비세-「솔」 한갑에 3백60원

    지난해 지방세는 2조8천2백63억원이 걷힌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이는 당초 징수 목표보다 20%가 더 걷힌 것이며 87년 징수 실적 (2조1천9백23억6천6백만 원) 보다는

    중앙일보

    1989.01.27 00:00

  • 공공건물서 담배 못 피운다

    관공서·병의원·학교 등 공공건물이 별도의 흡연구역 외에는 금연구역으로 지정돼 앞으로 담배를 피울 수 없게 된다. 보사부는 11일 공공건물 등에서 흡연으로 인해 생기는 각종 건강의

    중앙일보

    1989.01.11 00:00

  • "담배 안 피우는 사람 혐연권 보호해 주자"|「금연법」 제정 추진운동 활발

    해마다 연말연시가 되면 건강을 위해 비장한 각오로 담배를 끊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새해를 맞아 금연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끝내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내년에는 애연

    중앙일보

    1988.12.29 00:00

  • "의약품 광고 규제"1위

    88년 1년간 소비자운동과 소비자에게 중요했던 이슈들을 정리한 소비자 10대 뉴스가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회장 김동환)에 의해 22일 선정, 발표되었다. 뉴스 내용을 요약해 본다.

    중앙일보

    1988.12.24 00:00

  • 형편없는 모습보여

    ○…배구경기장에서 한국관중들의 모범적인 관전태도와는 대조적으로 일부외국인 관람객과 기자들의 매너가 거칠거나 수준이하여서 관중들이 눈살 네덜란드·프랑스·스웨덴응원팀들은 자신들에게 불

    중앙일보

    1988.09.18 00:00

  • 개관식 관람 가이드

    ◇입장요령=오전 8시부터 입장할 수 있으며 늦어도 오전 9시30분까지는 입장을 마쳐야한다. 티켓에 명시되어 있는 지정된 입구와 통로로 들어가야 하며 지정된 좌석에 앉아야 한다. 만

    중앙일보

    1988.09.16 00:00

  • 공항대 합실 "금연"|내달부터 식당등서만 허용

    다음달 1일부터 공항대합실에서는 담배를 피울수 없게 된다. 국제공항관리공단은 16일 김포·김해·제주등 3개국제공항대합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국내에서 공공건물 대합실이 금연구역

    중앙일보

    1988.07.16 00:00

  • 지하철역서 "금연"|월내시행 극장선 불꽃사용 금지

    서울시내 모든 지하철역구내가 금연구역으로 추가 지정되고 극장이나 공연장 등에서는 불꽃을 사용하는 공연이 금지된다. 서울시는 5일 이같은 내용의 화재예방조례를 개정, 총리실의 승인을

    중앙일보

    1988.07.05 00:00

  • "미 여행자 흡연 조심을"

    【뉴욕지사=김용일 특파원】6일부터 미 뉴욕시에서는 함부로 담배를 피우면 외국인 여행자라 하더라도 50달러의 벌금을 물게된다. 뉴욕시를 방문하는 한국인이 예전 습관대로 존 에프 케네

    중앙일보

    1988.04.06 00:00

  • 일본 금연산업 짭잘

    최근 일본에서는 금연 관련 비즈니스가 붐을 이루고 있다. 서구사회와 마찬가지로 일본사회도 혐연권이 대두되면서 동경시내 지하철 전구간이 24시간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애연가들을

    중앙일보

    1988.03.18 00:00

  • 미정부청사 금연실시 들키면 기록카드 올라

    ■…미국 전역에 걸쳐 총무처가 관리하는 6천8백개의 관공서 빌딩에서 6일부터 금연을 실시한다고. 이 금연조치에는 89만명의 연방정부 고용인이 해당되며 국무·국방·농무성 등도 포함.

    중앙일보

    1987.02.06 00:00

  • 주변 유혹물 멀리해야

    금년부터 정부가 비흡연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위해 공공시설에 금연구역을 설치키로 함으로써 애연가들이 설 땅은 더욱 좁아지게 됐다. 이같은 정부의 방침 또는 주변의 압력때문에 「금연」

    중앙일보

    1986.01.10 00:00

  • "양담배수입은 또 하나의 공해도입"

    애연가들에 대한 구박과 「사회적 냉대」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가 최근 수년동안 눈에 역력하다. 외국나들이 자주 하는 사람들이 전하는 바로는 애연습관 때문에 곤욕을 치르는 경우

    중앙일보

    1985.06.12 00:00

  • 고궁·능선 금연

    문공부는 10일부터 문화재보호구역인 고궁·능·원의 경내 전역을 금연구역으로 설정하고 애연가를 위한 흡연지정장소를 별도로 설정했다. 금연구역은 5대 궁 (창경궁은 복원공사 후 별도설

    중앙일보

    1985.06.12 00:00

  • 금연법 통과된 상항|항공기정화기 불티나

    ■…지난해11월 논란끝에 통파된 흡연법이 지난1일을 기해 시행되기 시작하자 이 규정에 맞추기 위해 미샌프란시스코시에서는 전자식 공기정화기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고. 일부 가게에서는

    중앙일보

    1984.03.05 00:00

  • 애연가 88%가 "흡연규제" 찬성-서울대 보건대학원, 9백53명 대상조사

    ■…우리나라 흡연자의 88.4%, 비흡연자의 95.2%가 흡연규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거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 96.3%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법적으로 제한

    중앙일보

    1983.09.28 00:00

  • YMCA,「10대의 광장」서 토론|청소년 탈선, 무조건 금지가 화근

    청소년들은 그들의 탈선이 성·이성친구·술·담배 등 10대에서 갖는 갖가지 호기심을 기성세대들이 무조건 금지하고 무시하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밝히고 있다. 27일 하오 5시 YMCA「

    중앙일보

    1983.05.30 00:00

  • 매일 연탄가스 마시고 X레이 찍는격

    담배가 인체에 어떻게 나쁜작용을 하는지 서울대의대 김건열교수(호흡기내과)로 부터 들어보자. 담배는 연소하는 과정에서 각종 유독한 물질을 만들어낸다. 대표적인 것이 벤조파이렌, 벤즈

    중앙일보

    1982.10.30 00:00

  • 금연 구역 안 지키면 홍콩서 12만원 벌금

    홍콩정청은 엄격한 금연 조치를 통해 흡연을 강력히 통제할 계획이라고. 최근 발행된 「82년 흡연 법안」의 규정에 의하면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게는 1천 홍콩 달러(한화

    중앙일보

    1982.07.12 00:00

  • 「18세 유흥업소 출입」-과반수 학생이 반대|「독자 토론」에 비친 독자들의 의견

    유흥업소 출입 연령을 현재의 20세에서 18세로 낮추는 문제에 대한 의견은 찬·반이 백중 했다. 토론에 참여한 1백1l명 중 과반수가 약간 넘는 58명이 반대했고 53명이 찬성했다

    중앙일보

    1982.05.25 00:00

  • 버스 안에서 마구 피워

    나 역시 담배를 피우는 입장에서 간혹 극히 불쾌한 흡연사례를 볼 때가 있다. 밤 늦은 시내버스 안에서 술취한 젊은이들의 흡연, 복잡한 대합실, 관공서 민원실 등 혼탁한 공기속에서

    중앙일보

    1982.04.20 00:00

  • 「독자토론」에 비친 독자들의 의견

    토론에 참가한 89명중 90%인 80명이 혐연권은 마땅히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흡연의 해독성에 대해서는 이미 실현을 끝낸 상태다. 담배를 피우는 본인뿐만 아니라 담배연기를

    중앙일보

    1982.04.20 00:00

  • 전문의에 들어본 식이요법 요령|어느 음식이 어떤 병에 좋은가

    올바른 식사는 장수와 질병 예방을 위해서 뿐 아니라 질병의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식이요법이 매우 중시 돼왔다. 식이요법은 특정질환의 치료에 보조적 수단

    중앙일보

    1982.03.06 00:00

  • 끊을 수 담배 없을까

    『담배냐, 건강이냐, 선택권은 당신에게』-세계보건기구(WHO)가 금연의 해인 지난해에 내세운 표어다. 이 같은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흡연자는 갈수록 늘고있다. 서울대병원 호흡

    중앙일보

    1981.10.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