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진해 해작사는 부산으로, 부산 있던 3함대 목포로

    진해 해작사는 부산으로, 부산 있던 3함대 목포로

    경남 진해에 있는 해군작전사령부(해작사)가 부산으로, 부산에 주둔하던 3함대사령부(3함대)가 목포로 각각 옮긴다. 해군은 18일 노무현 대통령에게 "해작사는 12월 중순까지, 제3

    중앙일보

    2007.07.19 04:28

  • [노트북을열며] 지사 결단 필요한'제주 해군기지'

    '제주도 남방해역'에는 엄청난 해저자원이 매장돼 있다. 정부는 동중국해 일대의 대륙붕에 석유와 천연가스 등 230여 종의 지하자원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국가의 전략적 이

    중앙일보

    2007.04.22 19:37

  • [사진] "해군 아저씨, 붕어빵 맛있어요"

    [사진] "해군 아저씨, 붕어빵 맛있어요"

    지난해 11월부터 부대 내에서 초소 근무를 마치고 귀대하는 장병들에게 개당 200원씩 붕어빵을 팔아 수익금을 모은 해군 제주 방어사령부의 장병들이 1월 말 아동보호시설인 홍익보육

    중앙일보

    2007.02.06 07:33

  • 휴식 땐 총 놓고 호루라기 든다

    휴식 땐 총 놓고 호루라기 든다

    최근 축구심판 자격증을 취득한 해군 제주방어사령부 장병 10명이 서귀포 강창학경기장에서 명심판으로서의 각오를 다지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뉴시스] 군 부대 축구동아리에서 활동하

    중앙일보

    2006.02.18 06:07

  • 제6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12월 9일

    [제1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3월 31일] [제2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4월 25일] [제4차 21세기 동북아 미래 포럼, 2005년 7월

    중앙일보

    2005.12.13 14:43

  • 총기 난사 사단서 또 총기사고… 속 끓는 국방부 " … "

    국방부가 최전방 GP(소초) 총기 난사 사건 이후 병영문화 개선을 위해 각종 조치를 내놨는데도 악재가 계속돼 고심하고 있다. 23일엔 올해 6월 GP 총기사건이 발생한 육군 28사

    중앙일보

    2005.10.31 05:10

  • [사람사람] 한국전쟁 참전 첫 여성 해병 문인순 할머니

    [사람사람] 한국전쟁 참전 첫 여성 해병 문인순 할머니

    "내 마음에 깊이 깊이 새겨진/빨간 오뚝이 91073…/내 나이 17세때…/좌절 없이 걷게 한 내 인생의 지주 91073." 한국전에 참전했던 첫 여자 해병인 70대 할머니가 최

    중앙일보

    2004.12.14 18:47

  • "제주에 일제 진지 344개"

    "제주에 일제 진지 344개"

    ▶ 북제주군 한경면 청수리 가마오름 진지동굴 외부 출입구 전경. 일제하 일본군이 제주에 구축한 인공동굴 등 각종 진지가 344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동굴연구소 손인석(

    중앙일보

    2004.08.02 20:39

  • '서해교전 용사' 전우회 결성

    지난해 6월 서해교전에 참전한 해군 고속정 참수리 357호 장병 22명이 한 자리에 모인다. 교전 때 오른쪽 다리를 잃은 부정장(副艇長)이희완(28.해군사관학교 근무) 중위를 비롯

    중앙일보

    2003.08.28 21:33

  • '서해교전' 전우회 결성 10월 전우마라톤 참가

    지난해 6월 서해교전에 참전한 해군 고속정 참수리 357호 장병 22명이 한자리에 모인다. 교전 때 오른쪽 다리를 잃은 부정장(副艇長)이희완(28.해군사관학교 근무) 중위를 비롯한

    중앙일보

    2003.08.28 18:30

  • "제주도는 일본군 전략요충지"

    국토 최남단 마라도가 한걸음에 닿을 듯 보이는 해발 89m의 화산. 3년여전 개발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던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송악산은 '제주 절경의 극치'라는 찬사를 받고 있지만

    중앙일보

    2003.06.17 20:44

  • [북, 영해 왜 들어왔나] 새 항로 모색

    북한 상선 세 척의 우리 영해 침범은 제주해협에 대한 '무해통항권(無害通航權)' 을 확보하기 위한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다. ◇ '새 항로 필요하다' 〓우리 해군과 북측 상선의 통

    중앙일보

    2001.06.04 00:00

  • 제주 장춘식당 주인 정월 초하루.명절마다 음식 무료제공

    제주시연동 장춘식당에는.보살'이 산다. 해마다 정월 초하루나 명절 때만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손님에게 음식을 공짜로 내놓는 이 식당주인 김이순(金二順.50.여)씨의 별명이다.金씨

    중앙일보

    1997.01.03 00:00

  • 해군 전략사령부 제주에 신설

    오는 2000년부터 우리 해군의 주작전지역이 처음으로 한반도주변수역에서 남중국해 해상까지 확대된다.이에따라 지금까지 대북(對北)방어 위주로 운영돼온 우리 해군이 「대양(大洋)해군」

    중앙일보

    1995.09.18 00:00

  • 역사의 전환

    1951년 1월. 한국의 수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던 순간. 1월4일 서울철수가 이루어지고 중공군은 연천∼서울간 가로를 진격하고 있었다. 8일엔 유엔군이 원주를 철수했고 적은 오

    중앙일보

    1983.04.06 00:00

  • (413)|우방 참전 부대 (14)|콜롬비아·캐나다 군

    중남미의 「콜롬비아」와 북미의 「캐나다」는 유엔 참전 16개국 중 가장 늦게 군대를 보내왔지만 약 2년 동안 한국에서 계속 싸웠다. 「캐나다」는 공군과 해군을 50년7월30일부터

    중앙일보

    1973.01.10 00:00

  • (176)연희고지 전투|「6·25」20주…3천여의 증인회견 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1) 9월20일 새벽에 행주에서 한강을 건넌 미 제산 군단 산하 제1해명사단 5연대와 한국군 해병대는 이대로 진격이 순조로우면 22일께면 서울을 완전히 수복하리라고 예상했다. 「

    중앙일보

    1971.05.17 00:00

  • (166)인천상륙(9)|한국 해병대의 출동(1)

    인천상륙의 주력부대는 미 제1해병사단과 미 7사단이었지만, 우리 한국군도 해병대1개여단과 육군 제17연대가 이 작전에 참가했다. 또한 미 7보병 사단에도 일본에 건너가 훈련을 받고

    중앙일보

    1971.04.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