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부, 한글전용원칙 부분수정 공문서에 한자함께 표기

    정부는 전통 문화의 전승 발전, 한자문화권 국가간 교류와 관광 증대에 부응키 위해 현행 한글 전용 원칙에서 선회, 필요한 경우 한글과 한자를 병용 (竝用) 표기키로 했다. 신낙균

    중앙일보

    1999.02.10 00:00

  • [열린마당]일본인 관광객 위해 안내판에 한지 쓰길

    저는 도쿄 (東京)에 사는 일본인입니다. 얼마전 미루고 미뤄왔던 한국관광을 다녀왔습니다. 한국에서 느꼈던 아쉬운 점과 일본으로부터 더욱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적지않은 도움이

    중앙일보

    1998.06.29 00:00

  • 훈민정음 창제정신 재조명

    오늘로부터 꼭 6백년전에 태어나 우리 역사에 빛나는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世宗은'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음(音),즉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創制)하였다.그 첫 작품으로 國漢혼용의

    중앙일보

    1997.05.15 00:00

  • 과학시대에 한자병용은 시간 낭비

    우리는 아름답고도 가장 과학적인 한글을 가진 자랑스런 문화민족이다. 올해로 탄신 6백년을 맞는 세종대왕이 자주.민주.문화의 세 정신을 한글 창제 동기로 밝히면서 정인지의 글에서 보

    중앙일보

    1997.01.23 00:00

  • 漢字를 복권시키자

    12.12,5.18 항소심 판결이 있던 다음날 신문들은 권성(權誠)재판장의 판결문 속에 들어 있던 한자어.남용(濫用)'을애정 담긴 화제로 삼았다. 중앙일보의 연재 만화.왈순아지매'

    중앙일보

    1996.12.19 00:00

  • 교육과정개혁안-국교 한자병용 논란 예상

    교육과정은 국민교육을 맡고 있는 국가의 교육정책이 구체적으로실현되는 영역인 만큼 14일 발표된 교개위의 교육과정 개혁안 역시 관련학계의 입장에 따라 상당한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중앙일보

    1995.12.15 00:00

  • 내년 초중고 능력별 이동수업-敎改委 교육과정 개혁 시안

    70년 이후 국교 교과서에서 사라진 한자가 국교 고학년 국어.사회 교과서에 쓰이게 된다. 또 내년부터 수준별 이동식 수업이 초.중.고 전학년으로 확대되고 2000년부터는 고교도 대

    중앙일보

    1995.12.15 00:00

  • 지금은 가로쓰기 시대

    1970년대말 미국신문산업의 경영이 어려워져 많은 신문사가 도산하던 시절에 이를 연구하던 학자들이 내린 결론중의 하나가 『신문은 아직도 일반독자를 위해 만드는 것이 아니고 신문을

    중앙일보

    1995.09.22 00:00

  • 오늘부터 기사 한글로 씁니다

    독자(讀者)제일주의(第一主義)를 표방(標榜)하고 있는 中央日報는 15일자부터 본지(本紙)의 본문(本文)을 모두 한글화하고이해를 돕기위해 필요한 경우 한자어(漢字語)는 괄호 속에 한

    중앙일보

    1994.09.15 00:00

  • 한자교육이 필요한 이유(사설)

    최근들어 한자를 배우고 한자를 병용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삼성같은 대기업의 취직시험에서 큰비중을 차지하는 시험과목으로 등장하고 있다. 왜 갑자기 한자교육인가. 여기

    중앙일보

    1994.02.20 00:00

  • 5백46돌 한글날 맞는 이기문교수(일요인터뷰)

    ◎“나랏말ㅆ·ㅁ 갈고 닦아야죠”/독창·과학성은 세계서 이미 공인/사장된 말살리고 자체 개발해야 이기문교수(63·서울대)에겐 우리글·우리말을 빼면 그 어느것도 안중에 없다. 창제자

    중앙일보

    1992.10.04 00:00

  • 우정렬|국교 한자교육 언문생활에 도움

    얼마전 서울시내 국민학교교사 4백50명을 대상으로 국민학교 한자교육실시에 대한 여론조사결과 응답자의 82%가 한자교육실시에 찬성했다고 한다. 그리고 한자교육의 부활및 필요성에 대한

    중앙일보

    1991.09.02 00:00

  • "한글전용"이야… "한자혼용"이냐…

    『이대로 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목소리가 한글전용과 한자혼·병용을 주장하는 학회 및 사회·연구단체들 사이에 일제히 드높아지고 있다. 제5차 교육과정 개편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중앙일보

    1987.04.13 00:00

  • 전산화 해외송신 개시 연합용신 국내처음

    연합통신은 17일 상오10시 우리나라 통신사상 처음으로 전산화를 통한 해외송신을 개시했다. 이날 최우선적으로 개시된 해외송신의 전산화로 국내뉴스의 대외서비스에 전기를 이루게 됐으며

    중앙일보

    1986.02.17 00:00

  • 통일문법도 없는 국어

    우리 나라는 건국 35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통일된 국어문법이 없다. 통일된 국어문법은 고사하고, 그 기초가 될 통일된 학교문법조차 없었다. 문교부는 84년도 교과서 편찬이라는 시한

    중앙일보

    1982.03.12 00:00

  • 다시 불붙은 한글 전용 논용

    한글전용논자와 한자혼용논자 사이의 끈질긴 논쟁이 다시 불붙을 기미를 보이고있다. 최근 한국어문 교육연구의(회장 이희승)가 『대통령께 드리는 건의서-국민학교 한자교육 부활과 한자혼용

    중앙일보

    1981.10.09 00:00

  • 국보위발표(전문)

    ①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는 국가를 보위하고 국민의 생존권을 수호하며 사회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사회에 만연된 불신풍조의 요인이 되어왔던 관권주변의 누적된 부정부

    중앙일보

    1980.07.10 00:00

  • 조선왕조실록 「컴퓨터」에 입력 한국학 연구가 쉬워진다|동양학연·과기정보센터 공동작업

    우리나라 정신문화의 근간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왕조실록이 문헌참고·자전편찬 등 다양한 활용을 위해 「컴퓨터」에 입력되게 된다. 12일 한국 과학기술정보 「센터」(KO

    중앙일보

    1980.03.15 00:00

  • 어려운 한자병용 고집하면 잃는 것 많아|자랑스런 한글 전용했으면

    「한국에도 글이 따로 있나요, 아니면 중국어나 일본어를 사용하나요?』외국여행 중에 흔히 받는 질문입니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면 신바람이 나서 설명을 합니다. 『물론 우리는 우리의

    중앙일보

    1979.10.10 00:00

  • 컴퓨터정보 한글·한자와 본격추진

    한국과학기술정보 「센터」는 우리말의 「컴퓨터」를 위한 기초작업인 한글·영자정보처리 「시스팀」Ⅱ(KIPS-3)를 개발하고 좀더 진보된 KIPS-3에 도전하고 있다. 「컴퓨터」 정보의

    중앙일보

    1979.08.09 00:00

  • 한자는 가르쳐야 한다

    우리의 생활과 교육에 가장 기본적인 어문정책은 해방 후 7차례나 큰 홍역을 치렀음에도 최근 다시 격론이 재기될 조짐이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국어국문학회, 국어학회, 한국국어교육연

    중앙일보

    1979.05.16 00:00

  • 상벌기록부-상은 고위직에, 벌은 하위직에 많다

    작년 1월27일 박정희 대통령이 총무처 연두순시에서 서정쇄신연감작성을 지시한 이후 꼭 1년만에 서정쇄신 상벌기록부 제1권이 발간됐다. 발간된 상벌기록부는 상훈록과 비위록 2권. 사

    중앙일보

    1978.02.02 00:00

  • "전화번호부이름 한자사용 요구는 위법"|한글전용 실천회서, 체신청 상대로 소송|"한자써도 「김정숙」이란 이름 3백여명"

    ○…사단법인 한글전용국민실천회(대표 전택부)는 23일 전화번호부에 한자를 사용치못하게하기 위해 서울체신청장을 상대로 행정처분취소청구소송을 서울고법에 냈다. 이 실천회는 솟장에서 서

    중앙일보

    1977.12.24 00:00

  • 어려운 한자-약자를 만들어 쓰자|일선 교사들이 말하는 바람직한 한자 교육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이 계속 엇갈려온 어문 정책은 최근 정부 고위층의 지시에 따라 한자 병용의 「현상 고정」으로 판정이 내려졌다. 따라서 한글 전용이라는 이장에 앞서 현실적으

    중앙일보

    1977.08.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