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 시평] 이공계는 왜 손해봐야 하나

    최근 액정표시장치(LCD).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등 디스플레이가 수출의 효자로 급부상하고 있다. 사실 이 품목들은 일본이 오랫동안 막강한 기술력으로 세계를 제패하던 것

    중앙일보

    2003.07.09 18:43

  • [사랑방] 김흥주씨 중앙회장 선출 外

    ◇새 의자 ▶김흥주(金興柱) 한국전자정보시스템 대표이사가 최근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제33회 총회에서 제17대 중앙회장으로 선출됐다. ▶이수동(李守東) 국민대 경영학과 교수가 최근

    중앙일보

    2003.02.25 17:44

  • '과학섹션' 과학문화재단과 함께 만듭니다

    국내 신문 중 유일하게 과학섹션을 내는 중앙일보와 과학 대중화 운동을 선도하는 한국과학문화재단은 7월 31일자부터 과학섹션 중 2개 면을 공동 기획해 만듭니다. 아울러 과학이 미

    중앙일보

    2002.07.31 00:00

  • 사랑방

    ◇추도식=이승만박사기념사업회(회장 홍석현)는 고(故)이승만 박사의 37주기 추도식을 19일 오전 10시 서울 국립묘지 현충관에서 한다. ◇심포지엄=홍성태 한국전략문제연구소장은 1

    중앙일보

    2002.07.19 00:00

  • "과학을 고교 필수과목으로"

    "대덕연구단지 연구원인 나도 아이가'이공계에 가겠다'고 하면 '뭐든 들어줄테니 그러지 마라'고 한다." "고교 이과 학생들도 기초과학이나 공학보다 의대를 선호한다." "시·군마다

    중앙일보

    2002.02.25 00: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생명윤리 공청회 열렸지만

    "한바탕 전쟁을 치르고 난 느낌입니다. " 지난 22일, 생명윤리자문위원회의 생명윤리기본법 시안을 놓고 공청회가 열린 후, 생명윤리위의 한 위원이 던진 말이다. 공청회에는 과학기술

    중앙일보

    2001.05.29 00: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터넷 시대의 '두 문화'

    지금부터 약 40년 전에 영국의 스노경(卿)은 '두 문화와 과학혁명' 이라는 제목의 리드 강연(rede lecture)을 통해 과학자와 인문학자 사이의 간극이 점점 더 벌어지고 있

    중앙일보

    2001.02.20 00:00

  • [과학으로 세상보기] 변방의 교훈

    약 2백년 전, 세계 과학의 중심은 프랑스 파리였다. 파리에는 명성을 자랑하던 파리아카데미와 최고 과학자를 양성하던 에콜 폴리테크닉이 있었다. 쟁쟁한 프랑스 과학자들 가운데에서도

    중앙일보

    2001.01.09 00:00

  • 창덕궁·종묘 일대 문화 나들이

    최근 경주 역사유적지구와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세계문화유산은 서울에도 있다. 종묘와 창덕궁. 도심 한복판에 있어 누구나 그 존재를 알지

    중앙일보

    2000.12.15 10:08

  • [창덕궁·종묘일대 문화 나들이]

    최근 경주 역사유적지구와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세계문화유산은 서울에도 있다. 종묘와 창덕궁.도심 한복판에 있어 누구나 그 존재를 알지만

    중앙일보

    2000.12.08 00:00

  • [학술 신간] 김영수 교수의 '한국헌법사'

    한국헌법학회 회장을 역임한 성균관대 김영수(사진) 교수가 최근 '한국헌법사' (학문사)란 책을 냈다. 무려 1천2백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이 책은 한국 헌법의 뿌리와 발달

    중앙일보

    2000.11.30 00:00

  • 대우정보·사이버텍·모토로라 경영인으로 맹활약

    바다 사나이에서 정보화 산업의 주역으로 지구가 푸른 건 푸른 바다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푸른 바다는 그 넓이만큼이나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 끝도 보이지 않는 수평선 위,

    중앙일보

    2000.09.25 16:23

  • 하이테크의 선봉장으로 나선 ‘화랑의 후예들’

    장성 1, 영관급 11, 위관급 4명 결론부터 말하자면 육군사관학교(이하 육사)는 최근 업그레이드시킨 홈페이지(http://www.kma.ac.kr)를 또 한 번 전면적으로 개편해

    중앙일보

    2000.09.25 15:41

  • 기술가치 평가로 기술거래 도움

    제 목기술가치의 객관적 평가로 기술거래 활성화에 도움기 관산업자원부구 분기타첨부화일moc2000705-1.hwp□ 앞으로는 기술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기술이전 및거래가

    중앙일보

    2000.07.06 21:09

  • 기술사업화 촉진 통한 R&D 선순환 구조 정착

    제 목기술 사업화 촉진을 통한 R&D 선순환 구조의 정착기 관산업자원부구 분기타첨부화일moc2000627-2.hwp□ 앞으로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원은 자신이 개발한 기술의 이전 및사

    중앙일보

    2000.06.28 17:19

  • 과학기술 인력 정보 한 곳에

    국내 과학기술 인력 자료가 한자리에 모였다. 과학기술정보유통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연구개발정보센터(KORDIC)는 그동안 한국과학재단.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등에 흩어져 있던 과학인력

    중앙일보

    2000.05.16 00:00

  • 과학기술 인력 정보 한 곳에

    국내 과학기술 인력 자료가 한자리에 모였다.과학기술정보유통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연구개발정보센터(KORDIC)는 그동안 한국과학재단.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등에 흩어져 있던 과학인력 정

    중앙일보

    2000.05.15 19:39

  • 울산에 '공업역사박물관' 생긴다

    일본의 국립과학박물관이 세워진 것이 1877년. 1백 년이 훨씬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프랑스의 기술박물관은 1794년에 완성돼 오늘날 과학 박물관의 효시라는 말을 듣는다. 외국의

    중앙일보

    2000.05.03 00:00

  • KAIST 발전기금 사제가 잇따라 쾌척

    "그간 학교로부터 도움만 받았으니 이제 좀 갚아야지요.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조정완(60)교수가 회갑을 맞아 1억원을 학교에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장기적으

    중앙일보

    2000.02.03 00:00

  • KAIST 발전기금 사제가 잇따라 쾌척

    "그간 학교로부터 도움만 받았으니 이제 좀 갚아야지요.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조정완(60)교수가 회갑을 맞아 1억원을 학교에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장기적으

    중앙일보

    2000.02.02 18:51

  • [21세기로 맞추자] i세대를 위한 준비

    기저귀를 졸업하자마자 인터넷 세계로 - . 인터넷이 보편화한 1994년 이후 태어난 아이들은 이렇게 삶을 시작한다. 'i세대' 로 불리는 이들이 21세기를 이끌어갈 신세대로 떠오르

    중앙일보

    2000.01.01 00:00

  • [문화 타임캡슐 1000년 1000~1899]

    앞으로 천년 뒤인 2999년 우리 후손들은 지금 우리의 모습을 어떻게 평가할까. 중앙일보는 천년 뒤 우리 후손에게 보여주고 싶은 지난 천년간의 문화, 문화재를 지상 타임갭슐에 담기

    중앙일보

    1999.12.31 00:00

  • '신라 반도체기술의 비밀은 돋보기'

    "1천300년전 신라 반도체 기술의 비밀은 돋보기에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보존처리를 거쳐 최근 공개한 경주 감은사지 동탑 출토 금동사리함과 원래 여기에 장식물로 붙어있던 초미니

    중앙일보

    1999.12.09 15:13

  • [인문학과 사귀려는 공학도를 위한 추천서 15]

    시대가 가파르게 움직일수록 인문학은 더욱 뒤처져 보인다. 해서 '인문학의 위기' 가 공공연히 회자된다. 하지만 인문학이 현대사회의 빠른 질주를 가능케 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을 우리

    중앙일보

    1999.12.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