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돼지가 개보다 냄새 더 잘 맡아"

    "돼지가 개보다 냄새 더 잘 맡아"

    ▲ 네이처 표지논문 돼지 코가 개 코보다 후각이 더 발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건국대는 동물생명과학대학 박찬규 교수(동물생명공학) 연구팀이 한국을 비롯한 미국, 영국, 프랑스, 덴

    온라인 중앙일보

    2012.11.20 08:48

  • 한국 참여한 국제연구진, 돼지 유전자 지도 완성

    한국 참여한 국제연구진, 돼지 유전자 지도 완성

    네이처지 11월호 표지.국내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로 돼지 유전자 지도가 완성됐다. 농촌진흥청은 15일 “국내 연구진 14명이 참여한 돼지 유전자 해독 국제 연구팀이 돼지

    중앙일보

    2012.11.16 01:29

  • 척수손상 줄기세포 치료 적정한 이식법은

    척수손상 환자의 줄기세포 이식 방법과 이식 후 조직 변화에 대한 기초연구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하기용 교수팀은 백서(실험용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

    온라인 중앙일보

    2012.08.10 09:15

  • 척수 마비 환자의 통증 … 침 맞으면 크게 줄어든다

    척수 마비 환자의 통증 … 침 맞으면 크게 줄어든다

    척수 손상으로 하지나 전신이 마비된 환자들은 여러 고통에 시달린다. 특히 신체 마비 한두 달 뒤부터 작은 자극에도 화끈거리거나 욱신거림,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하지만 아

    중앙일보

    2012.07.02 00:51

  • 미사일 항암제로 암세포 죽인줄 알았는데…

    미사일 항암제로 암세포 죽인줄 알았는데…

    조광현 교수암 세포만 찾아가 공격해 죽이는 항암제가 있다. ‘미사일 항암제’다. 멀쩡한 세포까지 죽이는 부작용이 있는 기존 항암제와 달리 폐암·유방암 등의 치료 효과가 좋은 것으로

    중앙일보

    2012.06.13 00:45

  • 돌아온 ‘스타 과학자’ 황우석을 둘러싼 4가지 의혹

    돌아온 ‘스타 과학자’ 황우석을 둘러싼 4가지 의혹

    “개의 난자에 코요테 체세포를 주입하고 복제 배아를 만들어서 개의 자궁에 이식해…….” 그가 새끼 코요테를 안고 돌아왔다. 2005년 말 줄기세포 논문 조작사건의 주인공 황우석(

    온라인 중앙일보

    2012.01.24 00:05

  • 암 세포 죽게 하는 유전자·경로 발견

    암 세포 죽게 하는 유전자·경로 발견

    인체는 독극물이 주입되거나 외부 충격을 받아 세포 DNA가 손상을 입으면 알아서 복구에 나선다. 반대로 세포가 스스로 죽도록 해 암 같은 다른 질병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막기도 한다

    중앙일보

    2011.12.13 00:43

  • 유전자 진단법 활용해 암 조기 발견, 맞춤형 치료

    유전자 진단법 활용해 암 조기 발견, 맞춤형 치료

    암 조직 1cm³ 안에는 1억 개 이상의 암세포가 있다. 암이 몸의 다른 조직이나 기관으로 전이됐는지 진단하기 어려운 이유다. 하지만 암세포 하나하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영상기

    중앙선데이

    2011.12.10 21:57

  • 네이처에 논문 동시 두 편 주인공 정가영 박사 인터뷰

    네이처에 논문 동시 두 편 주인공 정가영 박사 인터뷰

    “고교 때 막연히 꿈꾸던 신약 개발에 한발 다가선 느낌입니다. 새로운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데 더 집중하고 있어요.”  지난달 29일자 네이처에 표지를 포함, 두 편의 논문을 동

    중앙일보

    2011.10.03 00:06

  • 일생 한 편도 쉽잖은데 … 네이처에 논문 동시 두 편

    일생 한 편도 쉽잖은데 … 네이처에 논문 동시 두 편

    미국에 유학 중인 한국 과학자가 29일(현지시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에 두 편의 논문을 동시에 발표했다. 이 중 한 편은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박사후

    중앙일보

    2011.09.29 03:00

  • 수천 번 실패해도 포기는 없다 … 젊은 과학자들의 열정

    수천 번 실패해도 포기는 없다 … 젊은 과학자들의 열정

    1977년 미국 콜롬비아 대학 해리엇 주커먼 교수는 ‘과학 엘리트: 미국의 노벨상 수상자들’이라는 연구 주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노벨상 수상자들은 평균 39세에 수상 업적을

    중앙일보

    2011.05.19 03:25

  • 당뇨 주사 필요 없는 ‘인슐린 캡슐’ 개발

    당뇨 주사 필요 없는 ‘인슐린 캡슐’ 개발

    현택환 교수 사람 몸의 혈당은 이자 속에 있는 췌도(膵島)가 조절한다. 혈당 조절에 관련된 호르몬이 췌도에서 분비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췌도가 손상된 사람은 혈당 조절을 위해

    중앙일보

    2011.03.01 19:40

  • [200자 경제뉴스] WSJ “SNS 앱, 개인 정보 유출 심각” 外

    기업 WSJ “SNS 앱, 개인 정보 유출 심각” 스마트폰 사용자가 마이스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앱)에서 광고를 클릭할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광고업체 등 제3자에

    중앙일보

    2010.10.25 00:18

  • [2010 화제의 기업&인물] '나노 LED 렌즈 기술'을 통한 환경전문 기술기업 블루앤

    하나의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직원 못지않게 CEO의 역할이 크다. CEO의 추진력, 개발력, 비전 등 결과를 낳는 과정에서 그들의 역할은 핵심이자 원동력이 된다. 대한민국은 이

    온라인 중앙일보

    2010.07.12 13:15

  • 제 1회 홍진기 창조인상 시상식

    제 1회 홍진기 창조인상 시상식

    과학부문 수상자 성균관대 화학과 홍병희 교수 꿈의 신소재 ‘그래핀’ 합성 기술 세계가 인정 과학부문 수상자 성균관대 화학과 홍병희 교수홍진기 창조인상은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 발전기

    중앙일보

    2010.05.03 00:58

  • 지방에서 혈액줄기세포 뽑아낸다

    지방에서 혈액줄기세포를 뽑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적은 비용과 쉬운 방법으로 백혈병 등 혈액계 난치병 치료에 필요한 혈액줄기세포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교과부

    중앙일보

    2010.02.05 00:30

  • 2009 중앙일보 선정 새뚝이 [5] 과학

    2009 중앙일보 선정 새뚝이 [5] 과학

    홍병희 성균관대 교수 21세기 꿈의 신소재 ‘그래핀’ 기술 세계 최강자 홍병희(38)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가 21세기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의 응용에 필

    중앙일보

    2009.12.25 02:43

  • KAIST 김상욱 교수팀 논문 영국 왕립화학회지에 실려

    KAIST 김상욱 교수팀 논문 영국 왕립화학회지에 실려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상욱(37·사진) 교수팀의 논문이 영국 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연성 물질(Soft Matter)’의 ‘신진 과학자 특집호’ 21일자 표지 논문으

    중앙일보

    2009.06.23 00:52

  •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관장하는 기초기술연구회가 최근 NAP 5대 과제를 선정해 드림팀을 구성,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들어갔다. 2015년까지 산·학·연 과학자 299명의

    중앙일보

    2009.03.11 11:27

  • S자형 몸매가 아이를 잘 낳는다고?

    S자형 몸매가 아이를 잘 낳는다고?

    마침내 더 많은 과학자가 ‘아름다움의 생물학’이라는 게 있다는 어처구니없는 발상을 정조준하고 있다. ‘아름다움의 생물학’이란 남성은 모래시계처럼 허리가 잘록한 여성을 선호하는데,

    중앙일보

    2009.01.10 11:12

  • 여성 사춘기 조절로 성장장애 예방 가능

    사춘기를 일으키는 물질과 이 물질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 연구가 진척될 경우 사춘기를 조절해 성장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중앙일보

    2008.12.13 01:29

  • [사이언스 브리핑] KAIST 생명화학공학 外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양승만 교수팀의 광결정 소자 연구 결과가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미세소자 분야 학술지인 랩온어칩(Lab on a Chip) 3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

    중앙일보

    2008.03.07 04:49

  • DNA로 새로운 금속 만든다

    재미 한국인 과학자가 금속 나노 입자에 DNA를 붙이는 방법으로 3차원 구조의 금속 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영국의 학술지 네이처는 미국 로체스터 대학의 박성용 박사와 노스웨스

    중앙일보

    2008.01.30 18:50

  • 이상신 광운대 교수, 세계 인명사전 등재

    광운대 전자공학과 이상신 교수(39세)가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인명사전인 '마르퀴스 후즈후' 과학기술분야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

    중앙일보

    2007.09.21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