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趙淳씨 영문경제書 英紙서 소개

    ○…조순(趙淳.사진)前부총리가 지난해 펴낸 영문서적『한국경제의 원동력』(원제 The Dynamics of Korea Economic Developmemt.Institute for

    중앙일보

    1995.04.08 00:00

  • 美 대학사회 풍자소설 "무" 호평

    순수한 학문과 이상을 추구하는 대학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다른 어느 곳보다 탐욕과 오만이 가득찬 장소라는 것을 풍자한 소설 『무』(원제 Moo.Knopf刊.$24)가 최근 미국에서

    중앙일보

    1995.04.08 00:00

  • 윤상인씨 논문 "세기말과 소세키"日지식인 사회서 큰반향

    한양대 일문과 윤상인(尹相仁.39)교수가 도쿄(東京)大 유학시절 쓴 박사학위 논문이 한국인 논문으로는 처음 일본 최고권위의 출판사 이와나미 쇼텐(岩波書店)에서 책으로 출간되는등 일

    중앙일보

    1995.03.28 00:00

  • 한국문학 유럽서 번역출판 러시

    한국문학에 무관심했던 유럽의 권위있는 출판사들이 잇따라 한국문학 번역작품을 내놓을 예정이어서 한국문학 해외홍보에 결정적인 호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프랑스 최고권위의

    중앙일보

    1995.03.28 00:00

  • "보도의 기호학" 白善璣지음

    경북대 신방과 백선기(白善璣)교수가 펴낸 『보도의 기호학』은기호학에 관심을 둔 언론학도들과 일반독자들에게 하나의 낭보가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책 이름만 얼핏 보아서는 이론서나

    중앙일보

    1995.03.25 00:00

  • "경제 개혁론" 李鎭淳지음

    최근 수년간 경제개혁에 관한 논의는 비교적 활발하게 전개되었다.이러한 가운데 그동안 경실련(經實聯)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실천경제학자 이진순(李鎭淳)교수의 『경제개혁론』이 시중에

    중앙일보

    1995.03.04 00:00

  • "민주주의 문화론" 白完基 지음

    정치학자들에게 민주주의는 마음의 고향이다.따라서 정치학자라면누구나 민주주의에 관해 자신의 생각을 자신있게 정리한,그럴듯한책을 한권 써보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앙일보

    1995.02.04 00:00

  • 권영필外 5人지음 한국미학시론

    유럽으로부터 미학이 수입된지 백년이 가까워지면서 이웃 나라에서 일본 미학.중국 미학등의 용어 사용과 더불어 각 문화권의 고유성과 우수성을 학문적으로 수립하고 입증하려는 노력이 본격

    중앙일보

    1995.01.28 00:00

  • "니체,해체의 모험" 강영계 지음

    오늘날 니체만큼 철학자들에게 회자(膾炙)되는 인물은 없을 것이다.푸코.데리다.료타르.들뢰즈등「포스트 모더니즘」을 표방하는학자들이 거의 모두 니체에 주목하고 있다.이들은「근대적 이성

    중앙일보

    1995.01.14 00:00

  •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김성기 엮음

    「현대 혹은 탈현대」,「이성 혹은 감성」,「동일성 혹은 차이」,「전체성 혹은 다원성」,「하베르마스 혹은 리오타르」….급변하는 지성계의 흐름에 조금이라도 편승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

    중앙일보

    1995.01.07 00:00

  • "한국근대경제사연구" 김경태著

    올 한해 한국사학계의 최대 수확은 1894년「갑오농민전쟁」에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수 있다.역사학자들이 1백년전의 농민전쟁 연구에 몰두하였던 반면 정부와 사회 일각

    중앙일보

    1994.12.24 00:00

  • "韓國人의 國際政治觀"李昊宰교수著

    알고싶은 역사적 사실과 그 당시의 사람들이 갖고 있는 세상에대한 인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즐겁고 흥미로운 분야라고 생각된다. 대한제국이 한반도의 유일한 정부로서 외국과 국제관계를

    중앙일보

    1994.12.17 00:00

  • 박호성作 "평등론"

    오늘날 평등의 이념은 위기를 맞고 있다.「실질적 불평등」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사회주의는 「자유 없는 평등」을 구가할 수 있었으나 생산성의 정체로 결국 붕괴하지 않을 수 없었

    중앙일보

    1994.12.03 00:00

  • "서양의 지적운동" 김영한.임지현 編

    이 책은 차하순(車河淳)교수의 정년을 맞아 제자와 후학들이 서양의 근대사상들 가운데 각 시대를 풍미했던 지배적 사조와 「이즘」 20가지를 지성사의 입장에서 다룬 저술로 역사에 전문

    중앙일보

    1994.10.29 00:00

  • "열린 시장,닫힌 정치" 송호근 지음

    사회학이 당대의 현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라면 21세기를 눈 앞에 둔 현재만큼 사회학자들을 당혹케 한 시대도 드물듯하다.과거의 것은 죽어가는데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은 아직

    중앙일보

    1994.10.15 00:00

  • "의무의 원칙" 데이비드 셀분 著

    영국에서는 지금 교조적인 좌익과 우익 때문에 현대시민의 윤리관이 변질되었다고 지적,그 대안으로 할 말은 하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제시한 정치철학서 『의무의 원칙( Principle

    중앙일보

    1994.10.15 00:00

  •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정석종著

    정치에서는 권력을 어느 집단이 장악하느냐에 따라 이해관계를 조절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방식이 사뭇 달라질 수 있다.과거 동서양의 역사를 돌아보아도 여러세력 사이에 서로 유리한 조건을

    중앙일보

    1994.10.08 00:00

  • 김희성著 "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이 책은 서강대학교의 종교학과 교수인 저자가 「근대성을 지향해 온 인류의 문화가 이제 하나의 총체적인 문명사적 전환점을 맞게 된」정황속에서 「종교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진로를 모색

    중앙일보

    1994.10.01 00:00

  • "한국핵은 왜 안되는가"

    북한핵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몇개의 풀리지 않는 의문을 안겨주고 있다. 첫째,미국은 국제규정을 어기고 핵을 개발한 북한에게는 엄청난보상금을 마련해 주고,미국에 고분고분해온 남한에는

    중앙일보

    1994.09.10 00:00

  • 뚜 웨이밍著 "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칼을 든 선비의 모습,전략가인 유학자는 어쩐지 낯설다.여기 그 낯선 자리에 서 있는 기묘한 유학자가 있으니,왕양명(王陽明)이 그다. 또한 책 읽기나 말로 보다는 직접적인 체험을 통

    중앙일보

    1994.08.27 00:00

  • 문화전쟁과 책읽기

    배불리 먹고 헐벗지 않고 쉴곳이 있으면 인간은 그다음 무엇을갈망할까.쾌락과 도덕에 대한 갈망,그래서 예술과 문화는 의식주라는 기본적 욕구가 채워지고 난후 꽃피게되는 정신활동의 산물

    중앙일보

    1994.07.09 00:00

  • 갤브레이스교수 경제시대로의 여행 미서 화제

    ◎“인간우둔함이 역사진로 결정”/21C앞두고 금세기 세계경제 총정리/현실참여 학자로서의 자신삶 회고도 미국의 경제사상가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하버드대명예교수(86)의 최신 저작인『

    중앙일보

    1994.06.29 00:00

  • 佛 철학자 알튀세르 遺稿출간 잇따라

    20세기 최후의 마르크시스트 철학자로 유명한 루이 알튀세르(1918~1990)의 유고 저작들이 최근들어 프랑스에서 잇따라출간되고 있다. 왕성한 저술 활동에도 불구하고 발표하지 않기

    중앙일보

    1994.06.21 00:00

  • 이런책이 마음의 양식-간행물윤리위 30권 선정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위원장 李元洪)는 5월 청소년의 달을 맞아 청소년들이 읽어야할 좋은책 30종을 선정,발표했다. 청소년권장도서는 간행물윤리위가 국민독서문화 향상을 목적으로 각계

    중앙일보

    1994.04.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