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과 지식] 40년 뒤 후손들에게도 ‘위기의 지구’를 물려줄 것인가

    [책과 지식] 40년 뒤 후손들에게도 ‘위기의 지구’를 물려줄 것인가

    미래학자 요르겐 렌더스의 미래 예측은 암울하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을 보다 인간적으로 만들 부모 세대의 결단을 촉구한다. 매연이 나오는 중국의 공장 굴뚝과 주변의 자연 풍경

    중앙일보

    2013.01.26 00:00

  •  ‘먹는 세균’ 스피루리나, 각종 영양소 제공 및 미래식량으로서의 가치

    ‘먹는 세균’ 스피루리나, 각종 영양소 제공 및 미래식량으로서의 가치

    - 5대 영양소, 8가지 필수아미노산, 항산화 물질 등 영양이 풍부한 건강기능식품 - WHO, FDA 인증, 건강식품과 미래 대체 식량으로 높이 평가 건강기능식품인 스피루리나를 남

    온라인 중앙일보

    2011.04.27 10:00

  • 국립농업과학원 최용수 박사 “건강한 꿀벌 만들려 새 먹잇감 개발 한창”

    국립농업과학원 최용수 박사 “건강한 꿀벌 만들려 새 먹잇감 개발 한창”

    한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벌의 수가 줄고 꿀 수확량도 감소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일부 농가에서는 미국에서 보고된 CCD(군집 붕괴 현상)가 아닌지 의심하기도 한다. 하지만 국

    중앙일보

    2010.04.05 02:49

  • [사설] 신종 플루 증세 땐 등교·외출 자제하자

    신종 플루가 각급 학교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며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최근 들어 하루 4000명 이상 확진환자가 발생해 전체 환자 수가 이미 6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

    중앙일보

    2009.10.27 00:22

  • [그때 오늘] 천연두로 몰락한 아스텍 문명 500년 뒤엔 ‘신종 플루’ 최대 피해

    [그때 오늘] 천연두로 몰락한 아스텍 문명 500년 뒤엔 ‘신종 플루’ 최대 피해

     ‘신종 플루’ 감염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멕시코는 아스텍 문명이 꽃핀 곳이다. 16세기 초 스페인 정복자 코르테스(그림)가 아스텍 왕국을 정복할 무렵 이 지역 인구는 2500만~

    중앙일보

    2009.05.07 00:52

  • [Fountain] Post-Darwinian dilemma

    키메라 키메라(chimera)는 고대 그리스의 전설 속에 나오는 괴물이다. 사자의 머리에 염소의 몸통, 뱀의 꼬리를 가졌다. ‘악의 힘’을 가진 불길한 동물로 그려진다. 종(種)의

    중앙일보

    2008.05.23 08:21

  • [분수대] 키메라

    [분수대] 키메라

    키메라(chimera)는 고대 그리스의 전설 속에 나오는 괴물이다. 사자의 머리에 염소의 몸통, 뱀의 꼬리를 가졌다. ‘악의 힘’을 가진 불길한 동물로 그려진다. 종(種)의 경계를

    중앙일보

    2008.05.23 00:37

  • [Family건강] 헉 ! 에이즈 환자가 쓴 주사기에 찔렸다

    [Family건강] 헉 ! 에이즈 환자가 쓴 주사기에 찔렸다

    최근 방영됐던 TV 의료 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 극중에서 의사 안중근은 매독 환자의 피를 뽑다가 주사기에 손을 찔린다. 이때 중근은 매독 예방을 위해 페니실린 주사를 맞는다.

    중앙일보

    2007.04.22 20:25

  • 알면 이기는 간질환 – 지방간, 간경변, 간암

    간세포의 지방이 지나치게 축적된 상태 지방간 '간'은 인체의 신진 대사, 그 중에서도 지방 대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간의 구성 성분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보

    중앙일보

    2006.10.16 17:40

  • 백신 부작용 바로 알기

     백신 부작용의 원인● 백신부작용과 이상반응 백신은 인체로 하여금 사전에 면역체계를 작동시킨 후 나중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원체에 적절한 면역반응이 신속하게 작동하여 체내로부터

    중앙일보

    2006.01.26 11:22

  •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 흔히 하는 질문과 답변(FAQ)

    아래 자료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작성하여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한 'Avian influenza frequently asked question'를 번역한 것입니다. 참고 설명은 질병관리

    중앙일보

    2005.10.19 16:12

  • [세계 지식인 지도] 카오스와 복잡계과학의 선구자들

    최근 '복잡계 (complex system)' 란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진화.면역.뇌.생물집단.생태계 등 생물학 분야뿐 아니라 인구문제.지구 온난화.산림 감소 등 지구환경계,

    중앙일보

    2001.06.14 00:00

  • 카오스와 복잡계과학의 선구자들

    최근 ''복잡계 (complex system)'' 란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진화.면역.뇌.생물집단.생태계 등 생물학계 뿐 아니라 인구문제.지구 온난화.산림 감소 등 지구환경계,

    중앙일보

    2001.06.13 18:37

  • 학교 집단 요검사

    만성 신장염을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할 수만 있다면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되는 것을 상당수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자신은 물론 국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득이 될

    중앙일보

    2001.01.09 15:24

  • 베일을 벗는 알츠하이머병의 비밀

    ▶베일을 벗는 알츠하이머병의 비밀 미국의 시인 칼 샌드버그는 ‘안개는 작은 고양이의 발걸음처럼 살금살금 다가온다’고 표현했다. 기억을 흐리는 안개라고 할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노인

    중앙일보

    2000.02.10 20:06

  • 기형아③ 기형아 검사Ⅰ

    어느 산부인과에서나 임신 16주에서 18주에 임신부의 혈액을 채취해 기형아 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는 유전적인 결함이 없는 건강한 부부 사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선천성 기형(신

    중앙일보

    1999.07.30 10:57

  • [음식 잘못 먹어 걸리는 병들]

    올해 여름부터 이질이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전례없이 집단 발생했다. 또 O - 157 환자가 일본.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발생한 사실이 최근 확인됐다. 이들 질병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중앙일보

    1998.11.18 00:00

  • 한약분쟁 회오리 장관3명 교체-96의료계 결산

    한.약분쟁에서 에이즈 치료법 개발까지.96년 의료계는 의료정책과 제도면에서 의료주체간의 첨예한 갈등과 난맥상을 여실히 드러낸 반면 환자 위주의 진료도입과 첨단의학 발달등 긍정적인

    중앙일보

    1996.12.30 00:00

  • 내일 에이즈의날-지구촌 에이즈감염자 1천6백만명

    12월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제7회 세계 에이즈의 날.특히 올해는 「에이즈와 가정」이라는 주제로 에이즈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가정이 효과적으로 대처할 것을 촉구하고 있

    중앙일보

    1994.11.30 00:00

  • 북한 방송 직접 수신 찬반논쟁-전석호교수.이덕주국장

    金日成사망보도를 계기로 언론의 북한방송 직접수신에 대한 찬반양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상당수의 언론관계자들은 언론이 이제 북한뉴스의 보도여부를 자체판단할 충분한 양식과 능력을 갖춘

    중앙일보

    1994.07.22 00:00

  • 엄격한 검사로 수입조건 강화해야

    북미산수입곡물에서 발암물질인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정덕화교수의 실험보고서는 최근 미하원청문회에서 미국산옥수수의 아플라톡신 오염사실이 밝혀진 뒤 국내에서 일었던 수입곡물에 대한 오염우

    중앙일보

    1989.06.19 00:00

  • 난치병 금세기에 정복된다|일 과기청, 의학전문가 1백27명 예측조사

    급속히 발전하는 과학기술로도 질병의 정복은 불가능한가. 이 같은 의문에 대한 예측조사가 최근 일본에서 행해져 궁금증을 풀어주는 실마리가 되고있다. 일본 과학기술청의 조사에 따르면

    중앙일보

    1988.03.11 00:00

  • 위암

    한국에서의 주암은 남성에서는 30%로 수위를, 여성에서는 자궁암에 이어 2위(17%)를 차지하며 전체적으로는 암환자 4명에 1명골을 차지한다. 또 연간 위암사망자는 전체 암 사망자

    중앙일보

    1986.06.19 00:00

  • 알콜중독자 술마셔야 뇌기능 정상

    술꾼들은 많은 술을 마신 다음날 전날밤의 기억을 되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 습관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에서 술을 마신후에는 옛날의 기억까지를 살려 얘기를 잘하는 경우를 보는

    중앙일보

    1984.08.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