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통 고건축과 문화재 보수의 장인 신영훈 선생 별세

    전통 고건축과 문화재 보수의 장인 신영훈 선생 별세

    한옥과 문화재 보수의 대가 신영훈 선생이 28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85세. 1962년부터 1999년까지 문화재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연합뉴스] 한옥 건축과 문화재 보수의 대가

    중앙일보

    2020.05.28 19:24

  • "동의없이 미군 훈련장 웬 말이냐"…뿔난 충북 진천 주민들

    "동의없이 미군 훈련장 웬 말이냐"…뿔난 충북 진천 주민들

    지난 10일 충북 진천군 진천읍 백곡천 둔치에서 주민 1500여 명이 미군 훈련장 조성을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 진천군] 국방부가 추진하는 미군 독도법(讀圖法) 훈련

    중앙일보

    2017.04.17 11:43

  • 다층 한옥, 변형 한옥 … 비판 말고 경험 축적 기회 삼아야

    다층 한옥, 변형 한옥 … 비판 말고 경험 축적 기회 삼아야

    고건축 전문가 김영일 행수(왼쪽)와 현대한옥 설계사인 조정구 구가도시건축 대표. 김씨가 1996년 지은 충북 진천 보탑사 3층 목탑 북쪽 경사면에서 바람과 물햇빛과 조화를 꾀하

    중앙선데이

    2014.07.06 00:57

  • 그림 하나에 손작업 50만 번 … 펜화로 그린 역사

    그림 하나에 손작업 50만 번 … 펜화로 그린 역사

    김영택 작 ‘해인사 일주문’, 종이에 먹펜, 2007.세계에서 가장 가는 펜촉의 굵기는 0.1㎜. 이 펜촉을 사포로 갈면 약 0.03㎜가 된다. 이 펜촉으로 1㎜안에 선 5개를 그

    중앙일보

    2013.12.30 00:54

  • ‘펜과 펜의 만남’ 김영택 특별전

    ‘펜과 펜의 만남’ 김영택 특별전

    본지에 연재 중인 김영택 화백의 펜화 ‘콜로세움’.가는 선만으로 전세계 건축물을 복원한다. 펜화작가 김영택(67) 화백이 국제펜(PEN)대회가 열리는 경주에서 ‘펜화에 담긴 세계건

    중앙일보

    2012.09.11 00:34

  • [week &] 비움이 채움입니다

    [week &] 비움이 채움입니다

    휴식형 템플스테이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없다. 오로지 쉬어갈 수 있는 절이다. 경북 안동 봉정사 구견 스님은 “펜션에서 쉬는 것보다 절이 더 마음이 와 닿는 사람이 주로 찾는다”고

    중앙일보

    2010.12.03 00:22

  • 가을 산행 시리즈 [3]천안·아산 인근 산

    가을 산행 시리즈 [3]천안·아산 인근 산

    가을 산은 보약이다. 가을 산에 오르는 것은 보약 3재를 먹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등산로를 따라 10분만 걸어도 심신의 피로가 풀리고 스트레스도 사라진다. 산이 1년

    중앙일보

    2009.10.29 18:43

  • 한옥 대중화 터 닦은 아버지와 딸

    한옥 대중화 터 닦은 아버지와 딸

    “한옥은 나무를 만질 수 있는 곳에서 가르쳐야 해. 교실에서 말로만 가르치는 것과 달라. 한옥을 가르치기에 이만한 분위기를 지닌 곳은 흔치 않아.” 문화재전문위원과 한옥문화원장을

    중앙일보

    2009.09.26 00:31

  • [김영택의 펜화기행] 0.03mm 펜촉에 담은 ‘대탑’

    [김영택의 펜화기행] 0.03mm 펜촉에 담은 ‘대탑’

    종이에 먹펜, 43x58cm, 2008.세계에서 제일 가는 펜촉의 굵기가 0.1mm인데 사포에 갈면 약 0.03mm가 됩니다. 숙달이 되면 이 펜촉으로 1mm 안에 5개의 선을 그

    중앙일보

    2008.10.09 16:07

  • [세상돋보기] 2000여㎡ 연꽃밭

    [세상돋보기] 2000여㎡ 연꽃밭

    충북 진천군 연곡리 보탑사 주변 연못에 연꽃이 만발해 관광객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 일대 2000여㎡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연꽃은 6월 말 피기 시작해 7~8월까지 볼 수

    중앙일보

    2008.07.09 00:06

  • [week& 레저] 유익한 겨울방학 나들이 정보

    아이들 방학에 맞춰 다양한 여행 상품과 문화 답사 프로그램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중시한다는 게 가장 큰 특징. 몇 가지를 추려봤다. 어린이 궁궐지킴이 체험

    중앙일보

    2004.01.29 16:20

  • 궁궐 건축 당대 최고의 도편수

    26일 오후 1시 5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도편수 조희환(曺喜煥)씨는 궁궐과 한옥 건축에 관한 한 당대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대목장(大木匠)이라고도 부르는 도편수는 궁궐·

    중앙일보

    2002.12.27 00:00

  • 내일 보탑사서 '산사음악회'

    충북 진천군 진천읍의 보탑사에서 13일 오후 7시30분 음악회가 열린다. 4회인 이 산사음악회에는 법현 스님, 대중가수 장사익·김태곤·해바라기·이은하, 삼선포교원합창단, 가톨릭합

    중앙일보

    2002.07.12 00:00

  • [이시형의 세상 바꿔보기] 전문가의 시대에

    절이면서 절 같지 않은 독특한 양식의 진천 보탑사. 본당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다. 늦여름 햇살이 아직 뜨겁다. 높다란 천장에 매달려 단청 칠하는 노인의 손길이 바쁘다. 연신 떨어지

    중앙일보

    2001.04.26 00:00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10. 숭례문

    주변을 휘감듯 지나가는 수많은 차량과 분주히 주변을 오고 가는 사람들, 도심의 고층빌딩에 둘러싸여진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崇禮門). 남대문으로 더 자주 불리는 숭례문, 그리고

    중앙일보

    2001.03.14 00:00

  • [독서 칼럼] 시인보다 위대한 시

    내게도 그런 때가 있었다. 누구로부터 풋과일처럼 새큼한 고백을 받고 인생이 시구(詩句) 처럼 정결하리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얼골 하나 야 손가락 둘 로 폭 가리지 만 보고 싶은 마

    중앙일보

    2000.12.09 10:29

  • [독서 칼럼] 신인보다 위대한 시

    내게도 그런 때가 있었다. 누구로부터 풋과일처럼 새큼한 고백을 받고 인생이 시구(詩句)처럼 정결하리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얼골 하나 야 손가락 둘 로 폭 가리지 만 보고 싶은 마음

    중앙일보

    2000.12.09 00:00

  • [전원투자 이렇게] 전통찻집·음식점 운영 김원길씨

    "가족여행 길에 식사를 하러 우연히 들렀던 곳이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된 새로운 생활 터전이 됐습니다." 충북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계곡 안쪽에 있는 사찰인 보탑사 가는 길 옆을

    중앙일보

    2000.05.03 00:00

  • [전원투자 이렇게] 월 1,500만원 매출…절반이 순수익

    "가족여행 길에 식사를 하러 우연히 들렀던 곳이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된 새로운 생활 터전이 됐습니다." 충북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계곡 안쪽에 있는 사찰인 보탑사 가는 길 옆을

    중앙일보

    2000.05.02 19:13

  • 진천 보탑사 한여름밤 '이색 음악회'

    여름 낮은 길다. 무더위에 지친 구름이 몇 조금의 비로 맑게 씻은 낮짝을 지는 햇살에 발그스레 붉히는 저녁. 굽이굽이 외줄기 길도 끝난 산사 (山寺)에서 한여름밤의 음악회가 열렸다

    중앙일보

    1999.07.26 00:00

  • [월요 인터뷰]고졸출신 서울대강사 신영훈 古건축가

    엉뚱하고 이상한 일이 다반사 (茶飯事) 처럼 일어나는 세상인지라 당연한 일이 오히려 신기하게 보일 때가 있다. 우리 고건축 분야에서 40년 넘게 활동해 이 방면에서는 진작부터 전문

    중앙일보

    1998.03.16 00:00

  • 보탑사 3층목탑

    지난 9일 오전11시.충북진천군진천읍연곡리 보련산 기슭에서 보탑사 3층목탑 준공의식이 시작됐다.새벽부터 자리잡은 사람들을헤치고 들어설 엄두가 나지 않아 이만큼 떨어진 감나무 밑에서

    중앙일보

    1996.06.15 00:00

  • 우리시대의 목수

    지금은 「인기없는 직업」「사라져가는 직업」 가운데 하나로 꼽힐만큼 따돌림을 당하고 있지만 목조(木造)가 건축.공예의 주축이었던 시대의 목수는 무시하지 못할 기능공이자 예술인이었다.

    중앙일보

    1996.05.27 00:00

  • 한국 古건축의 匠人 申榮勳 문화재전문위원

    『이,뭐꼬』는 전통적인 불가의 화두다.헛 눈 뜨지 말고 심안(心眼)을 켜라는 뜻쯤된다. 『집이 뭐꼬』는 목수(木壽) 신영훈(申榮勳.문화재 전문위원)씨의 화두다.우리 시대의 「도편수

    중앙일보

    1995.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