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송인 정재환씨 박사학위

    방송인 정재환씨 박사학위

    방송인 정재환(51·사진)씨가 한글 연구로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는다. 논문은 ‘해방 후 조선어학회·한글학회 활동 연구 ’.

    중앙일보

    2012.12.19 00:31

  • 가로쓰기·띄어쓰기·쉼표 … 한글 근대화 과정 한눈에

    가로쓰기·띄어쓰기·쉼표 … 한글 근대화 과정 한눈에

    1895년 나온 국내 첫 번역 소설인 ‘텬로력뎡(천로역정)’의 목판과 인쇄본. [사진 배재학당역사박물관]‘우리大朝鮮은亞細亞洲中의一王國이라’  고종 32년(1895)년 발간된 『국민

    중앙일보

    2012.10.25 00:45

  • [브리핑] 광화문에 조선어학회 33인 조형물 건립 外

    광화문에 조선어학회 33인 조형물 건립 서울시가 한글을 지키고 갈고 닦은 인물을 상징하는 조형물을 광화문 열린시민마당에 세운다.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맞서 조선어대사전을 편찬하

    중앙일보

    2012.10.09 00:03

  • 주시경 ‘말모이 원고’ 문화재 된다

    주시경 ‘말모이 원고’ 문화재 된다

    주시경(왼쪽) 선생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 보관돼 있는 조선말큰사전 원고. [사진 문화재청]주시경(1876~1914) 선생 등 한글학자들이 1910년대 초 최초의 우리말 사전

    중앙일보

    2012.10.09 00:00

  • [분수대] 해외로 뻗는 한국어 국내에선 찬밥 신세 … 한글날 공휴일로 삼아야

    [분수대] 해외로 뻗는 한국어 국내에선 찬밥 신세 … 한글날 공휴일로 삼아야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오늘부터 11일까지는 ‘한글 주간’이다. 한글 반포 566돌을 맞이하는 올해 한글날(9일)을 전후한 일주일을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글 주간으로 정했다. 경복궁

    중앙일보

    2012.10.05 00:53

  • 흩어졌던 한국어 학술단체 67개 뭉친다

    흩어졌던 한국어 학술단체 67개 뭉친다

    1935년 1월 조선어학회 회원과 한반도의 각 지역 언어를 대표하는 이들이 모였다. 표준어를 정리하기 위해서다. 사전 편찬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일제의 탄압으로 사전 편찬은

    중앙일보

    2012.09.26 00:53

  •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 주변 ‘한글마을’로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 주변 ‘한글마을’로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崔鉉培·1894~1970·사진) 선생의 생가 일대가 ‘한글마을’로 조성된다.  울산시 중구는 136억원을 들여 중구 동동에 있는 외솔의 생가 주변 39만㎡에

    중앙일보

    2012.08.08 00:20

  • 김법린, 6월의 독립운동가

    김법린, 6월의 독립운동가

    3·1운동 때 범어사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김법린(1899~1964·사진) 선생이 국가보훈처에서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됐다.  1913년 경북 영

    중앙일보

    2012.06.04 02:35

  • [j Focus] 한국서학회 명예회장 이곤

    [j Focus] 한국서학회 명예회장 이곤

    [사진=박종근 기자] 그는 매일 먹을 간다. 직접 갈 때도 있고, 반백 년을 함께한 백발의 부인이 갈기도 한다. 또 한 해가 바뀌었지만 이 풍경은 수십 년째 그대로다. 이곤(82)

    중앙일보

    2012.01.07 01:13

  • [분수대] 서울 사투리

    [분수대] 서울 사투리

    조선 시대에는 서울(한양)의 4대문 밖만 나서면 시골로 쳤다. 서울에서 나고 자란 사람은 경인(京人)으로,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은 향인(鄕人)으로 불렸다. 향인도 서울에서

    중앙일보

    2010.11.16 00:02

  • 암울한 시절 기꺼이 희생한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산실

    암울한 시절 기꺼이 희생한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산실

    김제에서 옮겨져 새로 단장된 장현식 고택. 전주시는 영빈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실내 화장실 등을 설치했다. ㄴ자형 안채와 ㅡ자형 중간채로 돼 있다. 신동연 기자 전주의 풍광이 한눈

    중앙선데이

    2010.09.05 03:42

  • [그때 오늘] 일제의 조선어 말살정책 속 주옥 같은 시어 쏟아낸 조지훈

    [그때 오늘] 일제의 조선어 말살정책 속 주옥 같은 시어 쏟아낸 조지훈

    성북동 자택 툇마루에 한복차림으로 망중한을 즐기는 조지훈(趙芝薰·1920~68). 주실마을 ‘조지훈 문학관’ 소장 사진. 그는 국망(國亡)의 암울한 시절 민족의 전통을 맛깔스러운

    중앙일보

    2010.05.17 00:26

  • [그때 오늘] 적극적 저항 대신 민족 정체성 연구 택한 육당 최남선

    [그때 오늘] 적극적 저항 대신 민족 정체성 연구 택한 육당 최남선

    3·1운동 직후 영어(囹圄)의 몸이 되었을 때 수인번호 1605번을 단 최남선(崔南善, 1890~1957). 항상 미투리를 신고 두루마기를 휘날리며 동분서주했던 그를 당시 사람들은

    중앙일보

    2010.04.26 00:15

  • [그때 오늘] “일본어만 쓰고 말하라”… 일제의 한국어 말살정책 본격화

    [그때 오늘] “일본어만 쓰고 말하라”… 일제의 한국어 말살정책 본격화

    일본어 상용을 강제한 제3차 개정교육령이 공포된 1938년 이전에도 조선어 수업 시간을 제외한 모든 교과는 일본어로 학습됐다. 사진은 1934년 남양보통학교의 수업 장면. 칠판에

    중앙일보

    2010.03.17 01:13

  •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한글학회 김승곤(82) 회장이 ‘조선어학회 사건’(1942~43)으로 일제에 검거된 당시 회원 33인의 사진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앙선데이

    2009.12.27 13:19

  •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잡탕’ 우리말 사전, 언제 고칠건가

    한글학회 김승곤(82) 회장이 ‘조선어학회 사건’(1942~43)으로 일제에 검거된 당시 회원 33인의 사진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정동 기자 한글을 공식 문자로 채택한

    중앙선데이

    2009.12.27 01:47

  • 외솔 유품, 고향 울산으로 돌아왔다

    외솔 유품, 고향 울산으로 돌아왔다

    최현배 선생의 생전 모습.우리말의 입지를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우리말본’ 을 저술하는 등 한글학계의 태두로 꼽히는 외솔 최현배(1894~1970·사진) 선생의 유품 1만여점

    중앙일보

    2009.08.11 01:43

  • 정규웅의 문단 뒤안길-1970년대 ‘이은상 문학관’ 시비

    정규웅의 문단 뒤안길-1970년대 ‘이은상 문학관’ 시비

    탤런트 반효정과 이야기를 나누는 1970년대 노산 이은상(오른쪽)의 모습. ‘내 고향 남쪽 바다/그 파란 물 눈에 보이네/꿈엔들 잊으리요/그 잔잔한 고향 바다/지금도 그 물새들

    중앙선데이

    2009.07.26 00:12

  • 옛날 교과서는 어떤 모습일까

    옛날 교과서는 어떤 모습일까

    조선시대와 근·현대 교육자료를 보여 주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대구보건대학이 마련한 ‘옛과 오늘의 교과서’ 특별전이 그것이다. 11일 교내 인당박물관에서 개막된 전시회에는 모두

    중앙일보

    2009.05.12 01:47

  • [우리말바루기] 한글날의 유래

    처음으로 한글날을 기념한 것은 일제시대인 1926년이다. 한글이 반포(1446년)된 지 8회갑(480돌)이 되는 1926년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와 신민회가 공동으로 식도원(食道

    중앙일보

    2007.10.08 19:18

  • 을유문화사 정진숙 회장 "꼭 내야 하는 책 내는 게 진정한 의무"

    을유문화사 정진숙 회장 "꼭 내야 하는 책 내는 게 진정한 의무"

    한국 출판계의 산증인 정진숙(95·사진) 을유문화사 회장이 60여년의 출판 인생을 정리한 자서전 『출판인 정진숙』(을유문화사)을 펴냈다. 정 회장은 해방 직후 집안 어른이었던 위당

    중앙일보

    2007.08.07 04:58

  • 정지용·김훈 문인 배출 … 신동파.서장훈 스포츠 스타도

    1906년 민영휘 선생이 문을 연 휘문고는 100년 동안 약 4만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시인 정지용은 휘문고보 재학 시절부터 습작지 '요람'을 발표했고 23년 졸업한 뒤 다시

    중앙일보

    2006.05.10 05:59

  • [책동네] 여행·사진 소재 책 잇따라 출간

    여행.사진 소재 책 잇따라 출간 휴가철을 맞아 여행ㆍ사진을 소재로 한 책들이 잇따라 출간됐다. '5불 생활자 낭인, 세상에 못 갈 곳은 없다'(심태열 글.사진, 자인, 320쪽,

    중앙일보

    2005.07.29 20:43

  • [삶과 추억] 한글학자 한갑수 선생 별세

    [삶과 추억] 한글학자 한갑수 선생 별세

    한글 사랑과 전파에 한평생을 바쳐온 원로 한글학자 한갑수 선생이 21일 오전 6시 노환으로 별세했다. 91세. 1913년 경기도 가평에서 태어난 고인은 전북 고창고보를 졸업한 뒤

    중앙일보

    2004.11.21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