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2일 세계 물의 날] 농촌, 먹는 물 '위험 수위'

    [22일 세계 물의 날] 농촌, 먹는 물 '위험 수위'

    마을 앞으로 소양강이 흐르는 산 좋고 물 맑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1리. 이곳 주민들이 마시는 물은 소양댐 물이 아니라 마을 옆 과수원 한가운데에 뚫은 관정의 지하수다. 주

    중앙일보

    2004.03.21 18:10

  • USA투데이, 허위 보도 사과

    미국 유일의 전국 일간지인 USA 투데이는 19일자 2개 면을 할애해 국제부 소속 잭 켈리(43)기자의 오보(誤報)를 자체 조사한 결과와 크레이그 문 사장의 사과문을 보도했다. "

    중앙일보

    2004.03.21 18:00

  • 인플루엔자·설사환자 증가…위생 주의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각급학교 개학으로 집단생활이 늘어나면서 인플루엔자와 설사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개인 위생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18일 밝혔다. 본부가 전국 480개 의료기관을

    중앙일보

    2004.03.18 11:44

  • [원로의 고언] 3. 감정 앞세운 정치는 이제 그만

    지난 3월 12일에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사건은 우리나라 전체의 크나큰 불상사임에 틀림없다. 결과가 불행인 까닭에 거기에는 승자는 있을 수 없고 모두가 패자일 뿐이

    중앙일보

    2004.03.15 18:27

  • "과열됐다" vs "정상이다"…중국 경제진단 제각각

    중국 전국정치협상회의(政協) 개막 이틀째이던 지난 4일. 원자바오(溫家寶)총리는 유명 경제학자들이 운집한 정협의 경제 분과 위원회를 찾았다. 먼저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우징롄

    중앙일보

    2004.03.15 18:20

  • [긴급 지상 대결] 헌정 첫 탄핵 정국

    [긴급 지상 대결] 헌정 첫 탄핵 정국

    한나라당과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9일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뒤 정당성을 놓고 찬반 양론이 격돌하고 있다. 탄핵을 주도하고 있는 민주당 유용태 원내대표와 이를

    중앙일보

    2004.03.10 18:52

  • [총선현장] 7. 목포에서 DJ가 출마한다(?)

    [총선현장] 7. 목포에서 DJ가 출마한다(?)

    김대중(金大中)과 김홍일(金弘一)의 후계자 대결-. 전남 목포 유권자들이 다가오는 총선을 앞두고 흔히 하는 말이다. "어떻게 대통령을 했던 양반이 아들의 후계자하고 다시 총선에서

    중앙일보

    2004.03.09 14:23

  • [내 생각은…] 국가 혈액관리 불안하다

    순수하게 헌혈된 혈액으로 수혈한 이들이 그 무서운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에 감염된 경우가 2003년에 2명이 있었다. 그뿐 아니라 지금까지 확인된 경우만도 13건이나 돼 수혈에

    중앙일보

    2004.03.07 18:55

  • 중국 국방비 대폭 늘린다

    중국의 국방예산이 다시 두 자릿수 성장을 보였다.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에 참석 중인 진런칭(金人慶) 중국 재정부장은 지난 6일 군 현대화 작업 및 강군 육성 등을 위해 올해 국

    중앙일보

    2004.03.07 18:23

  • 자전거 타고 고양선 살인… 천안선 강간… 전국 누빈 강도

    "자전거를 타고 다니면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어요." 자전거를 타고 전국을 누비며 살인뿐 아니라 40여 차례의 강도.성폭행.절도 행각을 벌인 용의자가 경찰에 붙잡혔다. 전과 5범 李

    중앙일보

    2004.03.04 18:35

  • 성매매 피해 여성들의 분노

    성매매 피해 여성들의 분노

    "피해 조사받는 줄 알고 그냥 시키는 대로 지장을 찍었을 뿐인데, 그게 절 피의자로 만들 줄 누가 알았겠어요. 억울하다고 했더니 지문을 찍었기 때문에 번복할 수 없대요. 맨 처음

    중앙일보

    2004.03.02 14:40

  • [이홍구 칼럼] 3·1절 정신 어디로 갔나

    무엇인가 하나도 제대로 풀리는 일이 없는 답답함이 우리 사회를 짓누르고 있다. 정치.경제.사회.교육 등 어떤 분야도 혼란과 침체 속에서 허덕이고 있으며 이 나라를 떠나서 이민의 길

    중앙일보

    2004.02.29 18:32

  • [week& cover story] 보물을 찾는 사람들

    [week& cover story] 보물을 찾는 사람들

    *** 8년간 찾고 또 찾고 … 재기 노리는 오세천씨 많이 지쳐 보였다. 게다가 경계심도 풀지 못하는 표정이다. 마치 '더 괴롭힐 게 남았느냐'는 그런 얼굴. 한눈에도 이런저런 풍

    중앙일보

    2004.02.19 15:18

  • [최병렬 대표 관훈토론회 중계]

    [최병렬 대표 관훈토론회 중계]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가 17일 오후 중견언론인들의 모임인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당을 쇄신하기 위한 방안과 자신의 거취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힙니다. 최 대표는 관훈클럽이 주최하는

    중앙일보

    2004.02.17 10:25

  • FTA 비준동의안 16일 네번째 시도

    국회는 16일 본회의를 열어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을 처리한다. 한.칠레 FTA비준안은 지난해 7월 8일 국회에 동의안이 제출된 이래 지난해 12월 30일과 지난

    중앙일보

    2004.02.15 18:32

  • [구름의 역사] 1. 일본과 나

    [구름의 역사] 1. 일본과 나

    유구하게 흘러내려 오는 대우주에 비하면 사람의 목숨이란 반짝했다 꺼지는 순간에 불과하다. 그 반짝 안에 담겨질 이야기가 있게 했으니, 조물주도 희한한 취미를 가졌다. 새파란 싹이었

    중앙일보

    2004.02.10 18:02

  • 공천반대 명단 발표문 전문 (선정경위)

    공천반대자 선정의 변 다시 한번 희망의 정치를 기대합니다. 정치는 희망이어야 하며, 정치인은 모범이어야 합니다. 교과서에나 접할만한 식상한 경구라 할지라도 그것이 정치와 정치인에게

    중앙일보

    2004.02.05 09:43

  • 조류독감 베이징 위협

    중국 전역으로 퍼지고 있는 조류독감이 수도 베이징(北京)의 턱 밑까지 접근했다. 중국 농업부는 3일 베이징과 불과 3백여㎞ 떨어진 산시(陝西)성과 간쑤(甘肅)성 란저우(蘭州)시의

    중앙일보

    2004.02.04 18:09

  • 체전 개최도시 결정유보 반발

    전국체전 개최도시 결정을 앞두고 김천시가 대한체육회의 선정과정에 의혹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천시는 2006년 열릴 제87회 전국체전을 유치키로 하고 힘을 쏟고 있지만 대한

    중앙일보

    2004.02.02 21:05

  • [해외 칼럼] 美대선 '케리 돌풍' 계속될까

    미국의 대통령 선거 운동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2주 만에 흥미있는 결과들도 나왔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국정 연설에서 정부의 성과를 홍보하는 것으로 일관했다. 부시 대통령은

    중앙일보

    2004.02.02 18:51

  • 잦은 전염병 … ' 축산 慶州 ' 흔들

    잦은 전염병 … ' 축산 慶州 ' 흔들

    경주지역의 가축 질병 발생이 한달째 계속되고 있다. 지난 연말 조류독감을 시작으로 가금티푸스, 돼지 설사병에 이어 지난 주말 그동안 잠잠했던 한우에서도 소 결핵, 소 브루셀라병이

    중앙일보

    2004.02.01 20:27

  • 中 조류독감 상하이까지 확산

    중국 내 조류독감이 결국 중국 최대의 경제도시인 상하이(上海)로까지 번졌다.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은 30일 "후베이(湖北).후난(湖南)성에서 조류독감 H5N1형 바이러스가 확

    중앙일보

    2004.01.31 00:08

  • [week& cover story]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대통령

    사람들은 몇 명을 거쳐야 대통령과 연결된다고 생각할까. 사회 연결망 조사 결과 '서너 사람만 거치면 온 국민이 아는' 것으로 나타난 우리나라에서 말이다. week&팀은 R&R에 의

    중앙일보

    2004.01.09 08:23

  • 中 7억명 대이동…"사스 막아라"

    中 7억명 대이동…"사스 막아라"

    중국에 다시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비상이 걸렸다.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사스감염이 의심되는 환자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숨어 있는 사례까지 감안한다면 이미

    중앙일보

    2004.01.08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