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진] 블랙홀의 탄생

    [사진] 블랙홀의 탄생

    미 항공우주국(NASA)이 17일(현지시간) 블랙홀 생성 초기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적외선을 감지하는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찍은 것이다. 과학 주간지인 ‘네이

    중앙일보

    2010.03.19 02:42

  • 위성이 찍은 은하수

    위성이 찍은 은하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적외선 천문 위성(IRAS)’이 6개월간 촬영한 사진을 합성해 우주의 모습이라며 3일 공개한 이미지. 타원 가운데 밝게 빛나는 수평선이 태양계가 속

    중앙일보

    2009.11.05 03:03

  • 유난희의 스토리가 있는 명품[10] 레이밴

    유난희의 스토리가 있는 명품[10] 레이밴

    유난희의 스토리가 있는 명품 레이밴 시대·유행 불문, 변치 않는‘카리스마’ "나를 더 드러내고 자신감을 표현하는패션 소품" 선글라스에 관한 얘기를 하던 중 후배가 자신의 친구가 겪

    중앙일보

    2009.05.26 13:52

  • 일본, 개도국 태양광 발전 지원 환경산업 선점 나서

    일본, 개도국 태양광 발전 지원 환경산업 선점 나서

     일본 정부가 개발도상국에 대한 ‘그린 인프라’ 지원으로 환경 비즈니스 시장을 공략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가 10일 발표한 추가 경제 대책에는 아시아·아프리카·중동의 개도국 50여

    중앙일보

    2009.04.13 02:46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천체망원경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천체망원경

    예전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인 줄 알았다. 태양도 별도 모두 지구를 가운데 두고 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제 지구는 우주에 떠 있는 작은 행성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하지

    중앙일보

    2009.03.24 12:02

  • ‘가장 어두운 별’ 탄생 순간 포착

    ‘가장 어두운 별’ 탄생 순간 포착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아기별(생성 초기의 별) 탄생 현장(사진)이 한·미 공동 연구팀에 의해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센터 이창원 박사가

    중앙일보

    2009.03.13 01:28

  • 거기엔 태양이 두 개 … 새 외계 행성계 찾았다

    거기엔 태양이 두 개 … 새 외계 행성계 찾았다

     두 개의 ‘태양’을 가진 외계 행성계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은 모두 한 개의 ‘태양’ 주위를 돌 뿐이다. 영화 ‘스타워즈’의 한 장면으로 두 개의 태양이

    중앙일보

    2009.02.05 20:17

  • [사진] 외계 행성서 첫 CO₂발견 생명체 존재할 가능성

    [사진] 외계 행성서 첫 CO₂발견 생명체 존재할 가능성

     미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은 9일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별 주위를 돌고 있는 목성 크기의 행성(HD 189733b)에서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대기를 관측

    중앙일보

    2008.12.11 05:12

  • 첨단 IT헬멧에 자동 지혈하는 나노섬유 군복까지

    첨단 IT헬멧에 자동 지혈하는 나노섬유 군복까지

    1.무인헬리콥터 ‘파이어 스카우트’ FCS 정찰 장비 가운데 가장 고기능(Class 4)인 이 무인 정찰기는 작전 거리 200㎞로 8시간씩 수㎞ 높이에 체공하면서 정찰하고 동영상

    중앙선데이

    2008.10.26 07:21

  • 타이탄에 비 내린다고? 국내외 과학자들 논쟁

    타이탄에 비 내린다고? 국내외 과학자들 논쟁

    유럽우주국의 우주탐사선 호이겐스가 2005년 1월 토성 위성 타이탄에 착륙하면서 찍은 영상. 표면은 어둡고 자갈 같은 물체들이 널려 있다. [중앙포토]태양계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중앙일보

    2008.06.26 19:47

  • 중앙과학관, 초등생 대상 미래 과학교실 개설

    “내가 만든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찰해 보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적외선을 검출할 센서를 제작할 수 없을까?” 대전 대덕단지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은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어린이들이

    중앙일보

    2008.02.22 05:28

  • [week&쉼] 장흥 하늘 아래 별들의 쇼쇼쇼

    [week&쉼] 장흥 하늘 아래 별들의 쇼쇼쇼

    송암 천문대의 플라네타륨.『동물기』의 저자 시턴은 “별자리 12개만 알면 길을 잃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옛날 얘기다. GPS 내비게이션이 자동차 필수품이 돼 버린 요즘 누구

    중앙일보

    2007.08.16 14:08

  • 4조원짜리 우주망원경 모형 공개

    4조원짜리 우주망원경 모형 공개

    10일 미국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에서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45억 달러짜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공개됐다. [워싱턴 AP=연합뉴스]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4

    중앙일보

    2007.05.14 03:12

  • [생각키우기] 5월 14일

    ① 항성과 행성의 차이점은? ② 외계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필수조건 두 가지는? ☞물이 필요하며 행성이 암석으로 구성돼야 한다. ③ 외계 생명체(ET)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중앙일보

    2007.05.13 21:44

  • [BOOK책갈피] 철학자 볼테르의 품에서 과학의 열정 불태운 여인

    [BOOK책갈피] 철학자 볼테르의 품에서 과학의 열정 불태운 여인

    마담 사이언티스트 원제: Passionate Minds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최세민 옮김 생각의나무, 432쪽, 1만5000원 불꽃 같은 삶을 산 프랑스 여류 과학자 에밀리 뒤

    중앙일보

    2006.10.13 20:35

  • 육·해·공서 "북 핵실험 증거 잡아라"

    육·해·공서 "북 핵실험 증거 잡아라"

    북한의 핵실험 이후 미국을 비롯한 관련 국가들의 첨단 장비들이 함경북도로 쏠리고 있다. 핵실험의 규모와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아직까지 별다른 징후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중앙일보

    2006.10.12 21:55

  • 보이지 않는 '암흑 은하' 발견

    암흑물질(dark matter)로 구성된 암흑 은하가 영국 카디프 대학이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BBC 인터넷판이 24일 보도했다. 암흑물질이란 망원경은 물론 적

    중앙일보

    2005.02.24 19:24

  • [재미있는 전파 이야기] 레이더로 땅속까지 훤히 본다

    [재미있는 전파 이야기] 레이더로 땅속까지 훤히 본다

    가정용 전기는 60Hz(헤르츠)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60Hz란 1초에 60번 양극(+)과 음극(-)이 바뀌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전파의 주파수 범위는 해석하기에 따라 다

    중앙일보

    2004.12.15 18:17

  • [엄마랑 NIE] 허블 우주망원경은 어떤 기능 있을까

    [엄마랑 NIE] 허블 우주망원경은 어떤 기능 있을까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저 별에도 생명체가 살까…. 누구나 우주를 들여다 보고 싶은 심정은 마찬가지일 거예요.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1899~1953)도 무척 궁금했어요. 그래

    중앙일보

    2004.10.31 17:19

  • 지구 닮은 행성을 찾아라

    지구 닮은 행성을 찾아라

    우주는 첫 시작인 '빅뱅' 이후 어떻게 진화했을까. 또 우주에는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있는 별이 있을까. 천문학자들이 밤을 낮 삼아 하늘을 관측하는 이유 중 하나다.이런 의문을 풀

    중앙일보

    2004.09.22 17:56

  • [사이언스 브리핑] 인공위성 이용해 재해지도 작성 外

    *** 인공위성 이용해 재해지도 작성 인공위성을 이용해 우리 국토의 재해지도가 처음으로 만들어진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최근 유엔 연구사업소 위성재해관리센터와 과거의 재해지역을 분

    중앙일보

    2004.08.04 17:39

  • 화성에 메탄 가스…생명체 존재 가능

    화성 대기에서 메탄 가스가 발견됐으며 이는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영국 BBC 방송 인터넷판이 29일 보도했다. 방송은 "과학자들이 지난해 하와이에 설치된 적외선 망원경

    중앙일보

    2004.03.29 18:13

  • [사진] 2천만광년 밖의 우주

    [사진] 2천만광년 밖의 우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난 8월 발사한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처음으로 보내온 먼 우주의 사진. 왼쪽부터 나선형 M81 은하(1천2백만광년), 입자를 뿜으며 새 별

    중앙일보

    2003.12.19 19:20

  • [과학과 미래] 우주 '130억년 히스토리' 풀리나

    천문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 미뤄졌던 미 항공우주국(NASA) 의 빅 프로젝트인 망원경이 오는 23일 플로리다에서 발사되기 때문이다. 이 망원경의 이름은 적외선 우주

    중앙일보

    2003.08.20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