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불황일색…물빼기에 가뭄 탓

    각 저수지가 물을 뽑고 있는데다가 가뭄까지 겹쳐 어제의 낚시는 불황일색. 가까스로 월척이 나온 곳은 「반도」가 밤낚을 간 보통리 -김형학씨가 1자 2치 3푼등 3마리의 월척. 목천

    중앙일보

    1969.07.07 00:00

  • 태공망

    저수지마다 물을 뽑고있어 22일은 좋은 날씨였는데도 호황은아니었고 21일에 떠난밤낚시는 비가쏟아져 소동을 벌이기도. 산척으로 간「미도파」 는 지이현씨가 1자1치4푼의 월척을을려 산

    중앙일보

    1969.06.23 00:00

  • 비바람 심술로 속만 태우고

    어제의 낚시는 강풍과 비때문에 거의가 빈바구니. 지난주에 월척3수가 나온 고삼엔 대흥, 세종, 수유남대문등이 기대를 안고 몰려갔으나 대흥의 김형동씨가 밤나무골에서 1간 양대에 통지

    중앙일보

    1969.04.21 00:00

  • 수온낮아 대체로 저조

    춘분(21일)이 지나자 교외로 향하는 가도엔 새벽 안개를 뚫는 낚시 「버스」가 꼬리를 물었다. 최고기온 영상 10도까지 오른 지난일요일은 전국적으로 포근한 봄날씨를 보여 주었다.

    중앙일보

    1969.03.24 00:00

  • 밤낚시서 겨우 체면지켜

    초가을 치곤 무더운 날씨. 태공들은 토요일부터 낚시터로 몰려 주말을 즐겼다. 그러나 저수지에 따라 수확의 차가 심해 태공들마다 고개를 갸우뚱. 지난주에이어 고삼저수지 상류로 간「남

    중앙일보

    1968.09.16 00:00

  • 40명이 잉어 한마리잡고 신기해 하기도

    지난주의 낚시터도 역시 기대한것만 못했다. 그러나 밀두리서 밤낚시를 벌인 「용」「남수도」「용산」등이 재미를 봤다. 용낚시의 유용수씨가 2관을 잡았고 평균 1관 이상을 잡아 그동안

    중앙일보

    1968.09.02 00:00

  • 폭우심술로 대부분 허탕

    전주에 내린 폭우로 대개의 저수지가 만수 아니면 흙탕물로 물이 뒤집혀 기대했던 수확을 거두지못했다. 먼저 주일에 성적이 좋았던 고삼엔 남산·수도제일등 여러 낚시회가 몰렸으나 모두

    중앙일보

    1968.08.26 00:00

  • 고삼·송악선 바구니 가득

    더위가 막바지에 이른 지난 일요일 낚시터는 폭우로 저수지마다 물이 불어 대부분의 태송들은 재미를 못봤다. 그러나 고삼으로 간 일요와 송악으로 간 용은 예외. 남대문, 불광, 수유,

    중앙일보

    1968.08.19 00:00

  • 초지수로서는 월척잡고 소나기 맞으며 막걸리「파티」

    장마철에 들어선 날씨도 날씨거니와 오후부터 뿌리기 시작한 비 때문인지 지난주의 낚시터는 한결같이 부진했다. 물왕리 저수지로간 불광회원들은 낚싯대를 접어두고 소나기 속에서 막걸리 「

    중앙일보

    1968.07.08 00:00

  • 가뭄으로 궁색한 바구니

    한창 모내기철에 오래 계속되는 가뭄이다. 저수지마다 바닥이 드러나는 판이라 바구니 속이 궁색할 밖에. 볕은 뜨겁고 수초마저 없어 고기들은 물밑 깊이에 숨어 들어간 것이다. 규모가

    중앙일보

    1968.07.01 00:00

  • 8천정보수리 안전답으로

    20일 구윤석 토련회장은 동 천후사업을 계속 추진, 연내에 양수장복개소, 저수지25개지구를 준공하여 8천정보의 논을 수리 안전개으로 만들겠다고말했다. 그는 올해 농경지정리사업이 1

    중앙일보

    1968.06.20 00:00

  • 예당서도 자리따라 차이

    금년들어 계속 재미를 보아오던 예당저수지는 지난주부터 앉은자리에 따라 심한 차를 드러냈다. 학교근처에 진친「용」은 월척4수로, 수문왼쪽중류에선 「반도」「성동」 이각각 월척2수, 「

    중앙일보

    1968.06.17 00:00

  • 비바람도 무색했던 예당

    아침부터 비를 뿌옇게 몰아왔다. 모내기를 앞두고 농부들의 걸음걸이는 한결 만족스러운 듯 논둑을 천천히 거닐고있었다. 온종일 비바람친 까닭에 낚시는 호조일리없다. 고삼에 간「수양」회

    중앙일보

    1968.06.10 00:00

  • 허탕 모르는 예당 낚시터

    『낚시는 예당으로-』이런 구호라도 나옴직하다. 전국을 통해 가장 큰 저수지요, 초봄부터 허탕을 모르는 낚시터라면 이곳 밖에 없다. 가뭄으로 물을 빼도 예당에서의 수확은 날로 상승,

    중앙일보

    1968.06.03 00:00

  • 예당·고삼 등 푸짐한 수확

    지난 일요일은 어린이 날이자 부처님 오신날인 사월 초파일. 신록의 산기슭과 물가에 가는 곳마다 마을 사람들이 함뿍 쏟아져 나와 들놀이를 즐기고 있었다. 「신한」을 비롯한 8개 낚시

    중앙일보

    1968.05.07 00:00

  • 한양 빼고는 전멸상태

    산란기를 앞두고 고기의 움직임이 현저하다. 새순 돋은 풀 내 음이 물밑 수렁 바닥까지 흠뻑 배어들었겠지. 바람조차 잔잔한 일요일. 어느 물가에도 인파는 풍성했다. 그러나 새벽 서리

    중앙일보

    1968.04.15 00:00

  • 낚시터 개발

    낚시「시즌」이 왔다. 금년의 제1착으로 월척붕어가 기록된 고삼저수지는 자유당때 만들어 놓은 연못이다. 당시 그지방주민들은 용인출신 국회의원 신의식씨를 앞장세우고 1개면에 긍하는 너

    중앙일보

    1968.03.22 00:00

  • 춘분이 턱밑에 다가와20일. 아지랑이 살짝 피어오르는 들길에는 여울 물소리가 개운하다. 17일은 섭씨8도. 시조회를 가진 뒤 2,3주째 접어드는 강태공들은 마침 청명하고 따스한 날

    중앙일보

    1968.03.18 00:00

  • (26) 창원군

    우리나라 서남연안을 휩쓸고 있는 굴 양식 「붐」이 창원에서 제자리를 찾았다. 굴하면 창원의 대명사처럼 된 것도 이 때문. 길고 아늑한 남해의 자연만을 따라 40여개의 어촌계가 작년

    중앙일보

    1967.04.04 00:00

  • 「미도파」「반도」서 월척

    날씨는 온화하고 맑았지만 바람이 심술을 부렸다. 그보다도 예년에 비해 수온이 낮아 좀처럼 큰놈들은 보이지 않았고 햇볕을 따라 나오는건 대개 자자분한 놈들이었다. 붕어가 가장 활발하

    중앙일보

    1966.04.04 00:00

  • 붐비는「꾼」들에|고기는 얼씬 않고|부부입상의 이채도

    올 봄 들어 모처럼 쾌청한 일요일을 맞은 「꾼」들의 기대는 잔뜩 부풀어 새벽길을 재촉했다. 모든 조건이 제대로 들어맞는 것 같아서. 그런데 막상 대를 담그고 보니 예상과는 달랐다.

    중앙일보

    1966.03.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