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뷰티박스] 덧니 귀여움의 상징? 충치균의 온상 !

    한때 덧니는 귀여움의 상징이었다. 연예인들 사이에서 개성 만점의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하지만 일명 덧니 연예인으로 분류되던 서지영·이요원·이의정·홍진경의 덧니가 사라지면서 연예계에

    중앙일보

    2008.04.01 00:51

  • 대변후 손 안씻은 이와 악수 2시간후 입에서 대장균이…

    대변후 손 안씻은 이와 악수 2시간후 입에서 대장균이…

    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우선이다. 건강관리는 위생에서 시작한다. 가장 간단하면서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게 손씻기다. 실제로 손씻기만 제대로 하면 질병, 특히 감기 등 호흡기 질환을

    중앙일보

    2008.03.20 10:03

  • “금연 특효약은 가족 격려”

    “금연 특효약은 가족 격려”

    서홍관 박사가 정상적인 동맥(모니터 화면)과 흡연으로 손상되고 좁아진 동맥을 비교, 설명하고 있다. 핏줄이 이렇게 좁아지면 뇌졸중이나 심장마비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진다.만나자마자

    중앙일보

    2008.01.15 05:34

  • 이천 냉동창고 화재 희생자 38명의 혈육 DNA 채취

    ‘맹장 수술을 받았음. 허리 디스크가 있음. 지난해 거제도 공사현장에서 추락해 갈비뼈 2대에 금이 감’.  8일 저녁 친척들과 함께 고 김완수(47)씨의 과거 병력과 신체 특징을

    중앙일보

    2008.01.10 04:59

  • "입 안이 바짝 마른다" 구강건조증 탈출법

    흔히 긴장할 때 ‘속이 탄다’ 혹은 ‘입이 바짝바짝 마른다’는 말이 있다. 이를 단순 입마름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구강건조증’이라 불리는 일종의 질환적 증상을 의

    중앙일보

    2008.01.03 11:42

  • [박영국교수의LOVETOOTH] 잊지 말자, 한잔 뒤 이 닦기

    ‘원샷!’  술자리의 구호처럼 된 이 말을 연말이 되면 더욱 자주 듣게 된다. 술잔이 거듭되면서 취기가 달아오르고, 감정의 봇물이 술자리에 넘쳐 흐른다. 이때 우리의 구강 내에선

    중앙일보

    2007.12.28 09:56

  • [박영국교수의LOVETOOTH] 잊지 말자, 한잔 뒤 이 닦기

    ‘원샷!’  술자리의 구호처럼 된 이 말을 연말이 되면 더욱 자주 듣게 된다. 술잔이 거듭되면서 취기가 달아오르고, 감정의 봇물이 술자리에 넘쳐 흐른다. 이때 우리의 구강 내에선

    중앙일보

    2007.12.27 14:39

  • “왕회장은 몽구를 끔찍이 사랑했다”

    ■왕자의 난은 아버지 마음 몰라 일어난 비극 ■정주영, 몽헌 회장에 “현대상선 형에게 줘라” ■왕회장과 매일 ‘용의 눈물’ 녹화 비디오 봐 ■왕회장 “지키는 건 몽헌이가 잘할 것

    중앙일보

    2007.09.18 11:10

  • 100세 청년을 꿈꾼다 자연치아 오래 쓰기

    100세 청년을 꿈꾼다 자연치아 오래 쓰기

    서영수(오른쪽) 자연치아 아끼기 운동본부 대표가 환자에게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신동연 기자] 요즘 임플란트 시술이 확산되면서 이 시술을 만능으로 알고 치아

    중앙선데이

    2007.08.11 21:51

  • 날 음식 피하고 식수 끓여라

    모처럼 떠난 여름휴가. 부푼 기대와 들뜬 마음을 한 방에 잠재우는 적이 있으니 바로 여행의 복병 ‘배탈’이다. 국내든 해외든 여행 중에 배탈 설사로 화장실을 들락거리면 여간 낭패가

    중앙일보

    2007.08.07 17:20

  • [Family] 방학이라고 온종일 뒹구는 아이… 잔소리 없이 해결 안 될까

    [Family] 방학이라고 온종일 뒹구는 아이… 잔소리 없이 해결 안 될까

      김선미(35)씨는 최근 아들 현준(3)이 다니는 어린이집 방학기간에 맞춰 회사에 휴가를 냈다. 평소 일하느라 제대로 놀아주지 못했던 아이와 가급적 많은 시간을 보내겠다는 생각이

    중앙일보

    2007.07.24 18:00

  • [Family건강] 당뇨병,잇몸병 … 침 속 당 농도 높아져 세균 쉽게 번식

    [Family건강] 당뇨병,잇몸병 … 침 속 당 농도 높아져 세균 쉽게 번식

    '당뇨병과 잇몸병(치주질환).' 하나는 우리 국민 400만 명 이상이 환자인 '국민병'이다. 다른 하나는 한국인의 80~9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앓게 되는 '대중병'이다. 그

    중앙일보

    2007.05.13 21:34

  • 조기유학생들의 일과는...①미국

    조기유학생들의 일과는...①미국

    "따르릉~" 용웅(14)군의 하루는 오전 7시를 알리는 자명종소리와 함께 시작된다. 용웅군은 지난 해 9월 이곳 미국 뉴저지로 조기유학 길에 올랐다. 한국에선 중학교 1학년이 됐

    중앙일보

    2007.04.23 16:05

  • [week&쉼] 악마의 물방울? 와인 잘못 마시면 역효과

    [week&쉼] 악마의 물방울? 와인 잘못 마시면 역효과

    와인(포도주) 열풍이 거세다. 와인 전문바.전문매장.전문 교육기관.펀드.동호회 등 와인 문화가 형성됐을 정도다. 와인은 '신(자연)이 빚은 술'(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로 통한다.

    중앙일보

    2007.04.05 14:24

  • 입속 만성염증, 사망 부른다

    구강내에 통증을 유발하고 진무름 증상이 계속적으로 재발할 경우 병원을 찾아 확실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자칫 시기를 놓쳐 온몸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신호일지도 모르기 때

    중앙일보

    2007.03.19 15:23

  • [식품라이벌열전] ⑨ 설탕 vs 과당

    둘 다 이름만 들어도 입에 침이 고이는 단맛의 대표주자들이다.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단순당이란 것도 공통점이다. 설탕은 두 단당류(포도당.과당)가 결합된 이당류다. '설탕=포도당+과

    중앙일보

    2007.02.20 15:31

  • 충치 퇴출, 혀까지 치카치카 입 냄새 싸 ~ 악

    '사람은 마음에 드는데 가까이 다가오면 부담스러운 사람이 있다면?' 고약한 입냄새 때문이다. 얼마나 싫었으면 유대인 교육서인 '탈무드'에선 구취를 풍기는 아내와는 결혼 계약을 파

    중앙일보

    2007.02.11 15:59

  • [식품라이벌열전] ⑨ 설탕 vs 과당

    둘 다 이름만 들어도 입에 침이 고이는 단맛의 대표주자들이다.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단순당이란 것도 공통점이다. 설탕은 두 단당류(포도당.과당)가 결합된 이당류다. '설탕=포도당+

    중앙일보

    2007.02.11 15:55

  • [분수대] 이쑤시개

    [분수대] 이쑤시개

    부처님이 어느 날 제자들의 입에서 냄새가 많이 난다는 불평을 들었다. 양치질이라는 게 없던 시절이니 고행하던 수행자의 입냄새가 오죽 고약했겠는가. 수도하는 마음마저 어지럽혔을지도

    중앙일보

    2007.02.01 20:12

  • [blog+] 웰빙, 어려울 것 없네요

    21세기는 웰빙(well-being) 전성시대다. ‘웰빙 요가’ ‘웰빙 주방’ ‘웰빙 식품’ 등 어디를 가도 웰빙이라는 두 글자가 눈에 띄인다. 이제 웰빙은 필수 첨가어로 여겨질

    중앙일보

    2007.01.18 09:06

  • [SHOPPING] 한가인 처럼 … 부럽죠? 하얀 이

    [SHOPPING] 한가인 처럼 … 부럽죠? 하얀 이

    '투명한 피부, 보기 좋은 몸매, 희고 가지런한 치아'. 얼마 전 아모레퍼시픽이 20~30대 여성 2300명을 상대로 '첫인상을 좋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물은 결과 이

    중앙일보

    2006.09.07 18:28

  • [Family] 열량 맞춰 상차림 놀이 "살빼기·키크기 자신 있어요"

    [Family] 열량 맞춰 상차림 놀이 "살빼기·키크기 자신 있어요"

    이른바 '몸짱' 시대. 뚱뚱하거나 비쩍 마른 '몸꽝'이 괴롭기는 아이도 마찬가지다. 방법은 없을까. 16일부터 19일까지 충남 보령 대천임해교육원에서는 서울시학교영양사회와 서울시

    중앙일보

    2006.08.22 21:08

  • [박태균기자의약선] 달콤새콤 항생제 계피

    [박태균기자의약선] 달콤새콤 항생제 계피

    감초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한약재 계피(桂皮). 이름대로 계피나무의 얇은 껍질이다. 중국산.실론(스리랑카)산이 유명하다. 서양에선 이 중 실론산을 '진짜 계피'(true cinn

    중앙일보

    2006.07.27 18:03

  • [박태균기자의약선] 달콤새콤 항생제 계피

    [박태균기자의약선] 달콤새콤 항생제 계피

    감초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한약재 계피(桂皮). 이름대로 계피나무의 얇은 껍질이다. 중국산.실론(스리랑카)산이 유명하다. 서양에선 이 중 실론산을 '진짜 계피'(true cin

    중앙일보

    2006.07.27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