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기원전 5세기에 원자론 창시한 '근대적 과학자'

    기원전 5세기에 원자론 창시한 '근대적 과학자'

    데모크리토스는 항상 큰 소리로 웃었다. 그의 별명은 ‘웃는 철학자(laughing philosopher)’다. 헨드리크 테르브뤼헨(1588~1629)의 작품 ‘데모크리토스’(16

    중앙선데이

    2012.10.14 02:30

  • 양자컴퓨터 개발의 기초 닦은 공로 … 노벨 물리학상에 와인랜드·아로슈

    양자컴퓨터 개발의 기초 닦은 공로 … 노벨 물리학상에 와인랜드·아로슈

    와인랜드(左), 아로슈(右)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빛 입자인 광자(光子) 등 양자(量子)를 인간의 손으로 조작하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미국 표준기술연구소의 데이비드 와인랜

    중앙일보

    2012.10.10 00:41

  • [책과 지식] “과학은 대화에서 시작한다” 이렇게 읽으니 양자역학도 쉽네

    [책과 지식] “과학은 대화에서 시작한다” 이렇게 읽으니 양자역학도 쉽네

    즐거운 물리학  ‘과학이 없으면 미래가 없다’고 했다. 과학은 인류의 역사를 이끌어왔다. 특히 물리학은 물체의 운동, 열과 빛 에너지, 우주의 구조 등 세상의 궁금증을 파헤쳐왔다.

    중앙일보

    2012.10.06 00:50

  • [뉴스 속으로] 한·일 노벨상 1 대 18 … 학문 분야선 0 대 17

    한국이 일본을 만나면 투지가 샘솟는다. 스포츠 한·일전이 벌어질 때마다 나오는 말이다. 대표적인 종목이 축구다. 한국 축구대표팀은 광복 후 처음 일본을 만난 1954년 3월 스위

    중앙일보

    2012.10.06 00:24

  • [조현욱의 과학 산책] ‘신의 입자’ 힉스에 대한 세 가지 오해

    [조현욱의 과학 산책] ‘신의 입자’ 힉스에 대한 세 가지 오해

    조현욱객원 과학전문기자코메디닷컴 미디어본부장 지난주 외신은 힉스로 추정되는 입자의 발견 소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힉스란 다른 기본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한다는 이론상의 입자로 ‘

    중앙일보

    2012.07.10 00:06

  • [시론] 시조새는 진화의 증거

    [시론] 시조새는 진화의 증거

    김희준서울대 교수·화학부 불행인지 다행인지 요즘 우리나라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가 국제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얼마 전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가 한국 과학 교과서에서 진화론의 증거를

    중앙일보

    2012.07.10 00:03

  • “힉스 발견 선언 못 하는 건 밝혀야 할 20% 남았기 때문”

    “힉스 발견 선언 못 하는 건 밝혀야 할 20% 남았기 때문”

    48년 전 ‘신의 입자’ 예측한 힉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속 과학자들은 지난 4일 힉스 입자에 거의 부합하는 소립자를 발견했지만 최종 판정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

    중앙일보

    2012.07.06 01:33

  • ‘힉스입자 첫 이론화’ 힉스에게 노벨상을

    ‘힉스입자 첫 이론화’ 힉스에게 노벨상을

    스티븐 호킹세계적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70) 박사가 4일(현지시간) 힉스 입자를 처음으로 이론화했던 피터 힉스(83) 에든버러대 교수에게 노벨상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럽입

    중앙일보

    2012.07.06 00:55

  • [사설] 기초과학의 힘 … 힉스입자 연구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소속 과학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풀어줄 힉스입자(Higgs boson)로 추정되는 새로운 소립자(素粒子)를 발견했다고 밝혀 전 세계 물리학계가 흥분하고

    중앙일보

    2012.07.06 00:01

  • '신의 입자' 힉스 발견했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4일(현지시간)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세계고에너지학회에서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CERN에서 현재 힉스를 탐색

    온라인 중앙일보

    2012.07.04 17:16

  • CERN, 새 물질 발견 … ‘신의 입자’ 힉스일 가능성 99.99994%

    영국 학술지 네이처는 3일 온라인 뉴스를 통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힉스입자일 가능성이 큰 새로운 입자를 찾았다고 보도했다. CERN에서 힉스입자를 탐색하고 있는 두 연구

    중앙일보

    2012.07.04 01:49

  •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일본을 포함한 국제연구팀이 지난해 “뉴트리노(소립자의 하나)가 빛보다 빠르다”고 발표했던 실험결과가 잘못된 것임을 인정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오는 8

    중앙일보

    2012.06.04 01:35

  • 볼 수도 만질 수도 없지만 소립자 만들어내는 ‘직조물’

    볼 수도 만질 수도 없지만 소립자 만들어내는 ‘직조물’

    성 아우구스틴(354~430)은 시간에 대해 이런 말을 남겼다. “시간은 익숙하지만 누군가 물으면 설명할 수 없다.” 마음도 시간처럼 다들 느끼긴 해도 실체가 뭔지 알지도 설명도

    중앙선데이

    2012.05.20 02:26

  • 아무 것도 없는 듯, 온갖 능력 품은 공간

    아무 것도 없는 듯, 온갖 능력 품은 공간

    세상은 시간과 공간속에 담겨 있다. 태양계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도 막막한 공간 속에서 오랜 시간 있어온 실체다. 이 우주에 있는 모든 별과 은하계, 그리고 지구에 살고 있는

    중앙선데이

    2012.03.24 23:56

  • CERN “중성미자, 빛보다 안 빠르다”

    지난해 9월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neutrino·뉴트리노)를 관측했다”는 발표로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뒤집은(본지 2011년 9월 24일자 2면) 유럽입자물리연구소(

    중앙일보

    2012.03.17 00:46

  • ‘초미니 태양계’의 구세주, 아인슈타인

    ‘초미니 태양계’의 구세주, 아인슈타인

    자, 러더퍼드는 이제 스승인 톰슨의 ‘건포도 빵’ 모형은 원자모형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또 원자 속에 전자보다 8000배 무거운 방사선 알파 입자(헬륨의 원자핵)에 버금갈 만

    중앙선데이

    2012.02.25 21:39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알고보니 CERN의 실수?

    지난해 9월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를 관측했다”는 발표로 물리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실험 결과가 측정 오류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

    중앙일보

    2012.02.24 01:22

  • [2012학년도 대학별 논술 분석해보니] 서울대·연세대·고려대

    [2012학년도 대학별 논술 분석해보니] 서울대·연세대·고려대

    한 논술 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중앙포토]대학입시에서 수시모집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울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수시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논술 중심 전

    중앙일보

    2012.02.22 03:20

  • 스승님 ‘건포도 빵’ 모형은 안 되겠는데요

    스승님 ‘건포도 빵’ 모형은 안 되겠는데요

    어니스트 러더퍼드(사진)는 뉴질랜드의 조그만 마을 넬슨 출신이다. 뉴질랜드의 최대 도시인 크라이스트처치의 캔터베리 대학교에 입학했고, 졸업 때 성적은 600점 만점에 580점을

    중앙선데이

    2012.02.12 00:59

  • 가속기 속 ‘초미니 빅뱅’, 힉스 찾는다

    가속기 속 ‘초미니 빅뱅’, 힉스 찾는다

    강입자가속기의 검출기에 잡힌 힉스로 추정되는 흔적. 노란색 선들은 일반 입자가 지나가면서 만든 자국이다. 위쪽 빨간색의 굵고 긴 선 4개가 각각 전자(電子,e)의 궤적으로, 힉스

    중앙일보

    2012.02.06 00:01

  • 양자역학 배운 적도 없는 고교생 … 스스로 공부해 ‘물리 마스터’ 됐다

    양자역학 배운 적도 없는 고교생 … 스스로 공부해 ‘물리 마스터’ 됐다

    최초의 ‘물리 마스터’ 한승윤군이 28일 재학 중인 경기과학고 물리실험실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해 파동함수를 구하고 있다. [수원=김성룡 기자] ‘x=0과 x=a에 벽이 있는

    중앙일보

    2011.12.29 00:00

  • [조현욱의 과학 산책] ‘신의 입자’ 오보의 홍수

    조현욱객원 과학전문기자코메디닷컴 미디어본부장 최근 국내 언론은 소위 ‘신의 입자’라는 ‘힉스’의 실마리가 포착됐다는 뉴스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그리고 대대적인 오보를 냈다. 이

    중앙일보

    2011.12.27 00:00

  • 올 한 해 지구촌 사고를 돌아보며

    올 한 해 지구촌 사고를 돌아보며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69)이 2001년 친구인 미국 물리학자와 내기를 했다. 일명 ‘신(神)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Higgs) 입자의 존재 여부를 걸고 한 내기였다.

    중앙선데이

    2011.12.25 01:13

  •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⑫ (11월21일~12월17일)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⑫ (11월21일~12월17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약자 SNS. 스마트폰 확산으로 갈수록 뉴스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양방향 소통의 총아가 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말 많은 극소수의 확성기로 변질되는 양상이

    중앙일보

    2011.12.21 0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