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말 바루기] 무대포(?) 정신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을 앞두고 선조에게 올린 장계(狀啓)다. 전투에 임하는 비장한 각오를 담고 있다. 그는 고작 12척의 배로 1

    중앙일보

    2014.10.21 00:05

  • 날개 '돋힌' 듯일까 '돋친' 듯일까 … 알쏭달쏭 맞춤법, 이 책에 답있네

    날개 '돋힌' 듯일까 '돋친' 듯일까 … 알쏭달쏭 맞춤법, 이 책에 답있네

    문제부터 풀어보자. ①어려운 일이 연이어 일어난다. ‘산 넘어 산’인가, ‘산 너머 산’ 인가. ②갑작스레 찾아온 더위, 에어컨이 날개 ‘돋힌’ 듯 팔리나, 날개 ‘돋친’ 듯 팔

    중앙일보

    2014.05.30 01:59

  • [우리말 바루기] '진검승부'는 일본에서 온 말

    스포츠 경기를 언급할 때 많이 쓰이는 말 가운데 하나가 ‘진검승부’다. “4강을 놓고 진검승부를 벌인다” “두 팀이 한국시리즈에서 진검승부를 펼치고 있다” 등처럼 사용된다. 정치

    중앙일보

    2013.10.29 00:11

  • [우리말 바루기] '간절기'는 '환절기'가 바른말

    한가위 연휴도 지나고 계절은 본격적으로 가을로 접어들고 있다. 낮에는 여전히 30도 가까이 오르지만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기운이 느껴진다. 하루 기온 차이가 10도를 넘기도 한다.

    중앙일보

    2013.09.24 00:10

  • [논쟁] 초등학교 한자교육 필요한가

    [논쟁] 초등학교 한자교육 필요한가

    [일러스트 = 박용석 기자] 서울시교육청은 지난달 25일 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한자교육추진단을 만들었다. 초등학교·중학교 교과서 단어를 중심으로 한자교육을 강화할 계획을 세우고 교

    중앙일보

    2013.07.27 00:45

  • [노재현 칼럼] 스펙이 부족하십니까

    [노재현 칼럼] 스펙이 부족하십니까

    노재현논설위원·문화전문기자 언제부턴가 ‘스펙’이란 말이 일상용어로 쓰인다. 영어 specification을 줄인 말이라 하니 우리말로는 설계명세서·내역서쯤 되겠다. 일본식 한자어

    중앙일보

    2013.03.07 00:12

  • 이 판결문 뜻 아시는 분 있나요

    이 판결문 뜻 아시는 분 있나요

    “피고인은 위와 같이 화재보험에 가입한 것을 기화(奇貨)로, OOOO년 O월 OO일 05:00경, 사무실에서 중고 의류를 쌓아놓고 불을 붙여 사무실 내부 전체를 소훼(燒毁)하였다.

    중앙일보

    2013.03.04 00:56

  • [우리말 바루기] ‘간절기’는 ‘환절기’로

    계절은 어느덧 가을을 지나 겨울로 접어들고 있다. 낮에는 여전히 늦가을 날씨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영하의 겨울날씨를 보이고 있다. 가을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한 겨울도 아닌 시기다.

    중앙일보

    2012.11.27 00:37

  • 식민사관에 맞선 정인보 대표작 한글로 본다

    식민사관에 맞선 정인보 대표작 한글로 본다

    위당 정인보20세기 전반 한국학의 초석을 놓은 위당(爲堂) 정인보(1893~?) 선생의 대표작 『조선사연구』(상권, 우리역사문화재단) 한글 완역본이 처음으로 출간됐다. 1935년

    중앙일보

    2012.11.07 00:32

  •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우리 생활 속 일본어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우리 생활 속 일본어

    박소영 기자올해로 광복 67주년을 맞았지만 우리 생활 곳곳에는 일본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가 언어입니다. 광복 후 우리 정부는 국어순화운동을

    중앙일보

    2012.09.06 00:44

  • ‘이이토코토리’로 똘똘 뭉친 편집의 나라, 일본

    ‘이이토코토리’로 똘똘 뭉친 편집의 나라, 일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처음 일본에 왔을 때, 누구나 그렇듯 난 일본인들의 친절에 엄청 감동했다. 지구상에 일본처럼 친절한 나라는 없다. 물론 내 비교대상은 내가 직

    중앙선데이

    2012.06.17 02:39

  • ‘이이토코토리’로 똘똘 뭉친 편집의 나라, 일본

    ‘이이토코토리’로 똘똘 뭉친 편집의 나라, 일본

    일러스트=최종윤 관련기사 [김정운의 에디톨로지] 일본식 문화편집 ‘좋은 건 취한다’ 처음 일본에 왔을 때, 누구나 그렇듯 난 일본인들의 친절에 엄청 감동했다. 지구상에 일본처럼

    중앙선데이

    2012.06.17 01:45

  • [브리핑] 위계 → 속임수, 지방세 용어 쉽게 바꾼다 外

    위계 → 속임수, 지방세 용어 쉽게 바꾼다 서울시는 지방세 용어 115개를 납세자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바꾼다. 일본식 표현, 잘 쓰지 않는 한자어, 권위적인 단어가 대상이다.

    중앙일보

    2012.05.22 01:03

  • [우리말 바루기] ‘축제’는 일본식 한자어

    태안 튤립축제, 고창 청보리밭 축제, 우도 소라축제, 함평 나비축제, 보성 녹차밭 축제…. 봄을 맞아 지역마다 다양한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무엇을 축하해 벌이는 큰 행사를

    중앙일보

    2012.05.02 00:58

  • [백가쟁명:유주열] 전략적 협력동반자와의 결속

    한국과 중국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한자에 대한 이해가 비슷하다. 우리가 쓰는 한자 어휘는 중국에서 직수입한 것이기에 당연한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자가 수입되어 오랫동안 서로

    중앙일보

    2012.01.12 14:53

  • [엄마와 함께] ‘청소년’대신 ‘푸름이’란 말 예쁘지 않니

    [엄마와 함께] ‘청소년’대신 ‘푸름이’란 말 예쁘지 않니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 쓰기 최종규 글, 호연 그림 철수와영희, 272쪽 1만3000원 징검돌·골마루·동무·거님길…. 잃어버린 우리 말이 이렇게 많았던가. 한글날을 앞두고

    중앙일보

    2011.10.08 00:15

  • [우리말 바루기] ‘간절기’는 없다

    겨울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한 봄도 아닌 모호한 시기다. 적절하게 차려입어야 할 텐데 쉽지가 않다. 봄옷을 입자니 아직은 춥고, 겨울옷을 그냥 입자니 어딘지 답답해 보인다.  

    중앙일보

    2011.03.22 00:27

  • [우리말 바루기] ‘단배식’보다 ‘시무식’이 적절한 말

    직장마다 임직원이 모여 2011년 신년을 기리는 행사를 열고 본격적인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러한 신년 행사를 지칭할 때 ‘단배식’이나 ‘시무식’이란 말을 많이 쓴다.  이 가

    중앙일보

    2011.01.04 00:21

  • [우리말 바루기] ‘호우’는 ‘큰비’로

    한가위 연휴에 느닷없이 내린 비로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많은 가옥이 침수됐다. 이처럼 많은 비가 내릴 때 쓰이는 용어가 ‘호우’ ‘집중호우’, ‘호우주의보’ ‘호우경보’다. 호우(豪

    중앙일보

    2010.09.27 00:27

  • [우리말 바루기] 일본은 ‘야채’, 한국은 ‘채소

    봄철 냉해와 태풍 곤파스, 잦은 비의 영향 등으로 채소값이 급등했다고 한다. 특히 수요가 많은 추석을 앞두고 채소 가격이 금값이라 부를 정도로 많이 올랐다고 한다. ‘채소’란 배추

    중앙일보

    2010.09.14 00:02

  • [브리핑] 법률 용어 한글로 고친 개정안 47건 통과

    법제처는 22일 국무회의에서 어려운 법률 용어나 표현을 알기 쉽게 푼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등 47건의 개정 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개정 법률안은 원칙적으로 한글로만 썼고, 혼동의

    중앙일보

    2010.06.23 00:42

  • 서손 → 문서 파기 … 세무용어 손본다

    개찰(開札)은 무슨 뜻. 답은 ‘입찰 가격 공개’다. 서손(書損)의 의미는. ‘문서파기’를 뜻한다. 이런 국적불명의 어려운 용어가 세무용어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국세청이 251개

    중앙일보

    2010.06.22 00:09

  • [우리말 바루기] 5만분의 1 축적(?) 지도

    같은 한자(漢字)를 쓰더라도 다르게 읽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같은 음으로 읽어서 틀리는 일이 종종 있다. 또한 정확한 한자를 모르거나 한자어라는 사실 자체도 모르고 소리에만

    중앙일보

    2010.04.14 03:12

  • [우리말 바루기] 구좌 잔고→계좌 잔액

    “구좌의 잔고가 부족하다”며 돈을 입금토록 유인하는 금융사 사칭 전화사기가 여전하다. 이런 꾐에 넘어가서도 안 되지만 ‘구좌’ ‘잔고’란 말의 쓰임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금융

    중앙일보

    2010.03.29 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