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청소년들이 이공계 진학을 멀리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어렵다'이다. 한편으로는 과학만큼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결국 과학을 좀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통로가 부

    중앙일보

    2003.12.17 15:28

  • [행복한 책읽기] 우리는 매트릭스 안에 살고있나

    우리는 매트릭스 안에 살고있나/글렌 예페스 엮음, 이수영·민병직 옮김, 굿모닝미디어,1만2천원 한편의 영화에 대해 인간이 어디까지 생각하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질문의 답은 다음

    중앙일보

    2003.05.30 16:40

  • '아기천사'가 일깨운 오 ! 생명과 사랑

    '태어남과 다시 태어남, 그리고 일상의 신비에 관한 이야기'란 부제가 붙은 『아담을 기다리며』(원제 Expecting Adam)는 태아가 다운증후군이란 정신지체증임을 알고도 낳아

    중앙일보

    2002.05.04 00:00

  • [DVD리뷰]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A.I.

    ■ 실낙원 큐브릭은 84년부터 스필버그와 'A.I.'에 관하여 협의키 시작하였다. 스필버그의 말을 빌자면 큐브릭 자신은 제작을, 스필버그는 감독직을 맡아서 영화를 만들 것을 제의했

    중앙일보

    2002.02.21 13:21

  • 진화·발전 거듭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생명력

    그렇다면 미래의 바이러스는 대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컴퓨터 바이러스는 프로그램의 일종이기 때문에, 제작자의 창의력이 발휘되면 얼마든지 더 악성화될 여지가 있다. 최근 외국에

    중앙일보

    2001.09.12 11:12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문학과 생명과학

    동물복제, 배아간세포, 인공지능, 사이보그 휴먼 등 각종 생명공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지놈프로젝트 연구결과 인간의 소프트웨어가 규명됨에 따라 미지의 영역이 조금씩

    중앙일보

    2001.09.10 08:14

  • [과학으로 세상보기] 인문학과 생명과학

    동물복제, 배아간세포, 인공지능, 사이보그 휴먼 등 각종 생명공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지놈프로젝트 연구결과 인간의 소프트웨어가 규명됨에 따라 미지의 영역이 조금씩

    중앙일보

    2001.09.10 00:00

  • 보안업계 사령탑 맡은 해커 출신의 '해킹불패'

    국내 첫 해커그룹 ‘유니콘’의 멤버이기도 했던 김창범 사장은 국내 1세대 해커다. 몇 해 전 TV를 통해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카이스트’는 바로 그와 그의 동료들의 이야기로

    중앙일보

    2001.02.26 10:23

  • 해커의 은밀한 역사 (1)

    ▶1960년대 해커는 MIT의 인공지능연구소에서 탄생됐다. 당시 사용되던 컴퓨터는 굉장히 고가로 학생들이 독점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없었다. 빠듯한 시간 내에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

    중앙일보

    2000.11.01 10:00

  • 과학진보에 대한 두려움 - 〈불-임〉전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우리는 육체적·정신적으로 불모·불임의 상태로 내몰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8월 2일까지 열리고 있는 네번째 기획공모전 〈불-임〉은 두려

    중앙일보

    2000.07.25 15:47

  •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서 '불-임'전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우리는 육체적.정신적으로 불모.불임의 상태로 내몰리고 있는 것은 아닌가.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8월 2일까지 열리고 있는 네번째 기획공모전 '불-임' 은 두

    중앙일보

    2000.07.25 00:00

  • [해외 석학에게 듣는다] 에드가 모랭 유럽문화연구소장

    프랑스 지성계의 대표적 석학인 에드가 모랭(78)은 사회학자이자 문명비평가로 알려져 있지만 '학문분야의 한 울타리에 넣어 그를 정의하긴 힘들다. 전체 맥락 속에서 개별지식과 정보의

    중앙일보

    2000.01.27 00:00

  • AFP 선정 20세기 12대 발명

    AFP 통신은 29일 금세기 12대 발명 및 발견을 선정 발표했다. 이 통신은 이와 함께 20세기가 획기적 발명및 발견의 세기로서 삶을 풍요롭게해준 긍정적 측면과 인류 파멸의 수단

    중앙일보

    1999.11.30 09:40

  • 되돌아 본 97국내외 의학계

    '복제양 돌리에서 인조염색체의 합성까지' 생물복제시대의 개막을 공식선언한 97년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발표된 15년, 왓슨과 크릭에 의해 DNA 이중나선구조가 밝혀진 53년에

    중앙일보

    1997.12.31 00:00

  • 유전자 바꿔 넣어 인간조작 가능 - 인조염색체 합성 성공 의미

    윌라드 박사팀의 인조염색체는 인간복제에 이어 인간조작의 시대가 개막됐음을 의미한다.복제가 자신과 똑같은 개체를 만들어내는 것에 불과하다면 인조염색체는 조물주의 영역이었던 인체설계도

    중앙일보

    1997.04.02 00:00

  • 15.교과서에서 시작하자

    지난 회에 논술을 제대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인문.사회과학적 지식이 필요하다는 설명이 나간후 한 고교 사회과목 담당교사는 『교과서로는 논술을 가르칠 수 없으며,그렇다고 다른 적합한

    중앙일보

    1995.07.13 00:00

  • 소설·영화에 나타난 “인간복제시대”

    ◎임신금지 시켜놓고 필요한 사람 공장서 생산/장기이상땐 똑같은 인간 만들어 이식수술도 미국 조지 워싱턴대학 메디컬센터 연구팀이 최근 똑같은 유전형질을 가진 사람을 여럿 출산시킬 수

    중앙일보

    1993.10.29 00:00

  • 국익고집 버려야 지구가 산다

    대전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는 「발전과 환경」이란 주제로 제1회 심포지엄을 오는 17일부터 l9일까지 3일간 서늘 롯데호텔에서 개최한다. 한국미래학회(회장 최정호) 주관으로 열리는 이

    중앙일보

    1991.09.16 00:00

  • 미SDI 한국도 기술참여 해야하나…|요지원 세미나에 비친 타당성과 우선순위

    미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SDI(전략방위계획)에 우리나라 참여 부문이 구체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는 최근 국방과학연구소·과학기술원등 관계연구기관전문가들이 참석한 가

    중앙일보

    1989.05.08 00:00

  • (2)철학 아구실의 컴퓨터|도구가 "주인"으로 군림 우려

    촌음을 아껴 쓰고 늘 바삐 살아가야 하는 우리 한국사람들에게 7년이란 세월은 결코 짧은시간일 수가 없다. 서울에 있는 동안 나는 그것을 체험으로 터득하게된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중앙일보

    1987.10.20 00:00

  • "21세기엔 이런 직종을 택하라"

    21세기에 각광받을 미래직업은 무엇일까. 과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상의 변화로 현재 인기를 모으고 있는 직업중에서 사라지는 직종도 있으며 현재는 별것 아닌 직종이 각광받게 되는것도 있

    중앙일보

    1986.08.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