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내 첫 진공관식 컴퓨터, D램 신화 … 한양대 출신 엔지니어 손에서 태어났네

    한국 산업계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긴 과학자·경영인 등 한양대 공대 동문의 업적을 모아 놓은 ‘한양 공대 엑스포 2009’가 23일까지 서울 한양대체육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 학교

    중앙일보

    2009.05.21 21:26

  • [시론] 융합 학문 위한 인재양성 시급하다

    융합에 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다. 지난해 11월 국가융합기본계획을 발표했던 정부는 최근 국가 발전의 화두로 그린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융합이 신학문과 신지식을 창조하는

    중앙일보

    2009.05.21 00:53

  • 특성화학교 1 - 로봇고교 진학을 원하면

    특성화학교 1 - 로봇고교 진학을 원하면

    서울로봇고교의 학생들이 실습장에서 선을 따라 움직이는 트레일러 로봇을 제작하고 있다. (사진) 프리미엄 최명헌 기자  특성화학교 전성시대를 맞고 있다. 특성화학교는 특정 분야의

    중앙일보

    2009.03.16 13:31

  • [과학 칼럼] 모든 길은 로봇으로 통한다

    얼마 전 친구가 최근 유행하는 스마트폰을 장만했다. 쉰이 넘은 나이에 말이다. 다양하게 재미있는 기능이 많아 이런저런 활용법을 배우느라 여념이 없다고 했다. 그 소식을 들었을 때

    중앙일보

    2009.01.17 00:19

  • 2008년 호암상 수상자

    2008년 호암상 수상자

    과학상 김필립 박사, 차세대 신소재 물질 연구 선도 김필립(40·사진) 박사는 차세대 신소재 물질로 각광받는 저차원 탄소나노 구조의 분석·응용 분야에서 세계 과학계를 선도하고 있는

    중앙일보

    2008.04.15 01:13

  • [새로나온책] 에도의 몸을 열다 外

    [새로나온책] 에도의 몸을 열다 外

    인문·사회   ◆에도의 몸을 열다(타이먼 스크리치 지음, 박경희 옮김, 그린비, 408쪽, 2만원)=18세기 에도 시대의 해부학 그리고 난학(蘭學·서양학)형성을 통해 본 에도의 문

    중앙일보

    2008.01.18 18:28

  • [미래산업10大 물결 ①] 외국어 공부 필요없고, 로봇 보편화

    샌드위치 경제, 성장잠재력 하락, 임금상승 압력…. 기업은 답답하다. 이대로는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무엇을 해야 할지 선뜻 결정하기 어렵다. 새로운 기술에 투자해야 하는 것은

    중앙일보

    2007.06.12 17:11

  •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지난달 29일 서울대에서 열린 미래 학문ㆍ대학 콜로키엄에서 참석자들이 ‘21세기 지식체계’란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맨 오른쪽과 그 옆이 공동발제를 한 김광웅 서울대 명예교수와

    중앙선데이

    2007.04.28 16:59

  •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미래학문 중심에 '關係學'이 선다

    저명한 교수 20여 명이 지난달 29일 서울대에 모였다. 제1회 ‘미래학문과 대학을 위한 범대학 콜로키엄’이었다. 공동 발제자인 김광웅 서울대 명예교수와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중앙선데이

    2007.04.01 04:00

  • 코앞에 다가온 '인간 업그레이드' 시대

    코앞에 다가온 '인간 업그레이드' 시대

    특이점이 온다 원제 The Singularity Is Near: When Humans Transcend Biology 레이 커즈레일 지음, 김명남 외 옮김, 김영사, 840쪽, 3

    중앙일보

    2007.01.12 20:39

  • '로봇, 청소해 어서!' 지능형 로봇 기능 갈수록 진화

    공상과학(SF) 영화에서 가장 흔하게 다루는 소재는 바로 '로봇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영화로 현재 캘리포니아 주지사인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출연한 터미네이터 시리

    중앙일보

    2007.01.09 07:25

  • [BOOK/책갈피] 과학기술 2050년까지 예측 미리보는 세상 '재미 쏠쏠'

    [BOOK/책갈피] 과학기술 2050년까지 예측 미리보는 세상 '재미 쏠쏠'

    2050년까지의 과학기술 발달을, 막연한 상상력이 아니라 전문적 지식에 바탕해 예측한 강점이 도드라진다. 물리학자이자 철학자로 미래분석기업을 이끄는 남편과 수학자이자 작가인 아내의

    중앙일보

    2007.01.05 19:43

  • '1가구 1로봇 시대'2020년 열린다

    국내 로봇 산업은 대기업이 제조 로봇을, 중소·벤처기업이 서비스 로봇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양극화 구조다.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기술도 선진국의 80%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

    중앙일보

    2006.10.07 13:34

  • [틴틴경제] 내 공부 대신해 줄 로봇도 나올까요

    [틴틴경제] 내 공부 대신해 줄 로봇도 나올까요

    틴틴 여러분, 공상과학 영화를 보면 약방의 감초처럼 로봇이 등장하는 장면을 많이 나오죠.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는 오징어같이 생긴 소형 로봇이 경찰의 추적을 받고 있는 주

    중앙일보

    2006.05.31 19:44

  • [디지털국회] 한국 콘텐트 개발없는 한 IT강국 아니다.

    임도빈님 안녕하세요... 제가 올린 글의 내용은 사실 몇줄의 글로서 표현하기 힘든부분들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이를 나열하자면 한편의 논문이라도 써야 하겠지요... 제가 몇가지의

    중앙일보

    2005.11.30 10:39

  • 미리 가본 ‘미래 성장동력 전시회‘?…로봇 바텐더 만나러 갈까

    미리 가본 ‘미래 성장동력 전시회‘?…로봇 바텐더 만나러 갈까

    "티롯, 콜라 한 잔 주세요." "예, 알겠습니다." 똑똑한 지능 로봇인 '로봇 바텐더'가 사람을 알아보고, 주문받은 음료수를 서비스하는 모습이다. 또 로봇유치원에서는 인간형 로

    중앙일보

    2005.11.17 21:27

  • [NIE] 반도체는 산업기술 '마법의 돌'

    [NIE] 반도체는 산업기술 '마법의 돌'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미국.스위스 공동 연구팀이 최근 1조 비트(테라비트.terabit) 반도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핵심 기초기술을 개발했다. 테라비트 반도체는 지금 주로

    중앙일보

    2005.06.28 15:16

  • [10년 잠 깨어난 일본] 7. 新성장산업으로 간다

    [10년 잠 깨어난 일본] 7. 新성장산업으로 간다

    ▶ 일본 후쿠오카시 하카다구 상점가에서 로봇이 가방을 집어들고 있다. 노인이나 장애인을 돕는 이 로봇은 몇 가지 실험을 거쳐 곧 상용화한다. [지지통신 제공]일본 도쿄 남동부 아오

    중앙일보

    2004.06.01 18:28

  • [권영빈 칼럼] 흐름을 보면 변화를 안다

    2001년 12월,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90세 생일을 맞은 노과학자 첸쉐썬(錢學森)박사를 찾아 건강을 걱정하고 그의 학문적 위업을 칭송했다. 첸 박사는 1935년 상하이

    중앙일보

    2004.02.26 18:28

  •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청소년들이 이공계 진학을 멀리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어렵다'이다. 한편으로는 과학만큼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결국 과학을 좀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통로가 부

    중앙일보

    2003.12.17 15:28

  • 반도체 뒤이을 50大 후보기술 선정

    '옷 겸용 컴퓨터, 가정용 수소 발전기, 해커 차단 암호장치, 차세대 생체진단영상장치…'. 과기부가 최근 포스트 반도체 기술 후보로 내놓은 50개 과제 중 일부다. 하나하나의 과제

    중앙일보

    2003.06.04 14:34

  • "클릭 횟수 절반으로 줄여"

    자동차.휴대전화.반도체 등을 설계하는 제조업체 디자인실에서 종이와 지우개가 사라진 지 오래 됐다. 기계공학 컴퓨터 기반설계(MCAD) 소프트웨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과거 2D(평

    중앙일보

    2003.06.03 16:41

  • 포스트 반도체 기술 50개 선정

    과학기술부(www.most.go.kr)는 27일 반도체의 뒤를 이어 5~10년 후 우리 경제를 이끌 차세대 초일류기술 후보 50개를 발표했다. 선정한 기술은 ▶휴대용 초소형 컴퓨터

    중앙일보

    2003.05.27 17:49

  • [현장을 가다] 이조원 사업단장

    "앞으로 5~10년 내에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 고집적화가 한계에 부닥칠 것입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나노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개발 입니다."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

    중앙일보

    2003.02.26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