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리역 사고 그뒤…"1만명→2000명대, 교통사고 사망 줄였다"

    이리역 사고 그뒤…"1만명→2000명대, 교통사고 사망 줄였다"

     ━   창립 42주년 한국교통안전공단 권용복 이사장 인터뷰   권용복 이사장이 공단 설립 과정과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한국교통안전공단  “공단이 어떻게 설립됐는지

    중앙일보

    2023.07.05 00:05

  • 레바논 할퀸 질산암모늄, 2002년 발리 테러범 살상도구였다

    레바논 할퀸 질산암모늄, 2002년 발리 테러범 살상도구였다

    4일(현지 시간) 대규모 폭발사고가 발생한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 현장에서 헬리콥터가 물을 뿌리며 진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4일(현지 시각)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중앙일보

    2020.08.05 08:49

  • 익산역 100살

    익산역 100살

    1912년 개통한 익산역 초창기 모습. 익산역은 한때 서울·대전역 다음으로 승객이 많았다. [익산문화재단 제공] 6일 전북 익산역(옛 이리역)이 100년을 맞는다. 익산역은 191

    중앙일보

    2012.03.06 01:03

  • "용천을 구하자" 동포애 후끈

    열차 폭발 참사로 신음하는 북한 용천 주민 돕기 운동이 전국에서 뜨겁게 벌어지고 있다. 각 자치단체와 시민단체 등이 성금 모금에 들어갔고, 지역 의료단체를 중심으로 의료품 지원도

    중앙일보

    2004.04.26 23:41

  • "용천을 구하자" 동포애 후끈

    "용천을 구하자" 동포애 후끈

    ▶ 열차 폭발사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어린이들의 구호품 마련을 위한 바자회가 다음달 2일까지 롯데백화점 전점에서 열린다. 26일 영등포점을 찾은 고객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중앙일보

    2004.04.26 18:16

  • 한국현대사 현장음 담은 인터넷 방송 인기

    "이 경직된 사회는 젊은이의 희생을 요구한다!" 1975년 4월 11일 서슬 퍼런 유신독재에 할복자살로 항거한 서울대생 김상진씨. 할복 당시 그의 절규와 주변 동료들의 외마디 비명

    중앙일보

    2001.01.29 11:09

  • 한국현대사 현장음 담은 인터넷 방송 인기

    "이 경직된 사회는 젊은이의 희생을 요구한다!" 1975년 4월 11일 서슬 퍼런 유신독재에 할복자살로 항거한 서울대생 김상진씨. 할복 당시 그의 절규와 주변 동료들의 외마디 비명

    중앙일보

    2001.01.29 09:56

  • 한국현대사 현장음 담은 인터넷 방송 인기

    "이 경직된 사회는 젊은이의 희생을 요구한다!" 1975년 4월 11일 서슬 퍼런 유신독재에 할복자살로 항거한 서울대생 김상진씨. 할복 당시 그의 절규와 주변 동료들의 외마디 비명

    중앙일보

    2001.01.29 00:00

  • [날씨소사] 11월11일

    77년 11월 11일 오후 9시쯤 전북 이리시(현재는 익산시). 밤 하늘은 구름 한점 없이 별이 총총 빛났다. 기온은 5도로 다소 쌀쌀했다. 이리역 상공에 폭음과 함께 시뻘건 섬광

    중앙일보

    1999.11.11 00:00

  • 북한 평강역부근 대규모 폭발사고/“폭발음에 섬광… 군서 복구작업”

    ◎수백t의 화약터져 피해 클듯/30일 새벽 휴전선 북방 7㎞서… 사진 분석중 지난달 30일 오전 1시30분쯤 휴전선 북방 7㎞지점 북한지역인 강원도 평강역 부근에서 대형 폭발사고가

    중앙일보

    1991.11.03 00:00

  • 폭약옆에 난로 피우면…

    서울개포동 아파트촌에서 있은 한밤의 대폭발사고는 10년전의 이리역 폭발참사를 연상케 한다. 물론 56명 사망에 1천3백여명이 다치고 9천여동의 건물이 파괴됐던 이리역 참사보다는 피

    중앙일보

    1987.03.25 00:00

  • 피로물든 경산 벌|열차사고 무엇이 문제였나

    이번 사고는 한마디로 열차가 자주 운행되는 철도건널목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안전수칙을 무시하고 기관사 및 당국의 무리한 열차운행에 의해 빚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솔선수범 해야

    중앙일보

    1981.05.15 00:00

  • 철도 륜송의 안전 대책

    이리역 구내의 폭발물 참사가 아직 우리의 기억에 생생한 터에 이번에는 황산을 싣고 달리던 화물열차가 탈선, 전복되는 대형 철도 사고가 일어났다. 1천여명의 사상자를 내고 수천 채의

    중앙일보

    1980.04.22 00:00

  • 이리 참사 1주년

    11일로 이리 화약 열차 폭발 참사 1주년을 맞았다. 폭발 사고로 폐허가 되다시피 했던 참극의 땅위에는 이제 그날의 상흔을 말끔히 씻고 고층 「빌딩」과 「아파트」 등이 즐비하게 들

    중앙일보

    1978.11.11 00:00

  • 신년사- 희망을 키우고 불안은 극복하자

    1978년의 신정을 맞이하면서 번개처럼 스치는 상념이 있다 『사람들이 품는 희망은 막연하지만, 그들의 불안은 늘 정확하다』고 한 「플·발례리」의 시구속에 담겨진 감동말이다. 막연하

    중앙일보

    1978.01.01 00:00

  • 이리역폭발사고|오늘처공판

    이리역화약열차 폭발사고와 관련, 구속기소된 한국화약사장 신현기피고인(57)등 한국화약간부와 철도청·대한통운직원등 7명의 피고인에 대한 첫 공판이 23일 상오10시 서울형사지법정광진

    중앙일보

    1977.12.23 00:00

  • 안전의 정착

    지난 한 달은 참으로 대형 사고도 많았다. 지난달 11일의 이리역 폭발 참사에 이어 장성 탄광 사고, 동해 어선 조난 사고 등으로 수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냈다. 이러한 대형 사

    중앙일보

    1977.12.08 00:00

  • 5만여 군인·민방위대|이리재건에 앞장

    『군인아저씨들 수고 많았습니다.』13만 이리시민들은 피해복구작업은 물론 이재민 천막촌건립·긴급의료활동 등 이리시민 돕기에 나선 국군장병들에게 감사하고 있다. 이리참사의 복구작업 중

    중앙일보

    1977.11.28 00:00

  • 문학·여초·김용현|"성장규모에 맞게 안전기준도 높이자"|천재와 인재-김태길 교수(서울대)와 함께

    ―최근 이리역 참사사건, 장성탄광 매몰사고 등 대형사고들이 잇달아 발생, 끔찍한 재난을 몰아왔습니다. 이들 대형사고는 어떻게 보면 안전관리가 뒤따르지 못한 경제성장의 그늘 속에 도

    중앙일보

    1977.11.19 00:00

  • 이리·장성 대형사고 원인 등 추궁-예산심의

    국회예결위는 17일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3일째 정책질의를 계속했다. 의원들은 이리 참사, 장성 광업소 매몰사건 등 최근 일련의 대형사고가 연발하는 근본원인을 추궁하고 박동선 사건

    중앙일보

    1977.11.17 00:00

  • 이리참사 책임소재 등 추궁|"90개 원양업체서 폭리"

    국회예결위는 15일 새해예산안에 대한 정책질의를 시작, 이리역 참사사건의 책임소재와 복구대책, 원양어업체들의 부조리 등을 추궁했다. 하오부터 시작된 질의에는 황낙주 의원(신민) 권

    중앙일보

    1977.11.15 00:00

  • 화약수송 특수차제조 위험물 관계법개정 등 안전대책 마련

    정부는 15일 이리역 화약열차 폭발 대 참사를 계기로 화약·석유·「가스」류·화공약품 등 위험물 취급에 대한 종합적인 제도개선책을 마련키로 했다. 이같은 방침은 이번 폭발참사가 화약

    중앙일보

    1977.11.15 00:00

  • 『책임통감』·『죄송』연발

    12일 국회예결위에서 정부측은 이리역 화약폭발참사를 보고하면서「죄송」「송구」를 연 발. 최규하 총리는『귀중한 목숨을 잃은 분의 유가족·친척·친지에게 애도의 뜻을 표하며 책임을 통감

    중앙일보

    1977.11.14 00:00

  • 부상자 치료·복구에 최대 지원하라

    박정희 대통령은 12일 이리역 화약폭발사고 현장을 돌아보고 『우선 부상자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다음에 가옥 등이 파괴된 이재민구호에 만전을 기하라』고 관계관에게 지시했다. 박 대통령

    중앙일보

    1977.11.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