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내일 6월항쟁 10주년 당시 주역들 각계서 시민운동 앞장

    성공회에서의 민주회복 범국민대회에 이어 명동성당 농성,서울시청앞에 물결친 1백만 인파,그리고 마침내 쟁취해낸 6.29선언…. 민주주의의 새 장을 연 87년 6월의 6.10민주항쟁

    중앙일보

    1997.06.09 00:00

  • 前職 대통령 3명 법정同席 불발-최규하씨 拘人 법정스케치

    14일 열린 12.12및 5.18사건 항소심 공판에 강제 구인된 최규하(崔圭夏)전대통령은 법정에서도 끝내 입을 열지 않아「역사적 진실공개」를 기대했던 국민들을 실망시켰다.崔씨는 정

    중앙일보

    1996.11.15 00:00

  • 폭탄酒 강요는 범죄 日서 入學.入社환영식 사망사고 빈발

    『죽음 부르는 「원샷」을 몰아내자.』 일본에서는 최근 과음으로 발생하는 입학.입사철 사망사고를 막기 위한 시민단체들이 잇따라 발족,「원샷(한국의 폭탄주와 비슷한 음주형태)」 추방운

    중앙일보

    1996.07.06 00:00

  • 三豊백화점 붕괴-실종자찾기 어디까지 왔나

    삼풍백화점 북관(A동)붕괴지점에서 중장비를 동원한 상판제거작업이 시작된지 8일로 엿새째가 되나 시체발굴실적이 당초예상과 달리 극히 저조하다. 이때문에 과연 상판 아래에 다수의 실종

    중앙일보

    1995.07.08 00:00

  • 대구아픔 함께하자 너도나도 동참

    ○…대구 가스폭발사고 복구현장과 병원등에는 시민들의 인정어린자원봉사 손길이 끊임없이 이어져 극도의 실의에 빠진 유가족들과부상자들에게 큰 위안과 용기를 주고 있다. 피가 모자라 부상

    중앙일보

    1995.05.02 00:00

  • 자주 평화통일 민족회의 51개시민단체 참여 발족

    51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민간통일운동단체인「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민족회의)가 2일 오후 延世大 1백주년기념관에서 창립대회를 갖고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민족회의는 창립선언문을

    중앙일보

    1994.07.02 00:00

  • 김대통령 광주문제 특별담화후 후속조치 지지부진

    金泳三대통령이 5.18「광주사태」를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하는등 재평가함으로써 광주문제해결의 물꼬를 튼 특별담화가 13일로 발표 1년이 되었다. 그러나 특별담화와 함께 시작됐던 후

    중앙일보

    1994.05.12 00:00

  • 한용철.김생기.김진복.박찬규.김광웅.안무혁.나영환

    ◇韓鏞徹 대한결핵협회장은 10일 서울에서 태어나 한국 최초로크리스마스 실을 발행했던 캐나다 선교의사 셔우드 홀 탄생1백주년을 맞아 그가 묻혀있는 楊花津 외국인묘지에서 추모행사와 공

    중앙일보

    1993.11.11 00:00

  • 희생자 유족에 작은도움이라도 미화원들 본사에성금

    ○…서해페리호 선체가 인양된 17일 한국기능미화중앙협의회(회장 郭重虎.38)소속 서울중구지회 회원 2백12명은 이번 참사의 희생자 유가족을 돕기위해「일일 자선구두닦기」운동을 벌여

    중앙일보

    1993.10.18 00:00

  • 민주화운동 유가협

    민주화 운동 유가족 협의회는 87년 6월 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12, 13일 경희대 노천극장에서 민주열사 추모공연을 갖는다. 764-1684. 춤과 풍물이 결합되는 이 공연에는 노

    중앙일보

    1993.06.11 00:00

  • 대통령서 농민까지 다양한 변신/「6월 항쟁」 주역들 뭐 하나

    ◎이우정씨등 국회로 진출… 재야지도자도 많아/선봉섰던 학생들은 「계룡산악회」 만들어 활동 독재와 맞선 민주화운동으로 오늘날 문민정부 탄생의 뿌리가 된 87년 6월 항쟁을 이끈 주역

    중앙일보

    1993.06.09 00:00

  • 열차사고 위문금 1억

    이원종 서울시장은 30일 부산·구포역 열차전복사고 사망자 및 부상자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위문금 1억원을 부산시에 전달했다. 민병천 동국대총장은 최근 한국사학 연금관리공단 회의실

    중앙일보

    1993.03.31 00:00

  • (4)"세계 원주민의 해" 특별기획시리즈|「아리랑」잘 부르는 아이누 촌로

    홋카이도에 살고 있는 60세 이상의 아이노 촌로 들은「조선의 민요」를 구성지게 부를 수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 리요…』해방직후까지 그들의 마을(코탄) 주변에서「조선아저씨」

    중앙일보

    1993.01.26 00:00

  • 피살 한씨 오늘 부검/유족·경찰 합의 서울대병원 운구

    시위현장을 지나다 경찰관의 총탄에 맞아 숨진 서울대 대학원생 한국원씨(27)의 유해가 유족·경찰측 합의로 19일 오전 1시쯤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져 이날 오후 2시 서울지검 추호경

    중앙일보

    1991.09.19 00:00

  • 대학원생 경찰총맞아 사망/서울대 한국원씨

    ◎파출소 화염병시위 현장지나다/소장이 쏜 권총 가슴 박혀/학생들 병원앞 철야 농성/총학생회,재야연대 대책위 추진 17일 오후 10시25분쯤 서울 신림 2동 관악경찰서 신림2동파출소

    중앙일보

    1991.09.18 00:00

  • 살신성인 박중열씨 유가족에 보상금 2천3백만원

    서울시는 12일 신혼여행 중 해수욕장에서 물에 빠진 국교생 2명을 구하고 숨진 박중열씨 (34·서울명륜동3가53의20)의 유가족에게 의사상자(의사상자)보호법을 적용, 국가지원보상금

    중앙일보

    1991.08.12 00:00

  • 대책회의 구성단체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국농민회총연맹▲전국빈민연합▲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족평화협의회▲전국민

    중앙일보

    1991.05.17 00:00

  • 「젊은 꽃」그만꺽자/5년전 분신자살 김세진·이재호군 어머니의 호소

    ◎살아서 부정·불의와 싸워나가야/부모에게 평생의 한 남기지 말고/좀더 크게 좀더 멀리 생각해서/감정 아닌 이성의 판단 따르기를 『죽어서는 안돼요. 무슨 일이 있더라도 살아서,건강하

    중앙일보

    1991.05.04 00:00

  • 살아서 싸워달라/민주화유가족협 호소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회장 이소선·61)는 4일 오전 9시 연세대학생회관에서 최근 대학생들의 연쇄분신사건과 관련,기자회견을 갖고 『젊은이들은 더이상 죽음으로 현사태에 항거하지

    중앙일보

    1991.05.04 00:00

  • 직업병 인정 보상요구/유족들 「사체」농성/원진레이온서

    【미금=이철희기자】 31일 오후 2시쯤 경기도 미금시 도농동1 인조견 생산업체인 (주)원진레이온(대표 백영기) 앞에서 이 공장에서 일하다 직업병증세로 숨진 김봉환씨(53·서울 면목

    중앙일보

    1991.04.01 00:00

  • KAL사건 철저히 따지자/이재학 정치부기자(취재일기)

    7일 오후 열린 제1차 한소 정책협의회에서 소련의 KAL기 격추사건을 거론하는 우리정부의 태도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었다. 유종하 외무차관은 이즈베스티야지와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리

    중앙일보

    1991.01.08 00:00

  • 퇴직자 이황화탄소 중독사/직업병 인정싸고 논란

    ◎원진레이온 “일반병원 소견서에 의문” 5일 숨진 (주)원진레이온(미금시 도농동) 퇴직근로자 김봉환씨(53)의 유가족과 원진레이온 직업병피해 노동자협의회(약칭 원노협)는 7일 김씨

    중앙일보

    1991.01.07 00:00

  • 외면당한 직업병 호소(촛불)

    『조기에 직업병 판정을 받아 치료와 요양을 할 수 있었다면 이렇게 어이없는 죽음만은 면했을 겁니다.』 6일 오후 10시 서울 상봉동 제세병원 영안실. 병명도 모른채 시름시름 앓다

    중앙일보

    1991.01.07 00:00

  • 정부불신 재확인 「반핵시위」/사회(지난주의 뉴스)

    ◎안면도 소요 졸속행정 표본/소양강 버스참사 구조적비리 노출 주초부터 백담사를 다녀오던 관광버스가 다리 아래로 추락,21명이 참변을 당하더니 주말에는 안면도에서 당국의 일방적인 핵

    중앙일보

    1990.1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