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핵안보 정상회의 한국 개최 외교적 성과 무엇인가

    워싱턴 핵안보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 앞줄 왼쪽부터 이명박 대통령,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사카슈빌리 그루지야 대통령, 룰라 브라질 대통령, 할로넨 핀란드 대통령, 나자르바예

    중앙일보

    2010.04.14 05:02

  • 한국 기초기술 + 인도 첨단과학 ‘윈윈’

    한국 기초기술 + 인도 첨단과학 ‘윈윈’

    인도를 국빈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과 김윤옥 여사가 25일 뉴델리 간디 추모공원을 방문해 헌화하고 있다. [뉴델리=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의 인도 방문 타깃은 ‘시장 구매력 세계

    중앙일보

    2010.01.26 03:01

  • [김영희 칼럼] 핵주권을 말할 때가 아니다

    한국 원자력연구소의 과학자들은 2000년 초 몰래 원자 증기 레이저 동위원소 분리(AVALIS) 방식으로 우라늄 농축 실험을 세 번 했다. 실험에서 얻은 0.2g의 우라늄의 순도는

    중앙일보

    2010.01.22 00:48

  • 미, 북핵 해결 땐 한국 핵재처리 용인 가능성

    미국은 북한 핵 문제의 해결이 가닥을 잡을 때까지는 한국의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북핵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을 경우 비확산을 보장

    중앙일보

    2010.01.14 03:08

  • [사설]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적극 논의할 때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자력발전소 수주를 계기로 한·미 원자력협정의 개정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지난 연말 국회 한 모임에서 “이 협정이 원료

    중앙일보

    2010.01.04 01:00

  • [사설] 5% 기술장벽도 넘어 아부다비 감동 이어가자

    사상 첫 원전 수출이 가져온 감동이 좀체 가시지 않고 있다. 세밑 아부다비에서 날아든 낭보에 온 국민이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묵묵히 갈고 닦은 기술력에다 이명박 대통령의 노련

    중앙일보

    2009.12.29 01:06

  • 이슈인터뷰 - 김석우 21세기국가발전연구원장 ①

    /* 우축 컴포넌트 */.aBodyComTit {background-color:#0a6a46; font-size:12px; font-weight:bold; color:#fff;

    중앙일보

    2009.09.04 14:13

  • 원전서 타고 남은 방폐물 재활용한다

    원전서 타고 남은 방폐물 재활용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파이로프로세싱 연구실. 연구원들이 로봇팔을 이용해 차폐실안에 있는 모의 사용후 핵연료를 다루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2014년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협정

    중앙일보

    2009.07.10 00:19

  • “저농축 우라늄 한국도 자체 생산”

    정부는 10월께 미국과의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에 착수해 원자력 발전용의 저농축 우라늄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미국의 동의를 구할 방침이라고 익명을 요청한 정부 당국자가 7일 밝혔

    중앙일보

    2009.07.08 02:14

  • “핵연료 재활용 추진”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6일 올 하반기에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을 시작해 건식재활용(파이로프로세싱) 방식을 통한 사용후 핵연료의 독자적 처리 능력 확보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

    중앙일보

    2009.07.07 03:08

  • [사설] ‘평화적 핵주권’ 방향 맞지만 신중하게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그제 내외신 정례 브리핑에서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원자력협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핵원료의 공급이나 쓰고 남은 원료의 처리 문제에서 상업적 이익

    중앙일보

    2009.07.04 00:13

  • 정부 “핵연료 재활용 시설 추진”

    정부 “핵연료 재활용 시설 추진”

    개성공단 3차 실무회담을 위해 개성을 방문하고 돌아온 김영탁 단장이 2일 오후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김 단장은 “상호 입장 차로 오후 회의를 못

    중앙일보

    2009.07.03 02:42

  • MB가 16일 오바마에게 해야 할 말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미국 워싱턴에서 바라보는 세계는 대서양 건너편부터 펼쳐진다. 가장 가까이 영국과 유럽 대륙이 자리 잡고 있고, 중동이 그 옆에 있다. 한국

    중앙선데이

    2009.06.16 13:49

  • “YS시절 핵주권 회복 추진… DJ정부 출범하면서 중단”

    한나라당이 12일 공식 제기한 ‘평화적 핵연료 재처리’ 등 핵 권리 회복은 김영삼(YS) 정부 시절 ‘민간 주도’ 형식으로 추진되다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면서 중단됐다고 조선일보 1

    중앙일보

    2009.06.15 07:57

  • MB가 16일 오바마에게 해야 할 말들

    MB가 16일 오바마에게 해야 할 말들

    미국 워싱턴에서 바라보는 세계는 대서양 건너편부터 펼쳐진다. 가장 가까이 영국과 유럽 대륙이 자리 잡고 있고, 중동이 그 옆에 있다. 한국은 아주 먼 ‘극동’, 세계지도의 맨 끝

    중앙선데이

    2009.06.13 21:49

  • “자연과학 분야 국책사업 사회과학 접목돼야 성공”

    “자연과학 분야 국책사업 사회과학 접목돼야 성공”

     “대형 이공계 국책 사업의 방향을 잘못 설정하면 혈세 낭비는 물론이고 사회에 큰 짐을 지워주는 걸 봐왔잖아요. 그런 사업 결정 과정에 사회과학이 접목되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중앙일보

    2008.09.26 02:09

  • 2007년 북한 주요 일지

    ◆ 1월 1.1 노동신문, 조선인민군 청년전위, 공동사설 “승리의 신신 드높이 선군조선의 일대 전성기를 열어나가자” 발표 1. 1 김정일 국방위원장, 금수산기념궁전 참배(새해 첫

    중앙일보

    2007.12.17 18:14

  • 국제 견제로 핵 재활용 못하는 한국

    국제 견제로 핵 재활용 못하는 한국

    ●한나라당 허태열 의원=국제적 압력이 있어서 못한다는 것이지 우리의 경제력 정도면 핵 개발은 할 수 있지요? ● 박창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답변 드리기 곤란한 질의입니다. ●허태열=

    중앙일보

    2007.07.23 14:32

  • 국제 견제로 핵 재활용 못하는 한국

    국제 견제로 핵 재활용 못하는 한국

    ●한나라당 허태열 의원=국제적 압력이 있어서 못한다는 것이지 우리의 경제력 정도면 핵 개발은 할 수 있지요?● 박창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답변 드리기 곤란한 질의입니다.●허태열=국

    중앙선데이

    2007.07.21 18:25

  • 그 자체로 명예로운 '경제관료의 꽃'

    명문대·고시 출신의 유학파로 우리나라 경제정책을 실무적으로 결정하는 사람. 40대 중반으로 공직에 몸담은 지 15년째지만 연봉 6000만원 선인 사람. ‘경제관료의 꽃’이라는 경

    중앙일보

    2007.06.18 14:59

  • 원자력 主權 회복 韓ㆍ美협정 바꾼다

    불평등 논란을 빚어온 한ㆍ미 원자력협정의 개정이 34년 만에 추진된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인 1956년 체결된 뒤 73년 한 차례 개정된 이 협정으로 인해 한국은 원자력을 산업에너

    중앙선데이

    2007.04.25 19:47

  • 원자력 주권 회복 한·미협정 바꾼다

    불평등 논란을 빚어온 한ㆍ미 원자력협정의 개정이 34년 만에 추진된다. 이승만 대통령 시절인 1956년 체결된 뒤 73년 한 차례 개정된 이 협정으로 인해 한국은 원자력을 산업에

    중앙선데이

    2007.03.25 01:06

  • 일본, 인도 핵보유 인정 … 원전 건설 실익 챙긴다

    일본 정부는 자국 기업들이 인도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참여하는 등 경제적 실익을 얻을 수 있음을 고려해 인도의 핵 보유를 사실상 용인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0일 보도

    중앙일보

    2007.01.11 05:56

  • [사설] 핵 협정과 미국의 이중잣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만모한 싱 인도 총리가 지난주 뉴델리에서 양국 간 핵 협력 협정에 최종 합의했다. 22기에 달하는 인도의 원자로를 민수용과 군사용으로 분리, 민수용 원

    중앙일보

    2006.03.06 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