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충치예방연구회' 만든 치과의사 송학선씨]

    "우리나라 전국민의 75%가 충치를 앓고 있습니다. 치아 관리상태로 보면 한국은 완전히 후진국인 셈이죠. " 치과의사 송학선(宋鶴善.49)씨는 한국인의 치아관리가 아주 심각한 수준

    중앙일보

    2000.02.14 00:00

  • [배울만한 선진국 사례들] 치과의사는 공무원 등

    우리 나라 사람들이 매년 치과진료비로 쓰는 돈은 3조원. 1인당 7만 5천원꼴이다. 핀란드는 5억 9천만달러 (7천억원) 로 1인당 14만원을 쓴다. 그러나 핀란드의 1인당 국민소

    중앙일보

    1999.04.21 00:00

  • [고운이 웃는이] 5. 선진국들은 어떻게 하나(상)

    한 나라의 구강보건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는 영구치가 완성되는 12세 어린이의 평균 충치 수.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1.1이하는 수, 1.2~2.6은 우, 2.7~4.4는 미, 4.5

    중앙일보

    1999.04.14 00:00

  • 기창덕 박사, 醫學史 책 4천5백권 기증

    치과의사로 대한의사학회 회장인 기창덕 (奇昌德.75) 박사는 19일 평생동안 모아온 의학사 (醫學史) 관련 서적 4천5백여권을 서울대병원에 기증했다. 그가 기증한 책은 무게만 30

    중앙일보

    1999.03.20 00:00

  • [고운 이 웃는 이]'칫솔은 부드러워야' 잘못 인식 77%

    '웃으면 복이 온다. ' 활짝 웃는 얼굴엔 고운 이가 돋보이게 마련. 뿐만 아니라 튼튼한 이는 건강을 보장한다. 그런데도 우리의 구강건강은 개인 위생에서 국가 정책에 이르기까지 무

    중앙일보

    1999.03.17 00:00

  • 헌법재판소,“치과전문의 시험 未실시는 위헌”

    헌법재판소는 19일 정부가 치과전문의 자격시험 시행을 위한 세부지침을 마련하지 않아 전문의시험 응시기회를 갖지못했을 뿐 아니라 직업선택의 자유와 평등권 등을 침해당했다며 李모씨 등

    중앙일보

    1998.07.20 00:00

  • 한림대의료원 해외의료봉사 참관기…피지에서 펼친 한국인술

    천혜 (天惠) 의 아름다운 휴양지로 알려진 남태평양의 섬나라 피지. 눈부시게 아름다운 해변과 초원, 작열하는 한낮의 태양빛과 어우러져 한가로움을 더해 주는 키 큰 야자수. 그러나

    중앙일보

    1997.10.27 00:00

  • 일란성 쌍둥이, 떨어져 살아도 '닮은 인생'

    자연이 만든 복제인간 일란성 쌍둥이. 같은 유전인자를 가지고 태어난 이들이 제각기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게 되면 유전과 환경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중앙일보

    1997.08.12 00:00

  • 수돗물弗素化로 충치예방을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 대다수가 이환돼 있고 치료하기 위해 엄청난 비용을 쏟아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질환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치아우식증(충치)이다.90년

    중앙일보

    1996.12.10 00:00

  • 세계치과의사연맹 서울총회 윤흥렬 조직위원장

    세계치과의사연맹(FDI)총회및 학술대회가 내년 9월5일부터 5일간 서울에서 열린다.예상 참석인원은 1백40여개국 3만5천여명. 아시아에서 네번째,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치과의

    중앙일보

    1996.11.06 00:00

  • 의료비 환자부담 줄이기 시급-현행 의료체계 문제점

    국민의료비 추계분석에서 私의료비가 전체 의료비의 68.3%에이른다는 사실은 의료비의 가파른 증가추세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한국의료관리연구원(원장 申英秀)이

    중앙일보

    1995.06.10 00:00

  • 부럼과 초콜릿

    치아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전체 국민의 41%에 달한다는최근 통계가 나오기도 했지만 우리 국민은 전통적으로 치아건강을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오래전부터 『건치(健齒)는 오복(五

    중앙일보

    1995.02.13 00:00

  • 교과서적인 치료법

    우리들이 아침저녁 평범한 행위로 늘 하고 있는 이닦기는 치과환자 스스로가 할 수 있는 예방치료 방법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환자들에게 이닦기에 대한 교육을 철저히 하도록 학생

    중앙일보

    1994.12.07 00:00

  • 사명감 빼앗아간 의보수가(특진/중병앓는 의료현장:9)

    ◎고향서 개원 3년… 어느 젊은 치과의사 편지/충치 치료비 비싸 노인들 “빼달라”/잇몸으로 지내는 것 보면 서글퍼/시간 뺏기고 값싼 사랑니환자 기피도 경북 봉화군 봉화읍에서 치과의

    중앙일보

    1994.05.14 00:00

  • 인천북구 평화의원 가리봉동 푸른치과(신명나는 사회:14)

    ◎어려운 주민찾아 의료활동/젊은의사들 예방의학운동/공단지역 직업병 경각심 일깨워 평화의원/뜻맞는 의료인들 기금모아 공동 운영·진료/탁아소 등 찾아서 충치예방 교육 푸른치과 건강한

    중앙일보

    1993.04.21 00:00

  • 유해 시비 치과 보철 구리 합금 수입 허용 파문

    보사부가 인체 유해시비로 그간 유통금지 시켰던 치과 보철용 NPG합금에 대한 유통금지를 해제함으로써 유해성을 주장해온 치과의사들이 거센 반발을 계속해 논란이 되고 있다. 더구나 보

    중앙일보

    1992.12.02 00:00

  • 치과치료·건축

    필자는 환자들과 치과치료 계획을 이야기할 때 이를 건축술에 비유, 설명해주는 경우가 있다. 집이나 빌딩을 지을 때 우선 기초가 완전히 다져진 후에야 그 위에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중앙일보

    1992.10.16 00:00

  • 진료후 큰병원 의료장비 이용|개방 병원제 뿌리내린다

    개방병원제(Attending System)가 점차 국내에 확산되고 있다. 개방병원제란 의사가 환자진료에 필요한 최소한의 사무실만 갖추고 고가의 의료장비나 입원실 등은 대형병원의 것

    중앙일보

    1992.09.02 00:00

  • 무너지는 의사상

    우리 사회에서는 의과대·치과 대에 들어가 나중에 의사가 되는것이 가장 인정받고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으로 각광받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옛날 우리 사회가 다변화되지 않았을 때는

    중앙일보

    1992.07.14 00:00

  • 서울대 병원장-입원 청탁 잦은 「인술의 손」수장

    『죽기 전 서울대병원에서 진찰이나 한번 받아봤으면….』 불치의 병에 걸린 환자들이 마지막 소원으로 흔히 하는 말이다. 이는 우리 의료진의 최후보루인 서울대병원에 대한 국민의 여망을

    중앙일보

    1992.06.26 00:00

  • 전국민 의보 의약분업·수가인상폭에 "산고"

    7월1일 도시지역 의료보험 시행과 함께 맞게 되는 「전국민 의보시대」를 꼭 한달 앞두고 의약분업과 의료전달체계등 의료질서 개편과 의보수가 조정작업이 극심한 진통속에 진행되고 있다.

    중앙일보

    1989.05.31 00:00

  • "스포츠 기록 경신도 첨단 기술로"|최신 의료기기·컴퓨터로 선수 훈련시키는 미 올림픽

    기록경신은 첨단 기술로-. 미국의 스포츠는 최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훈련 방식을 도입, 활기를 띠고 있다. 첨단 훈련방식은 최신의료기기와 컴퓨터 등을 이용해 운동선수의 동작

    중앙일보

    1986.08.14 00:00

  • 「구강보건 주간」을 맞아 본 치아관리 요령|치아의 건강 젖니관리가 좌우

    6세9(구)치. 6세에 첫 영구치인 제1대 구치가 나오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각 시-도 치과의사회에서는 해마다 6월9일부터 1주간을 구강보건주간으로 삼고 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

    중앙일보

    1982.06.09 00:00

  • 직장의무실 제대로 갖춘 곳 드물다 시설·운영 등 실태를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건강을 위해 사업장안 의무실이 필요하나 제대로 갖춘 곳이 드문 실정이다. 의무실은 사소한 질환을 치료하거나 중대한 질환을 미리 발견할 수 있다는 예방의학 적 측면에서 매

    중앙일보

    1982.02.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