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준공검사미필 건물들 어떻게 구제해 주나

    준공미필 위축물특조법 일문일답 정부로부터 건축허가를 받고 주택을 지었으나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건축법을 위배했거나 무단으로 구조나 용도를 변경하여 준공검사를 받지 못하던 50평미만

    중앙일보

    1980.05.20 00:00

  • 풍치지구 건축규제 완화|학교의 건물높이·용적율제한 없애기로

    서울시는 23일 풍치지구안의 건축규제를 일부완화, 학교건물의 경우 건축물의 높이와 용적율제한을 없애기로 했다. 시는 이에따라 서울시풍치지구조례를 개정키로하고 이를 총리실과 건설부에

    중앙일보

    1980.04.23 00:00

  • 그린벨트 내 증축 5평까진 신고로

    ◇문=서울근교 「그린벨튼 안에 집을 갖고 있습니다. 80년도부터 따로 건축허가를 받지 않고도 증축을 할 수 있는지요. 한정애 ▲답=작년까지는 3평 이내에서 집을 개축할 경우엔 정식

    중앙일보

    1980.01.22 00:00

  • 도로로 수용된 잔여대지에도 조건부로 건축허가

    서울시는 6일 도로의 신설 또는 확장으로 도로로 편입된 대지의 잔여분에 대해서도 조건부 건축허가를 내줘 토지소유자들을 구제해 주기로 했다. 이같은 조치는 도로의 신실 또는 확장으로

    중앙일보

    1979.11.06 00:00

  • 장지동 605·세곡동 7일대 18만평

    서울시는 26일 서울과 성남시의 인접지역인 장지동605와 세곡동7일대 18만평을 풍치지구로 결정, 지적고시 했다. 서울시는 당초 송파로의 좌우에 위치한 이 지역을 모두 개발제한지역

    중앙일보

    1979.07.27 00:00

  • 서울대교∼서대문 등 4·5km길 양쪽|13만평 재개발 계획 확정|시서 건설부에 지역지정 신고

    서울시는 11일 마포로 주변 재개발 계획을 확정, 건설부에 재개발지역 지정결정을 신청했다. 시가 확정한 재개발지역은 ▲서울대교∼서대문 ▲아현 고가도로∼서소문「로터리」까지4·5km의

    중앙일보

    1979.06.11 00:00

  • 신축건물 고도제한 조치 후|10개 빌딩 신축 승인|2∼4층씩 줄여

    서울시는 7일 신축건물의 고도제한 조치 이후 처음으로 양동의「힐튼·호텔」(사업주 대우실업)등 도심 재개발 지역 안의 10개 건물 신축계획을 확정. 건설부에 사업승인을 요청했다. 건

    중앙일보

    1979.06.07 00:00

  • 도심건물의 고층시비

    금년초 박정희 대통령은 『너무 잦은 도시계획 변경은 국민에게 피해를 주고 예산을 낭비하게 된다』고 지적, 도시계획의 신중한 입안을 지시한 바 있지만, 이 분야에 있어서의 행정 낙후

    중앙일보

    1979.05.21 00:00

  • 「마로니에」문리대 터가|「문화의 거리」로 탈바꿈

    구 서울 문리대 자리에 들어선 문예진흥원 건물을 중심으로 동숭동일대에 새로운 문화시설이 잇달아 세워져 종로5가∼혜화동에 이르는 길은 문화가로 서서히 탈바꿈하고 있다. 19일에는 교

    중앙일보

    1979.05.19 00:00

  • 신축건물 높이 지역별로 규제

    서울시는 26일 신축건물의 높이를 지역별로 규제, 이날부터 ▲4대문 안 간선도로변은 15층 ▲4대문 안 간선도로변 이외지역 12층 ▲기타강북지역 15층 ▲강남지역의 경우 일반지역

    중앙일보

    1979.04.26 00:00

  • 서울도심 고층신축규제|찬반 지상토론

    도심의 인구분산과 교통난 완화를 위해 신축건물의 높이를 제한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근본적으로는 공감한다. 공공건물이나 사무실·학원 등을 변두리로 분산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효과가

    중앙일보

    1979.04.16 00:00

  • 대한 교육 보험 등 15층 이상 3개 건물|신축 공사 잠정 중지령

    서울시는 서울 도심의 인구 분산과 교통난 완화를 목적으로 정부의 신축 건물 고도 제한 방침과 관련, 앞으로 실시할 도심 재개발 사업 계획을 수정키로 한데 이어 이미 도심 재개발 사

    중앙일보

    1979.04.12 00:00

  • 재개발 승인해 준 도심 6개 지구 신축건물|15층 이하로 제한검토

    서울시는 10일 그 동안 추진해 온 도심재개발사업의 세부계획을 전면 수정키로 했다. 서울시는 도심불량지역의 미관을 살리고 토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이들 지역에 대한재개발사업으로

    중앙일보

    1979.04.10 00:00

  • 주택지 아파트높이 제한

    국무회의는 13일하오 각종 건축물의 주차장시설 기준을 강화하고 「아파트」 건설 기준을 강화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건축법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의 주요 골자는 다

    중앙일보

    1978.10.14 00:00

  • 장안평 개발계획 확정

    서울시는 13일 58만7천43평에 이르는 장안평 개발계획을 확정, 이 지역을 주거·상업·준주거 지역과 유통시설·공공용지·재개발지구 등으로 나누어 지역별로 대지규모·건물 높이·용도

    중앙일보

    1978.10.13 00:00

  • 한강변에 고도제한 없이 고층빌딩 건축유도

    서울시는 한강을 축으로 강 양면에는 고도의 제한 없이 고층「빌딩」을 짓도록 유도하는 반면 강북 기존시가지에는 건물높이를 최고 24∼25층 선에서 억제할 방침이다. 22일 서울시도시

    중앙일보

    1978.06.22 00:00

  • 풍치지구 내 학교건축 허용

    서울시는 13일 풍치지구건축조례를 일부개정, 연면적 3천 평방m(약 9백7평)이상의 학교건축을 규제해 오던 종전의 규정을 삭제, 풍치지구 안에서도 대규모 학교건물을 지을 수 있게

    중앙일보

    1978.06.13 00:00

  • 강남이 전학교 자리·도심재개발 지역|신축사무실·호텔등 높이 제한

    정부는 서울강북지역의 대학·고교이전적지(적지)와 도심재개발지역 등에 들어서는 사무실「빌딩」「호텔」등 신규건축물에 대해서는 충고를 제한하고 건폐율·용적율 등을 낮춰 조정할 방침이다.

    중앙일보

    1978.06.03 00:00

  • 높이 20m이내 학교·아파트 풍지지구 안에 신축허용

    풍치지구 안에서도 건물높이 20m까지의 「아파트」와 학교를 지을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최근 학교와 「아파트」의 부지 난을 덜기 위해 풍치지구 안에서의 건물고도 제한완화를 내용으

    중앙일보

    1978.04.01 00:00

  • 지가상승 심한 지역 매매허가제 검토-건설부 방침 "토지의 공 개념을 확대"

    건설부는 도시의 토지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마다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안쪽으로 시가지화 조성구역·용도계획구역·재개발구역을 설정할 방침이다. 또 부동산투기를

    중앙일보

    1978.02.01 00:00

  • 풍치지구에서 해제된 9개 지구 3백94만평

    서울시의 풍치지구 일체정비에 따라 풍치지구면적은 종래 34개 지구 3천5백4만9천6백96평방m(1천71만8천1백97평)에서 25개 지구 2천2백16만4천4백 평방m(6백77만7천8

    중앙일보

    1977.12.08 00:00

  • 대지 상한선 억제 검토

    정부는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주택 건설용 택지 확보를 마련키 위해 앞으로 새로 지정하는 도시 계획 구역 안에서는 건축물의 대지 면적에 상한선을 둘 것을 신중히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

    중앙일보

    1977.12.01 00:00

  • 수도권 주거용 건물 대지하한 45평으로 높여

    정부는 인구 재배치 계획에 따른 건축규제조치의 일환으로 수도권 안에서 주거용 건축물을 지을 경우 건축용지의 하한선을 현행 27평에서 45평으로 대폭 높이고 건폐율 및 용적율을 대폭

    중앙일보

    1977.03.24 00:00

  • 12개 주거지역 용도변경

    서울시는 20일 성북구 성북동일대 등 시내 4개 주거지역 2백99만8천1백평방m(89만9천4백30명)를 주거전용지역으로, 강남구 천호동일대 등8개 주거지역 9만8백방m(9만3천2백

    중앙일보

    1976.09.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