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호우 추경에 선 그은 정부…재난대책비‧예비비로 피해 대응

    호우 추경에 선 그은 정부…재난대책비‧예비비로 피해 대응

    지난 주말부터 집중 호우가 이어지면서 ‘초긴축 예산’을 이어가는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압박을 맞닥뜨리게 됐다. 그러나 정부는 집중호우로 인한 추경 가능성엔 명확히 선을 그

    중앙일보

    2023.07.18 15:29

  • '국격 떨어진' 만찬이 결정타…수석도 몰랐던 '878억 영빈관'

    '국격 떨어진' 만찬이 결정타…수석도 몰랐던 '878억 영빈관'

    7월 28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왼쪽)이 대통령실 2층 다목적홀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서 건배를 하고 있다. 행사 뒤 해당 시설이 정상 만찬 행사로는 국

    중앙일보

    2022.09.18 15:34

  • 878억 용산 새 영빈관 신축 없던 일로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영빈관 신축 계획을 전면 철회하라고 지시했다. 대통령실이 800억원대 예산을 들여 옛 청와대 영빈관 성격의 시설을 신축하려고 한다는 보도가 나온 지 단 하

    중앙선데이

    2022.09.17 01:46

  • [속보] 尹대통령 '878억 논란' 영빈관 신축 전면철회 지시

    [속보] 尹대통령 '878억 논란' 영빈관 신축 전면철회 지시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대통령실 영빈관 신축 계획을 전면

    중앙일보

    2022.09.16 20:30

  • 이재명 "수재민에 천만원씩 줄 돈"…영빈관 예산 878억 파열음

    이재명 "수재민에 천만원씩 줄 돈"…영빈관 예산 878억 파열음

    전날 불거진 용산 대통령실의 영빈관 신축 예산 878억원 문제로 16일 여의도와 용산이 모두 시끄러웠다. 기존 영빈관은 국빈 방문 시 공연·만찬 등 공식행사 용도로 쓰던 청와대

    중앙일보

    2022.09.16 18:10

  • 코레일관광개발 사회봉사단, 방배동 수재민 지원 물품 전달

    코레일관광개발 사회봉사단, 방배동 수재민 지원 물품 전달

    코레일관광개발 용산승무지사 사회봉사단은 18일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방배동 수재민을 위해 지원 물품을 전달했다.     방배노인종합복지관을 통해 전달한 물품은 수재민을 위해 사

    중앙일보

    2022.08.19 14:10

  • 천막촌·물지게·재래시장 … 사라져가는 모래내의 추억

    천막촌·물지게·재래시장 … 사라져가는 모래내의 추억

    “거기서 나는 살았다 선량한 아버지와/볏짚단 같은 어머니, 티밥같이 웃는 누이와 함께.”(이성복 ‘모래내 1978년’ 부분) ‘가재울 뉴타운’이란 이름으로 더 익숙한 서울 북가좌동

    중앙일보

    2009.04.02 01:35

  • [태풍 피해복구 희망을 모읍시다] 한국 P&G 2억 상당 생활용품

    생활용품업체인 한국 P&G는 수재민들을 위해 총 2억3천만원 상당의 팬틴.비달사순 샴푸를 재해구호협회에 29일 기증했다. 또 이랜드는 2억원 상당의 방한용 솜이불 5천장을 전달했다

    중앙일보

    2003.09.29 19:05

  • 집안 일도 미루고 하루도 빠짐없이 급식-영동 다사랑봉사회

    충북 영동군 자원봉사센터의 다사랑봉사회(회장 愼重愛·48)는 지난 16일 수마가 할퀴고 간 영동읍 예전리·용산·상촌면 등의 수재민을 위해 제수음식을 준비했다. 이틀 동안 송편을

    중앙일보

    2002.09.27 00:00

  • 수재성금 ARS전화 '천원사랑' 모여 80억

    보름 이상 전국을 강타한 폭우로 엄청난 피해를 본 수재민들을 돕는 운동에 개미군단이 움직이고 있다. KBS.MBC.SBS.부산방송.인천방송 등 5개 방송사가 벌이고 있는 자동응답시

    중앙일보

    1998.08.18 00:00

  • 집중호우로 서울∼부산 교통 난리

    15일 오후부터 16일 오전까지 경북 중.북부와 전남북 지방을 강타한 '럭비공 폭우' 로 경부선 철도 운행이 장시간 중단됐다. 또 경부.호남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한때 두절되는 한편

    중앙일보

    1998.08.17 00:00

  • 3만여가구 이틀째 식수난|전기·전화·가스·수도 끊겨 고통

    이번 물난리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공시설이 맥을 못쓴 것으로 수도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고 도시가스도 끊겨 당장 먹고 마시는데 큰 불편을 겪었으며 전기·전화도 한꺼번에 끊겨 침수지역

    중앙일보

    1987.07.28 00:00

  • "한강수문 4곳 설계미스"

    홍수방지를 위해 실치된 서울시내 32개 유수지중한강목의 용산·마포·흑석·망원유수지등 4개소의 수문이 설계잘못으로 제방 안쪽에 설치돼 있어 망원유수지 수해(84년9월2일 한강대홍수)

    중앙일보

    1987.07.18 00:00

  • 모범 시민 11명 표창|서울시

    양탁식 서울 시장은 30일 이수재씨(66·종로구 원서동211)등 11명을 11월의 모범시민으로 뽑아 표창하고 미 2보병사단 지원 사령부 소속「케네드·와일리」사병(26)에게 감삿장을

    중앙일보

    1972.11.30 00:00

  • 모범시민 9명을 표창

    서울시는 27일 새마을 운동으로 거리미화·이웃돕기·도로포장 등에 공이 큰 고원식씨(33·종로구 사직동170) 등 9명을 10월의 모범시민으로 선발, 표창했다. 표창을 받은 시민과

    중앙일보

    1972.10.28 00:00

  • 멍든 수해지방에 다시 비

    수재로 멍든 중부지방에 25일 또 비가 내려 수재민들은 엎친 데 겹치기의 재난 속에 빠졌다. 침수됐던 집을 찾아 무너진 담벽이며 지붕을 정리하던 이재민들은 25일 새벽부터 또다시

    중앙일보

    1972.08.25 00:00

  • 초만원 수용소…뜬눈의 사흘 밤|「재기의 집념」은 꺾이지 않았지만…|각계서 구호품 절대량 모자라

    따스한 구호가 아쉽다. 물난리 후유증 사흘째를 맞은 이재민들은 초만원의 수용소에서 지친 몸을 웅크리고 따스한 구호를 애타게 호소하고있다. 악몽 같았던 8·19 물난리에도 수재민들은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수용소에 설사환자 잇달아

    학교 등지에 수용돼 있는 수재민 가운데 설사환자가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21일 밤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국민학교에 수용중인 박석주씨(38·서빙고동15)의 둘째아들 형우군(3

    중앙일보

    1972.08.22 00:00

  • 공병 2개 대대 투입

    육군은 21일 서울을 비롯한 춘천 원주 홍천 포천 등 수해지구에 특수 중장비를 갖춘 공병2개 대대 병력을 투입, 도로 및 제방보수·토사제거 등 복구작업을 폈다. 군은 특히 서울 서

    중앙일보

    1972.08.22 00:00

  • 산하를 삼킨 수마|청평서 한강하류까지...물난리의 현장 공중 르포

    관상대 관측사상 최고를 기록한 평균 4백50mm의 집중폭우는 서울·경기지방을 너무나도 무참하게 짓밟았다. 남한강까지 범람하자 여주.·양평까지 침수, 한강유역의 피해는 더욱 혹심하다

    중앙일보

    1972.08.21 00:00

  • 본사수집 수재 의연 품 만점 공주군청에 전달

    【공주】18일 하 오4시쯤 공주군청에서 중앙일보사가 모은 수재민 의연 품 전달식이 있었다. 이날 전달식에서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군인「아파트」 장교부인회 등 65명이 수재민에게

    중앙일보

    1971.08.19 00:00

  • 수재민 의연금품 모집

    ▲제일제당영등포공장 등대회원일동 대표 오영규 라면 2박스·4,000원 ▲국회의원 강성원(TBC·TV 8·15특집좌담출연료를 기탁함) 2,500원 ▲홍사정(수원지사경유) 10,000

    중앙일보

    1971.08.16 00:00

  • 수재민 의연금품 접수

    수원 김영호 300원. 중구 도동2가92∼84 김상훈 1,500원. 경성 흥산주식회사 인쇄부 직원일동 15,000원. 중구 인현동2가135 서울「라이언즈·클럽」회장 백충흠 50,0

    중앙일보

    1971.08.05 00:00

  • 서울은 물에 약하다

    지리한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비만 오면 서울시내는 항상 물난리를 겪고 곳곳에서 축대와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일으키며 낮은 지대에서는 침수소동이 일어난다. 위험한 건물이나

    중앙일보

    1971.07.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