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밝은 눈은 생활의 등불 실명을 막자|세계적인 실태와 그 예방 대책

    세계보건기구 (WHO)는 올해를 실명예방의 해로 정하고 「세계 보건의 날」(4월7일)을 맞아『계몽정신은 실명을 예방』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대대적인 실명예방「캠페인」을 벌일 것

    중앙일보

    1976.03.25 00:00

  • 정형외과의 기적 인공고관절|김영롱 교수(경희대)에 알아본다

    최근 정형외과 영역에서 「기적」이라고 불리는 전고관절대치술이 우리 나라에서도 보편화되고 있다. 기능이 마비된 심장을 갈아 끼듯 못쓰게 된 고관절(엉덩이와 허벅지를 연결하는 관절)을

    중앙일보

    1976.03.11 00:00

  • 유암발생율 매년늘고있다

    우리나라의 유암발생율이 매년 증가되고 있다. 9일 발표된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종원박사「팀」이 지난11년간 원자력병원에 내원한 환자에대한 임상적 고찰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중앙일보

    1976.02.09 00:00

  • 가계 각항목서 골 고루절약|냉장고 과신말고 음식 끓여 먹도록

    7월은 무더위와 장마가 시작되는 달-. 더위에 지쳐 몸의 저항력이 약해지고 음식은 쉽게 쉬어버려서 간수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더구나 교통·통신요금이 한꺼번에 뛰어 오른 7월의

    중앙일보

    1975.07.01 00:00

  • 「액션」영화 흉내내는 동심에 편승 위험한 장난감 범람… 실명까지

    시중완구점에서 팔고있는 장난감 총·칼·활 등을 가지고 놀던 어린이들이 눈에 화살·탄알을 맞거나 찔려 중상을 입고 심할 때는 실명까지 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다. 이들 장난감 무기

    중앙일보

    1975.05.08 00:00

  • 소설|김병걸

    방영웅씨의『봄을 기다림』(월간중앙)은 매우 암시적인 작품이다. 폭행으로 4개월 동안 교도소생활을 한「나」는 석방되자마자 고향으로 가는 무임승차권과 몇 백원의 돈을 잃어버려 갈곳이

    중앙일보

    1975.03.11 00:00

  • 어린이환자 호흡기질환 제일 많아

    이대부속병원 소아과는 70년1월∼74년9월 사이에 동 병원 응급실에 왔던 15세 미만의 어린이환자 3천16명을 조사,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 집계에 따르면 소아과 환자는 전체 환

    중앙일보

    1974.11.25 00:00

  • 무릎 관절 대치 수술 국내서 첫 성공|서울대학교 정형외과 이덕용 박사 시술

    최근 세계 의료계의 주된 관심사인 무릎 관절 대치 수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서울의대 정형외과 이덕용 박사에 의해 성공됨으로써 무릎 관절 환자에게 반가운 소식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앙일보

    1974.02.01 00:00

  • 기능면서 의치보다 우수치아이식 가능성 높아져 빠진 이빨을 제자리에 되 심어 15명 환자 중 9명이 기능회복

    외상이나 심한 충치인 경우 지금까지는 뽑아서 버릴 수 밖에 없었던 치아를 제자리에 다시 심어 그 기능을 되찾게 하는 치아 재 기술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본격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중앙일보

    1973.12.06 00:00

  • 복강경 이용한 피임수술

    복강경 (복강경) 에 의한 나팔관 절착 시범수술이 2일 하오 제일병원 (중구 묵정동 1의 2·원장 이동희) 에서 윤인배 박사 (37·미국 「워싱턴」시 「조지타운」 병원 근무) 에

    중앙일보

    1973.03.24 00:00

  • (430)|지원작전(16)|의무(2)

    전쟁 후반부터는 약품과 위생재료의 일부가 국내 민간공장을 통해 조판되었는데 이때의 의료자재 보급품목은 월4백50t의 3천3백종에 이르렀다. 한편 군 의무당국은 의지제작창을 창설,

    중앙일보

    1973.03.02 00:00

  • 외상으로 인해 발병|심낭염 수술에 성공

    외상으로 인한 만성 교착성 심낭염 환자의 어려운 수술이 한양대 부속병원 흉부욋과 과장 김근호 박사 「팀」에 의해 성공을 거두었다. 29일 김박사 「팀」에 의하면 수술받은 환자 고재

    중앙일보

    1972.12.29 00:00

  • 맹장염 「바이러스」매개체로 학계서 화제

    맹장염이 감기의 병원체인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는 새로운 학설이 발표되어 의학계의 화제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여러 가지 원인 중 충수돌기(충수돌기)의 폐쇄설(폐쇄설

    중앙일보

    1972.04.04 00:00

  • 신생아의 파상풍 예방|「대한소아과학회 세미나」서

    지난 11일 대한소아과학회(이사장 최한웅 박사)와 한아재단(이사장 김효규 박사)은 우리 나라 소아건강복지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취지아래 『신생아 파상풍 없애기 운동』「세미나」를 「가

    중앙일보

    1972.03.14 00:00

  • 「75년의 구주」정치·경제·언론인이 기고한 구주 4대지 공동특집 내용

    구주의 4대 권위일간지인 「더·타임스」(영) 「르·몽드」(불) 「디·벨트」(독) 및 「라·스탐파」(이)는 지난 2월23일 16면의 공동특집기사와 광고를 게재하여 구주언론계에 새로운

    중앙일보

    1972.03.06 00:00

  • 세계의 한국인

    파리에서 서북쪽으로 1백30km떨어진 옛 「노르망디」의 수도이며 프랑스 소녀 영웅 「잔다르크」의 화형장으로 더욱 유명한 「루앙」에서 「프랑스」에서도 제1 급의 임상심리학자 김식근

    중앙일보

    1971.05.05 00:00

  • 간호원 파업

    백의의「가운」을 벗어 던지고 간호원들이 총파업을 벌인 지난 9월, 10월의 의료계 소동은 의료계 자체뿐만 아니라 전 근로 사회에의 충격이었다. 간호원 파업은 바로 병원의 마비. 비

    중앙일보

    1970.12.25 00:00

  • 「미감아」라는 말

    대왕국민학교사건은 전국나환자미감아의 교육 및 사회수용문제에 대한 새로운전기를 마련할 중대한사건이 돼가고있다. 이제까지 문교부에서는 미감아를 분추교육하지아니하고 공동교육함을 원칙으로

    중앙일보

    1969.05.12 00:00

  • 강변에 목잘린 교사시체

    23일 낮12시30분쯤 서울 성동구 압구정동 10번지앞 한강 백사장에서 서울 북가좌국민학교교사 이호연씨(21·서대문구 북가좌동 산31의∼7)가 칼로 목을 찔려 죽은 시체로 발견됐다

    중앙일보

    1969.04.25 00:00

  • 영예의 입선자들

    ◇대통상=서예「애국시」(서희환) ◇국무총리상=조각「초토」(박석원) ◇문공부 장관=동양화「6월」 (이완수) ◇문공부 장관= ▲동향화「청효」(이영찬) ▲서양화「핵F90」(이승조) ▲

    중앙일보

    1968.09.28 00:00

  • 「채찍질 상해」| 「달리는 흉기」가 가져온 또 하나의 병

    ○…최근 신경욋과와 정형욋과의 몇몇 전문의들은 교통 상해의 하나인 「채찍질 상해」(「휘플래쉬·인저리」의 직독. 일본은 무찌우찌병) 환자에 많이 생기는 상해로서 외국선 유명한 그 채

    중앙일보

    1967.11.11 00:00

  • 희망과 우의를 다지며 - 제1 이동외과병원

    64년 최초로 월남 땅에 발을 디딘 후 한국의 인술로 신뢰를 쌓아온 「붕타우」 주재 제1이동외과병원은 격증하는 월남인 외래 진료객 때문에 그 규모의 확대가 불가피하게 됐다. 64년

    중앙일보

    1967.08.08 00:00

  • 핵개발 평화이용 「무드」

    6일은 원폭의 생일. 21년전 이날 영국은 일본광도에 첫 원자탄을 던져 2차 대전의 마지막을 재촉했다. 그 후 10년여 계속된「원자력시대」는 잇따른 「우주시대」의 개막으로 그 빛을

    중앙일보

    1966.08.06 00:00

  • 장마철 건강

    짜증이 날만큼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장마철과 관계가 깊은 질병을 앓는 이들에겐 짜증 정도가 아니다. 특히 신경통이나 「류머티」 혹은 무좀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겐 장마철은 고

    중앙일보

    1966.07.21 00:00